View : 626 Download: 0

외상신용 사용의 신호효과를 고려한 신용할당 현상 분석

Title
외상신용 사용의 신호효과를 고려한 신용할당 현상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n Credit Rationing Accounting for the Signalling Effect of Trade Credit
Authors
이상아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신용시장에서의 정보비대칭에 의해 발생하는 신용할당은 대표적인 시장실패 현상이며, 현실에서 많은 기업들이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세부적인 자료가 없는 상태에서 실제로 신용할당에 처해있는 기업이 얼마나 많은지, 어떤 기업들이 신용할당에 처해 있는지를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간접적인 방법을 취할 수밖에 없는데, Burkart and Ellingsen (2004)은 금융기관이 공급하는 신용인 현금신용과 원자재의 공급기업이 공급하는 외상신용의 상호작용을 관찰하여 신용할당에 처해있는 기업들을 구분해 낼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시하였다. Burkart and Ellingsen (2004)은 기업의 부 수준에 따라 투자와 대출 행동에 차이가 발생함을 증명했다. 이론에 따르면, 가장 높은 부 수준에서는 현금신용과 외상신용 간에 특별한 관계가 존재하지 않고, 중간 부 수준에서는 대체 관계가, 낮은 부 수준에서는 보완 관계가 나타나게 된다. 이 이론은 외상신용의 이자율이 현금신용의 이자율보다 훨씬 높아서 기업들이 가능하면 현금신용을 많이 쓰고 외상신용의 사용은 줄이려고 한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전개된다. 따라서 지금까지 이 이론을 통해 신용할당의 존재와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논문들은 현금신용을 외생변수로, 외상신용을 내생변수로 하여 이론을 증명하고자 했다. 그런데 Biais and Gollier (1997)의 이론 연구에서 출발하여, 여러 실증 연구들이 외상신용의 사용량이 금융기관에게 생산기업의 신용도에 대한 긍정적인 신호를 보낸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이 경우 생산기업은 금융기관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어 현금신용을 더 공급방기 위해, 비싼 외상거래의 사용량을 증가시킬 유인을 가지게 된다. 이 점을 고려하면, 현금신용 사용량과 외상신용 사용량은 모두 내생적으로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부 수준에 따라 분류된 각 기업군에서 현금신용과 외상신용의 상관관계를 통해 신용할당 현상을 분석하되, 이 과정에서 외상신용 사용의 신호효과를 고려하여 두 신용 수단의 사용량이 모두 내생적으로 결정된다고 간주하였다. 따라서 실증분석 과정에서 연립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표본 기업은 '금융 및 보험업' 분야를 제외한 한국의 8607개 기업이며, 연구대상기간은 2001년부터 2006년까지이다.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연구기간 내 당기순이익의 합을 기업의 부(wealth)로 보고 이 기준에 따라 전체 기업을 10등분 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위 20%까지의 기업군에서는 현금신용과 외상신용 간에 유의한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고, 20%에서 90% 사이의 기업군에서는 현금신용과 외상신용 간에 대체관계가, 가장 하위의 10%에서는 보완관계가 관찰되었다. 이는 상위 20%를 제외한 나머지 80%의 기업들이 현금신용의 할당에 처해있으며, 그 중 최하위의 10%는 외상신용도 할당에 처해있다는 의미이다. 또한 외상신용은 현금신용에 전반적으로 양의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외상신용 사용의 신호효과가 존재함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또한 신호효과는 부 수준이 낮은 기업군에서 특히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많은 기업들이 신용할당에 처해있음을 알 수 있고, 외상신용의 사용이 보내는 신호에 의해 현금신용의 할당 현상이 완화되는 것도 알 수 있다. 외상신용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현금신용의 할당 현상에 대한 정책적인 함의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Credit rationing, caused by information asymmetry in the credit market, is a typical form of market failure, whereby many firms experience a difficulty with financing. However, due to lack of detailed information, it is hardly plausible to gauge the exact number or the types of the firms that are under such duress. Therefore, more indirect methods need to be applied, and along this line, Burkart and Ellingsen (2004) provided a theoretical framework for distinguishing the firms under credit rationing by observing interactions between cash credit, provided by financial institutions, and trade credit, provided by input suppliers. Bukart and Ellingsen (2004) showed that different wealth levels of a firm cause different investing and borrow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theory, cash credit and trade credit have no relationship at the highest wealth level, whereas they show substitutive and complementary relationship at the mid-wealth level and low wealth level, respectively. This theory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interest rate of trade credit is far higher than that of cash credit, and firms try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cash credit accordingly. In this light, most empirical studies on the existence of credit rationing and its impact so far have sought to verify this theory by using cash credit as the exogenous variable and trade credit as the endogenous variable. On the other hand, other empirical studies which came from the theories presented by Biais and Gollier (1997), showed that trade credit of a manufacturing firm sends a positive signal to financial institutions regarding its credit risk. In this light, a manufacturing firm has an incentive to increase the level of trade credit, which has a relatively higher cost, in order to be able to use more cash credit by exploiting the positive signaling effect. Taking this aspect into account, the level of cash credit, as well as that of trade credit, may be regarded as endogenously determined. In this study, the existence of credit rationing was analyz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cash credit and trade credit within each group of firms categorized according to wealth level, while accounting for the signaling effect of using trade credit by regarding both cash credit and trade credit as endogenous variables. Accordingly, simultaneous equations model was use d . The sample firms include 8607 Korean firms, excluding the ones in the 'banking and insurance' sector. The sampling period is from 2001 to 2006. The categorization was done by dividing the firms into 10 groups according to the wealth level, using the sum of net income during the sample period as the measure.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relationship between cash credit and trade credit was not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upper 20% quartile. Substitu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from the firms between upper 20% and 90% quartile, and complementary relationship was observed in the lower 10% quartile, both of which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 implies that 80% of the firms excluding the upper 20% are under credit rationing, the bottom 10% of which being under additional trade credit rationing. Moreover, trade credit was found to show a positive impact in general on cash credit, which implies the existence of signaling effect of using trade credit, and the effect was particularly strong in the low wealth level group of firms. This study showed that many firms in Korea are under credit rationing and verified that using trade credit alleviates the rationing of cash credit by its positive signaling effect. Further studies on trade credit should derive more implications in terms of policy making regarding the rationing of cash credi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