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신영-
dc.creator장신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33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33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2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9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215-
dc.description.abstract후기산업사회로 발전할수록 사람들은 삶의 질을 중시하여 역사 · 문화와 같은 형이상학적 가치에 주목하게 되었으며 도시학과 관련된 분야에서는 제조업이 쇠락한 이후 장소마케팅(place marketing)의 이론적 연구와 정책적 실천 방안 연구가 활성화되어 왔다. 장소마케팅의 단계는 장소자산(place asset)을 분류 및 평가하여 보완해야할 장소자산을 선택하고, 매력적인 장소를 조성한 뒤, 이를 판촉 하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장소마케팅은 경영학의 관점에서 마케팅 위주로 진행되고 장소자산 자체의 가치와 기능에 대한 학계의 논의가 적어 장소마케팅의 발전에 근본적인 한계를 내재하고 있었다. 한국에서 장소마케팅이 활성화되기 시작한 1990년대 중반 이후 정부에서는 역사·문화 환경을 이용한 장소마케팅과 관련된 많은 법안과 정책을 내놓았지만 짧은 시행기간과 근시안적인 대책으로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으며, 오랜 시간 동안 수도로 기능하며 많은 역사·문화 환경을 보유하고 있는 서울 도심 지역에서도 같은 현상이 이루어져왔다. 위와 같은 문제점에서 시작한 본 연구는 장소자산에 대한 연구가 장소마케팅의 기초 작업을 수행하며, 특히 서울 도심의 역사·문화 환경이 장소자산으로서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가설을 수립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장소자산의 분류틀에 연구 지역의 역사·문화 환경을 분류하고 각각의 장소자산적 가치와 기능에 대해 연구하였다. 장소자산을 생태 자산, 사회·경제적 자산, 역사·문화 자산, 정서적 자산으로 대분류 하고 역사·문화 자산의 하위에 고궁 및 문화시설, 관광 지구, 이벤트 및 축제 자산으로 소분류 하였다. 고궁 및 문화시설 자산은 시각적으로 두드러지는 대표적인 역사·문화 자산이며, ‘하이 서울 페스티발’과 같은 이벤트 및 축제 자산과 인사동 · 삼청동 · 정동 · 북촌 등의 관광 지구 자산 등의 방법으로 활용되어 각각의 가치를 창출하고 있었다. 장소자산으로서 역사·문화 자산은 서울시와 시민들에게 젠트리피케이션의 활용 가능성과 여가 휴식 제공, 오픈 스페이스, 초·중등 역사교육을 위한 역사문화탐방로의 활용, 관광자원으로서의 활용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역사·문화 자산을 젠트리피케이션에 성공적으로 활용한 외국 사례들을 통해 최근 도심 지역에 세워진 고급 주상복합건물과 역사·문화 자산의 연관성을 추정해 볼 수 있었다. 또한 도심의 역사·문화 자산은 교통이 편리하고 거주지에 가까워 여가 휴식을 제공하고, 녹지가 발달하여 도심 내부의 생태 환경으로서 오픈 스페이스의 기능을 수행하며, 개별 점적인 자산들을 초·중등 역사교육을 위한 역사문화탐방로로 제언하였으며, 한국을 방문하였던 외래 관광객 실태 조사를 분석하여 관광자원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역사·문화 자산과 서울의 도시이미지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서울 시민을 대상으로 도시이미지와 역사·문화 자산의 인식과 향유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시민들은 미래의 서울이 환경 · 문화 · 교육도시의 기능을 수행하기를 원하고 있었는데 이는 역사·문화 자산이 보완할 수 있는 기능들이었으며 이용 실태 조사를 통해 시민들은 역사·문화 자산을 향유할 정서적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적절한 역사·문화 자산을 선택 및 조성하여 장소를 만든다면 서울시의 장소마케팅에 긍정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가능성을 타진할 수 있었다.;As the society advanced into a post-modern society, people paid attention to metaphysical values such as history and culture. Therefore, there have been trials to maintain the city using such resources, and place marketing has made this more activated. The most fundamental factor in place marketing is "place-making" by adequate choice and exclusion of place asset. Yet until now it has gone forward by focusing on economics, therefore there was short of discussion about place marketing and it caused the limit of developing in place marketing. Since the middle of the 1990s, there has been studied of place marketing vigorous, the government has planned many bills and policies of place marketing with historic and cultural environment. Yet, in short period with shortsightedness, it has not been progressed lively in Korea and also in downtown Seoul. This study has started with the above-mentioned two problems and set up a hypothesis that great historical and cultural assets in downtown Seoul can