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5 Download: 0

뇌손상 환자의 관용구 이해능력

Title
뇌손상 환자의 관용구 이해능력
Other Titles
the Idiom Comprehension of the Patients with Brain Damage
Authors
정승은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인간 고유의 능력인 언어에 대한 연구는 오래전부터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 중 은유․비유 표현에 대한 이해능력에 대한 연구는 그 역사가 그리 오래되지는 않았으나, 우리의 대뇌반구에서 단순한 지시적 문장의 이해와 은유 표현의 이해 처리과정이 다르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속담․관용구와 같은 은유적인 표현에 대한 이해능력, 상위 인지 및 이해능력에 대한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언어에 대한 연구에서, 뇌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언어이해, 고등 정신 기능에 있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인지, 언어와 같은 고등 정신 기능과 이해에 관련된 과제를 수행함에 있어서 환자는 오류율이 많고, 반응시간도 길기 때문에 인지기능을 밝히는데 여러 이점을 가진다(McCloskey, Goodman-Schulman, & Caramazza, 1990). 국외에서는 최근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뇌손상 환자들의 은유표현의 이해능력에 대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연구자들마다 이에 대한 여러 가지 견해가 공존해있다. 특히 관용구 이해의 경우 전통적으로 우반구가 담당하는 영역으로 주장되어 왔으나(Bottini, 1994; Mayer, 1999), 최근 연구에 의하면, 전두엽의 영향이 더 크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으며(Coney, 2000; Faust, 2008) 친숙한 관용구의 경우 좌반구의 역할이 더욱 크다(Lachker & Kempler,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은유표현 이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다각도적인 측면에서 진행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관용구에 대한 연구가 아직은 분류체계를 수립하는 단계에 머물러 있다. 본고에서는 관용구의 통사적, 의미적 특성을 세분화하여 친숙(familiar)하고, 불투명(opaque)하며, 모호성(ambiguous)을 가지는 관용구에 대한 좌우반구 뇌손상 환자 및 정상집단의 이해능력을 보고자 하였으며, 관용구 이해의 두 가지 과제제시 방법(그림 고르기, 설명하기)에 따른 수행능력과 과용구 이해과제 중 그림 고르기 과제 수행시의 각 집단별 오반응 유형이 차이가 나타나는 지를 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좌반구 손상집단은 정상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관용구 이해능력을 보였고, 우반구 손상집단은 좌반구 손상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관용구 이해능력을 보였다. (2) 위의 결과는 과제 제시 방법에 따른 집단 간 수행능력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오류 반응에 대한 집단별 유형 분석 결과 우반구 손상집단은 정상집단에 비해 관용구의 지시적 반응(literal meaning)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친숙하고 불투명한 관용구를 이해하는 과정에 있어 우반구가 좀 더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우반구 손상환자는 과제 수행시 비유언어의 지시적 의미에 더욱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mprehensive abilities of the patients with brain damage for familiar, opaque, and ambiguous idioms by subdividing the syntactical, semantic characteristics of idioms.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patients with the right hemisphere brain damage(RHD), left hemisphere brain damage(LHD), and a normal level control(NL). The idiom comprehension ability of each group was assessed by performance of two tasks(picture pointing, oral definition).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for pattern of incorrect response to the picture pointing task was also investigated. Results were as follows. (1) Idiom comprehension abil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groups, with the normal group showing the highest capability, followed by the left hemisphere injury group, then the right hemisphere injury group. (2) The results were both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in identical order for both tasks. (3) As for the incorrect response to the picture pointing task, the right hemisphere brain damage(RHD) was more influenced by literal meaning of the idiom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right hemisphere possesses a more essential role in comprehension of familiar and opaque idioms, and that patients with right hemisphere damage are more influenced by the literal meaning of the figurative language when performing the picture pointing task.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