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은경-
dc.creator김은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54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54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4972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40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49724-
dc.description.abstract일반 아동들과 비교했을 때,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은 언어를 습득하는 내용과 순서는 유사하나 습득의 속도가 느리다. 따라서 말하기, 듣기와 같은 구어적 능력뿐만 아니라, 읽기와 쓰기와 같은 문어적 능력도 정상적인 발달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초기 읽기와 쓰기 능력의 결함은 학령기 이후 학업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언어치료에 있어 중요한 영역이다. 선행 연구들은 초기 읽기와 쓰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음운인식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 연구들의 주장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음운인식 훈련을 실시하여 쓰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한글의 경우, 음절문자와 음소문자의 특성을 모두 지녔기에 음운인식 훈련 단위에 따른 효과의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5명의 단순언어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교대중재설계(alternating treatments design: ATD)를 실시하여 음절단위의 음운인식훈련과 음소단위의 음운인식훈련에 따른 쓰기능력 향상을 비교하였다. 즉, 한 아동에게 음절단위와 음소단위의 음운인식훈련을 동시에 시킴으로써 어떤 훈련이 대상 아동에게 더 효과적인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명의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은 음운인식훈련을 통해 쓰기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음절단위의 음운인식훈련과 음소단위의 음운인식훈련에서 효과의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차이는 아동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2명은 음절단위의 훈련에 따른 쓰기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나머지 3명은 음소단위의 훈련이 더 효과적이었다. 둘째, 음운인식 훈련에 따른 쓰기 수행을 초성, 중성, 종성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두 가지 훈련법 모두 종성보다는 초성과 중성쓰기에서 더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초성과 중성쓰기에 대한 효과는 비슷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음운인식 훈련이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쓰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중재 전 아동의 음운인식능력 정도에 따라 음절단위 또는 음소단위의 훈련이 더 효과적임을 나타냈다. 즉, 음운인식능력이 낮은 아동은 음절단위 훈련이, 음운인식능력이 높은 아동은 음소단위 훈련이 더 효과적이었다. 이는 음운인식훈련을 통해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할 경우, 대상 아동의 음운인식능력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해준다.;In comparison with normal children,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ones have the similar pattern in terms of contents and order in learning the language, but they don't in terms of rates in understanding. Therefore, they can not meet the standards of normal children's colloquial and literary skills. The defect in early reading and writing skills has a negative effect upon scholastic achievement for school-age children, so such children should get proper language treatments before going to schools. That's the reason why many previous researches emphasized the necessity of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ies(PAA), because it plays a crucial role in early reading and writing. Based on such previous researches, this thesis found out if the phonological awareness practice(PAP) can help the SLI children to improve their writing skills or not. However, the Korean alphabet 'Hanguel' has characteristics of syllabic and phonemic writings at the same time, so we need to watch out for the differences of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variables, the syllables and the phonemes. Therefore, this thesis experimented ATD(alternating treatments design) with 5 SLI children to compare the improvements of the writing skills by PAP based on the phonemic or syllabic units. Namely, I noticed which one is more effective for the children by doing PAP based on the phonemic and the syllabic units at the same tim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5 SLI children improved their writing skills by PAP and showed the different effects according to the PAP based on the phonemic and syllabic units. The effect of PAP by the variables, syllables vs. phonemes was closely related to the children's PAA. Once again, PAP based on syllabic units is more effective to two children among the 5 subjects and PAP based on phonemic units is more effective to the rest of the children. Secondly, as results of comparing with initial sounds, vowels and final consonants in writing skills according to PAP, all two variables in PAP showed more effective results to the writing of initial sounds and vowels than that of consonants. Also, the effects in initial sounds and vowels were simila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PAP can help SLI children to improve their writing skills. The effectiveness of PAP based on the phonemic and syllabic units depends on their own PAA. The PAP based on phonemic units was more effective to the children with higher scores in PAA before the ATD, while the PAP based on syllabic units was more effective to the children with lower scores. Consequently, if we want the children to improve their writing skills by PAP, we have to consider their PAA firs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용어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음운인식 = 7 1. 음운인식 정의 및 발달 = 7 2. 음운인식 훈련 과제 = 9 3. 음운인식 훈련에 관한 연구 동향 = 12 B. 한글의 문자적 특성 = 14 C. 쓰기발달 = 17 D. 음운인식능력과 쓰기능력과의 상관 = 20 Ⅲ. 연구 방법 = 23 A. 연구 대상 = 23 B. 실험 도구 = 24 C. 실험 기간 = 29 D. 실험 설계 = 30 E. 연구 절차 = 31 F. 자료수집 및 분석 = 33 G. 평가자간 신뢰도 = 34 Ⅳ. 연구 결과 = 35 A. 쓰기능력에 대한 음운인식 훈련 효과의 차이 = 35 B. 초성, 중성, 종성 쓰기 정도 = 43 Ⅴ. 논의 및 제언 = 49 A. 논의 = 50 B. 제한점 및 제언 = 58 참고문헌 = 59 부록 = 67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030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음절 대 음소 훈련단위에 따른 음운인식 훈련이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쓰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comparison of effectiveness on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children's writing skills by phonological awareness practice based on the phonemic or syllabic units-
dc.creator.othernameKim, Eun Kyoung-
dc.format.pagevii, 8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