work positively for place marketing and urban geographical revitalization. To verify the hypothesis that classified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and studied their values and functions as assets. Classified place assets into ecological, social and economical, historical and cultural and emotional assets. Specially historical and cultural asset classified into old palaces and cultural facility, tourism district and events and festivals asset. The old palaces and cultural facility assets are; the most prominent in sight and the most representative assets, the tourism district assets are; Insa-dong, Samchung-dong, Jung-dong and Buk-chon, and the events and festivals assets like 'Hi, Seoul festival' and etc..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s how the historical and cultural assets in Seoul metropolitan area influence upon the city and citizens. The functions of historical and cultural assets in Seoul metropolitan area a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assets are functions as offering leisure and recess spaces, open-spaces, resources of history education and tourism. Also the presumption is that it can be related between some high class residence-business functions are complexed bulidings and historical and cultural assets by foreign gentrification examples using historical and cultural assets. It was made a survey of city-image, recogni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asset and actual conditions of enjoyment to Seoulite to find out relationship between historical and cultural assets and city-image of Seoul metropolitan area. Citizen wanted to Seoul will be environmental, cultural, educational city in the future and these functions of city were able to made up for historical and cultural assets. Also citizens were ready to enjoy historical and cultural assets. Hereafter, if it is chosen and made appropriate historical and cultural assets and made a good places, it could be utilized for place-marketing of Seoul very positive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 배경 및 목적 = 1 B. 연구 지역과 연구 방법 = 3 1. 연구 지역 = 3 2. 연구 방법 및 절차 = 4 II. 장소마케팅과 장소자산의 이론 탐색 = 5 A. 장소의 의미와 개념적 특성 = 5 B. 장소마케팅의 배경과 목적 = 6 C. 장소자산의 연구 동향과 분류 = 8 1. 장소자산의 연구 동향 = 8 2. 장소자산의 분류 = 10 Ⅲ. 서울 도심 역사 · 문화 환경의 분류와 장소자산적 가치 = 15 A. 서울 도심 역사 · 문화 환경 관련 법령의 변화와 추진 정책 검토 = 15 1. 역사·문화 환경 보전 관련 법령의 변화 = 15 2. 서울시의 역사 · 문화 환경 활용 정책 = 16 B. 장소자산의 분류 기준 = 18 C. 역사·문화 자산의 역사지리적 가치 = 21 1. 고궁 및 문화시설 = 21 2. 이벤트 및 축제 = 24 3. 관광 지구 = 26 4. 무형의 자산 = 31 Ⅳ. 서울 도심 역사 · 문화 환경의 장소자산으로서의 기능 및 제언 = 32 A. 도시기능으로서의 역사 · 문화 환경의 가치 = 32 1. 젠트리피케이션과 역사 · 문화 자산의 조응 = 32 2. 여가 휴식 제공 기능 = 38 3. 오픈 스페이스의 기능 = 38 4. 초·중등 역사교육을 위한 역사문화탐방로의 활용 = 40 5. 관광자원으로서의 활용 = 44 B. 서울의 도시이미지와 역사 · 문화 자산 = 47 1. 서울의 도시이미지와 역사 · 문화 자산의 관계 = 47 2. 서울의 역사 · 문화 자산에 대한 평가와 전망 = 51 3. 국가 차원의 전통문화보전과 계승에 대한 평가 = 53 Ⅴ. 요약 및 결론 = 54 참고문헌 = 57 부록 = 62 ABSTRACT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351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서울 도심 역사·문화 환경의 장소자산적 가치와 기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values and functions of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of downtown Seoul as place-asset-
dc.creator.othernameJang, Shin Young-
dc.format.pageix, 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생활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