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0 Download: 0

말더듬 중증도에 따른 평가자집단 간 말더듬 평가 비교

Title
말더듬 중증도에 따른 평가자집단 간 말더듬 평가 비교
Other Titles
Evaluations of stuttered speech samples with different stuttering severity : speech language pathologist group comparisons
Authors
권보영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valuations of stuttered speech samples and different stuttering severity. Ten experts in Fluency disorders, ten 5-year experienced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nd ten less than 2-year experienced speech-language pathologis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Kruskal-wallis Test was used to examine group difference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1) In case of stutterer with mild severity, the experts tend to evaluate high in overall severity. (2) In case of stutterer with severe severity, experts tend to evaluate high in counts of stuttering events. (3) As serious as stutterer’s severity is, the agreed points have been fallen in stuttering location judgements. (4) As serious as stutterer’s severity is, the agreed points have been fallen in stuttering type judgements. Implications include the need for explicit stuttering judgment training programs for both experts and clinicians.;유창성장애 진단 시 처음 관찰한 임상적인 인상만으로 말더듬을 평가하고 확인하는 것으로는 실질적인 문제를 파악하는데 충분하지 않다(Cordes, 1994). 연구자들은 유창성장애와 관련한 여러 가지 검사도구들을 개발, 사용하여 말더듬을 측정하고 자료를 이용하여 연구하여 왔다(Cordes & Ingham, 1994). 그러나 신뢰로운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고 해도 유창성장애 영역에서 대부분의 평가방법들이 유창성장애의 감정적이거나 생리학적인 측면들보다는 드러난 말행동의 수량화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고, 평가자의 관점에서 말더듬이 정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평가는 평가자(관찰자)의 판단에 많이 의존하게 된다(Cordes & Ingham, 1994; 심현섭, 이은주, 2002). 따라서 말더듬 평가에서 평가자가 신뢰로운 자료를 제공하는지가 문제가 된다. 연구자들은 말더듬 평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말더듬 측정과 정의에 대해 수 년 간 논쟁해 왔다. 또 한편으로는 말더듬의 정의에 대한 논쟁 대신에 유창성장애에 대한 설명과 말더듬 행동 모델을 개발하는데 초점을 두어야한다고 주장했다(Smith, 1980; Smith & Kelly, 1997). 그러나 신뢰롭고 타당한 평가를 위해서는 말더듬 정도 확인 뿐 아니라 빈도, 말더듬유형에도 객관적인 정의가 필요하며, 말더듬 평가에 대한 정보가 있어야 유창성장애의 훈련 또는 계속적인 교육이 필요한지를 논할 수 있을 것이다(Brundage et al., 2006). 말더듬에 대한 언어치료사의 평가의 신뢰도, 불충분한 교육, 훈련, 능력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는 그 결과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언어치료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Kelly et al., 1997). 그러므로 언어치료사들의 전문적 역할수행의 재고는 매우 중요한 과제이며, 언어치료사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현재 언어치료사의 전문성 인식정도와 그에 따른 역할수행의 적절성과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말더듬 중증도에 따라 평가자집단 간 유창성장애 평가의 차이를 비교하여, 유창성장애 평가 시 언어치료사들에게 요구되는 것이 무엇인지 밝혀보려 한다. 이것은 언어치료사의 유창성장애에 대한 교육 기회를 확대하고 언어치료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향을 모색해보는 데 있어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유창성장애 평가에서 말더듬 중증도에 따라 각 평가자집단은 어떠한 차이를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말더듬 중증도 각각 ‘약함’, ‘중간’, ‘심함’인 말더듬 아동의 발화샘플을 연구대상자에게 제시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전문가집단, 중간경력집단, 초기경력집단의 세 집단으로 나누었다. 평가는 전반적 중증도, 말더듬 빈도, 말더듬 위치, 말더듬 유형에 대해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 중증도 평가에서 말더듬 중증도 ‘중간’인 발화샘플에서 다른 집단과 비교해 전문가집단이 전반적 중증도를 높게 평가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문가집단과 중간경력집단에서는 말더듬 중증도 ‘중간’과 ‘심함’인 발화샘플의 전반적 중증도 평가점수 차이가 줄어드는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말더듬 빈도수 평가에서 말더듬 중증도 ‘약함’ 발화샘플일 경우 세 집단 간 평가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말더듬 중증도 ‘중간’ 발화샘플에서는 초기경력집단이 전문가집단과 말더듬 빈도수를 유사하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발화샘플의 말더듬 중증도와 무관하게 전문가집단의 평가자들은 말더듬 빈도수를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중간경력집단과 초기경력집단의 경우 발화샘플의 말더듬 중증도가 심할수록 말더듬 빈도수 차이가 작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 말더듬 위치 평가에서 각 집단별로 발화샘플의 말더듬 중증도가 심할수록 말더듬 위치 일치 횟수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말더듬 유형 평가에서 세 집단은 발화샘플의 말더듬중증도와 무관하게 일치횟수가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세 집단 중 특히 전문가집단에서 발화샘플의 말더듬 중증도에 따라 말더듬 유형평가에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말더듬 중증도에 따라 유창성장애 평가에서 평가자집단 간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간경력집단과 초기경력집단 평가자들은 비유창성유형과 말더듬 하위부류에 대해 명확한 개념이 부족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비유창성유형의 개념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Cordes, 2000)는 것을 알 수 있다. 전문가집단의 평가자들은 말더듬 확인에서보다 특히 비유창성유형 평가에서 일치정도가 낮게 나타나는 경향으로 볼 때, 자신의 판단이 맞지 않을 수 있음을 인식하고, 각자가 가지고 있는 관점을 보다 전문적인 적절한 교육을 통해 변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Brundage et al., 2006). 유창성장애 훈련 프로그램이나 워크샵 등을 통해 유창성장애의 지식을 증가시킴으로써 평가의 신뢰도를 높이고 말더듬화자 또는 언어치료사들에게 말더듬과 관련된 영향에 대한 타당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말더듬 치료경력 또는 언어치료 경력과 무관하게 유창성장애 평가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언어치료사들에게 유창성장애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을 말해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