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3 Download: 0

우반구 뇌손상 환자의 속담이해능력

Title
우반구 뇌손상 환자의 속담이해능력
Other Titles
The comprehension of proverb in patients with right-hemisphere damaged : the role of familiarity and context
Authors
김민영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은유 언어의 이해를 위해서는 우선 다양한 문자적 의미가 활성화 되어야 하며, 이 중 환경에 맞는 적절한 의미를 선택하여 해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우반구 뇌손상 환자의 경우 이러한 두 가지 과정이 모두 손상을 받기 때문에 은유 언어 해석이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은유 언어는 다양하게 변주되어 사용된다. 이 중 특히 일상적인 의사소통과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관용어와 속담이다. 특히 속담은 속담 자체와 은유적인 의미 사이에 강한 유사성이 있다. 속담은 다양한 특성을 지니는데 그 중 속담의 친숙성은 언어 환경에서 해당 속담을 접하는 빈도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속담의 문맥 조건이란, 속담의 은유적인 뜻을 나타내는 문맥을 제시하는지 여부를 말한다. 일반 아동 발달 연구나 실어증 환자의 경우 은유적 의미를 나타내는 문맥이 함께 제시될 때 속담의 이해 능력이 보다 높아진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속담의 친숙성과 문맥 제시의 유무라는 조건에서 우반구 뇌손상 환자의 이해 능력이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반구 뇌손상 환자 12명과 정상 성인 12명을 대상으로 속담 이해 능력에 대해 살펴보았다. 친숙한 속담-단독 조건, 친숙한 속담-문맥 조건, 친숙하지 않은 속담-단독 조건, 친숙하지 않은 속담-문맥 조건으로 각각 5개의 속담, 총 20개의 속담을 사용하여 각 집단의 속담 이해 능력을 평가하였다. 평가 과제는 일반 속담 이해 능력 연구에서 자주 사용되는 설명 과제와 선택 과제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숙성 면에서는 과제 별로 반응 양상에 차이를 보였다. 우선 설명 과제에서는 우반구 뇌손상 환자군과 정상군 모두 친숙한 속담을 친숙하지 않은 속담보다 잘 이해하였다. 이는 친숙한 속담의 경우 속담의 은유적인 의미가 심상 어휘집에 하나의 단위로 저장되어 있는 반면, 친숙하지 않은 속담은 부가적인 인지 처리 과정을 요구하기 때문으로 해석되었다. 이에 비해, 선택 과제에서는 우반구 뇌손상 환자군의 경우 친숙한 속담과 친숙하지 않은 속담 사이에 이해 점수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전두엽 기능의 저하로 부적절한 보기를 배제하는 억제 기능이나 전반적인 주의력이 저하되어 있기 때문으로 해석되었다. 둘째, 우반구 뇌손상 환자군은 속담을 단독으로 제시하였을 때와 문맥을 함께 제시하였을 때 속담 이해 능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에 비해 정상군은 설명 과제에서 친숙하지 않은 속담의 경우 문맥이 제시되었을 경우 이해 능력이 증가하였다. 이는 우반구 뇌손상 환자군의 경우 담화 수준에서 개별적인 내용을 통합하고 처리하는 능력이 저하되어 있기 때문으로 해석되었다. 셋째, 우반구 뇌손상 환자군의 경우에는 친숙성과 문맥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정상군이 친숙하지 않은 속담에 문맥을 함께 제시하였을 때 속담 이해 능력이 증가한 것과 대비되는 결과였다. 넷째, 우반구 뇌손상 환자군의 오류 양상으로 문자적 오답(선택 과제), 모른다는 응답(선택 과제, 설명 과제)과 속담 단어의 재배치(설명 과제)가 특징적이었다. 우반구 뇌손상 환자가 문자적 오답(선택 과제 중 친숙하지 않은 속담 조건)을 많이 선택하는 것은 우반구 뇌손상으로 인하여 속담(친숙하지 않은 속담)의 은유적인 의미를 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으로 해석되었다. 또한 속담 단어 재배치 오류는 속담의 은유적인 의미를 다른 언어로 전환하여 산출하는 데 어려움을 보이기 때문으로 해석되었다.본 연구의 임상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우선, 우반구 뇌손상 환자군의 속담 이해 능력에 대한 치료 접근을 시도할 때, 각 속담이 일상적인 의사소통에서 통용되는 정도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또한 우반구 뇌손상 환자군의 경우, 속담과 문맥 내용의 통합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과도한 단서 제시는 유용한 방법이 되지 못한다는 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The metaphor comprehension requires two processes: activation of several figurative meanings beyond the literal meaning (top-down processing) and selection of appropriate meaning harmonized to communicative environment(bottom-up processing). Damage on the right hemisphere influences these two processes, such that patients with right-hemisphere damaged (RHD) have difficulty in interpreting metaphoric meaning. Proverbs is representative metaphor languages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a daily life. Proverb comprehension is affected by the proverb familiarity and the context. A Familiar proverb is easier to comprehend than an unfamiliar proverb because the meaning of a familiar proverb is stored as units in mental lexicon, 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unfamiliar proverbs requires the additional cognitive processes to comprehend. The ability of comprehending proverb improves as contextual information is given, However in case of RHD, it is not clear that the ability of proverb interpretation can be highly improved.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effects of RHD on the familiarity of the proverb and the context. There were two groups of subjects, the patients with RHD and normal control(NC) matched on the age and auditory comprehension ability with RHD. 20 proverbs used in this study were allocated into twenty different conditions consisting of five familiar proverbs-isolation conditions, five familiar proverbs-context conditions, five unfamiliar proverbs-isolation conditions, and five unfamiliar proverbs-context conditions. Two groups were asked to verbalize(explanation task) their interpretation of each proverbs and to choose appropriative meaning among four multiple choice response(choice tas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RHD group scored much lower than the NC group and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for familiarity within two groups, that is, it is easier for both groups to comprehend the familiar proverb than unfamiliar proverb(explanation task). It was interpreted that unfamiliar proverbs need more cognitive resources for both groups to comprehend. However, in a multiple choice task, there was no significant main effect of familiarity within the RHD group. It was interpreted that reduced suppression function or reduced attention affected the ability to select appropriative choice.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 for context except for the unfamiliar proverb-context(explanation task) in NC. It is interpreted that the ability to integrate a lot of information is affected after RHD.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familiarity and context within RHD group but NC group(within RHD group but NC group). Fourth, the error responses of the RHD groups tended to be in the literal foils(choice task), restatement of proverb(choice task), or ‘don’t know’ or no response especially in unfamiliar proverb. These findings present clinical implications. When it comes to the evaluation and treatment of proverb comprehension ability of RHD, it needs to consider familiarity. Moreover, providing excessive cues is inappropriate to RHD for proverb comprehens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