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현일선-
dc.creator현일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29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29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30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9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308-
dc.description.abstractAs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to communicate in English it is emphasized to teach vocabulary effectively in a class. So, the effective methods on teaching vocabulary has been developed a lot. Thank to Internet and the multimedia technology, the language teachers brought different multimedia tools to the class. Many linguists also have tried to apply these tools to the class pedagogically on teaching English vocabulary and suggested various teaching techniques. Even though there are many multimedia technology which is applied to the class it is still common and easy for the learners to look up the dictionary for the words they do not know well. Also the dictionary use can be the most popular learning tools. However the dictionary also has been changed into the electronic one to web-based one. There has come the on-line dictionary which can serve various services including on-line word notebook. So, called on-line notebook, which was made by the merge of a traditional leaf-paper word note with the multimedia technology and it also has the high accessibility to the teachers and the learners with lower anxiety for using them. This study would attribute to revoke the importance of teaching vocabulary in a class which is ignored before and to make the learners be responsible for their study. This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o the sixty fiv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of the second graders for eight weeks.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experimental groups under the different three tasks types: translating the English words into L1, writing English words to the meaning in L1 and doing dictation with writing English word and L1 meaning. In every class students were given fifteen words from the reading passage. Every week during the class, they were instructed to practice the vocabulary tasks with using the on-line notebook at the stage of Pre-reading & Pre-computer task stage and Post-reading & Post-computer task stage. After the experiment this result was analyzed the effect of using the vocabulary tasks available on the on-line dictionary notebook. Through post-test, survey and monitoring the students' computer screens, the effect of using the vocabulary tasks on the vocabulary proficiency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the experiment, the survey analysis and the monitoring learners' behavior showed some facts. First, when learners studied with the different types of English vocabulary tasks, it was found that the task types did not bring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Ev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stical figure between the groups bu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subtle difference between group B and C in the test type Part I.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view on the using on-line vocabulary notebook to learn English vocabulary. For example, the students felt much easier to the vocabulary learning and they felt less shameful to the errors. That implies that students had lower inhibition to the errors or mistakes during the tasks and gained self-confidence in their study. Third, with the analysis of the description of students' behaviors it has examined that three learners from each group showed some similar on-line notebook uses such as repetition, self-evaluation and verifying.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in what the learners were attentive to according to what their tasks ask for the production. These results has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on the language teaching. Fri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vocabulary learning with the on-line notebook might help the learners to be taking the learner-centered role in a class and be responsible for what they are studying. Second, with the on-line notebook use, it is possible to supply various contexts with using multimedia technology and to allow for the learners to have a chance to use the words in the meaningful context. Third, the use of on-line notebook in vocabulary learning could attribute to the individualized study in a class. With this tool, the learners can manipulate the speed, the frequency of repetition and etc. In summary, as the vocabulary tasks using on-line dictionary notebook has an effect on learners' use, it should be considerable when choosing the vocabulary tasks. There is no the best way of teaching vocabulary task so it would be the best way to have a task which aids to the weakness of the learners and makes the learning be fun. Ultimately, it would be the goal for the teachers to encourage the students to be an independent learners in a class with high motivation through using the multimedia tools.;전 세계적으로 국가 간 교류가 증진됨에 따라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영어의 중요성이 더욱 더 커져가고 있다. 영어로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능력은 학업에서 뿐 만 아니라 사회 각 분야에서 각 개인이 갖춰야 할 필수요건이 된 지 오래다. 영어로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선행적으로 필요한 사항이 바로 이 어휘 능력인 것이다. Nagy(1988)는 어휘지식을 늘이는 것은 영어 교과 과정에서 기본이 되어야 하고, 이미 많은 학생들에게 어휘지식의 부족이 분명한 문제로 인식되어 왔었다고 하였다. 또한 어휘 실력은 독해 이해 능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어서, 교사가 어휘를 더 많이 가르칠수록 학생들은 독해 지문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1970년대부터 언어 교수법이 기존의 문법과 번역을 강조하던 경향에서 벗어나 본격적으로 의사소통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우리나라도 7차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에서 중?고등학교를 거쳐 외국인과의 자연스러운 생활 영어 구사와 외국 문화를 이해하고 우리 문화를 외국에 소개하는 것을 영어 교과 과정의 목표로 삼았다. 이러한 영어 교과 과정의 목표에 따라 어휘학습도 단순히 일정 양의 어휘를 암기하는 것이 아닌 어휘의 폭넓은 개념을 습득하는 데 그 초점을 맞추게 되었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영어 학습을 하는데 있어서 어휘습득이 중요하고 어휘를 배운다는 것은 일정 양의 낱말을 암기하는 것이 아닌 어휘의 폭넓은 개념을 아는 것이라 교육과정에 명시하였다. 그리고 기본 어휘를 선정하여 10단계까지(고등학교) 초등학교 450낱말을 포함한 1700낱말 정도의 어휘를 '기본 어휘표'에 명시하였다(강용구 외 4인, 2001). 이렇게 영어 교육 과정의 패러다임이 바뀌면서 교육부는 1981년 실업계 고등학교와 인문계 고등학교의 영어 교육과정을 통합하였다. 그러나 이정민(2005)은 교과의 통합은 중학교 내신 성적이 하위(70~80%)에 해당하는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새로운 통합 영어 교과를 학습을 하기에 힘든 실정을 낳았다고 지적하였다. 이에 통합 영어 교육과정에 자신감이 저하된 학생들에게 보다 재미있는 어휘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하게 제기되었고, 이러한 상황에서 멀티미디어 도구를 이용하여 어휘를 학습하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었다. 최근 컴퓨터와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동시적 혹은 비동시적 멀티미디어 도구가 개발되었고 이를 영어 학습에 활용하려는 방법이 연구되었다. 그 중에서도 본 실험에서는 학습자들의 접근성이 높고 비교적 사용이 간단하며 활용도가 높은 온라인 단어장을 어휘 학습에 활용하였다. 영어 기초 실력이 턱없이 부족한 학생들의 경우 스스로 외국어를 학습할 수 있는 최소 실력수준에 이르기까지는 교사의 명시적(explicit)인 어휘 지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실험 연구에서는 교사가 학생들에게 온라인 단어장에 학습자들이 저장하고 연습해야 할 단어를 제시해 주어 어휘 활동으로 제시된 단어들을 연습시키는 명시적 학습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이 명시적 어휘 학습에서 주도적 어휘 학습을 할 수 있는 학습자로 유도하는 데 본 실험 연구의 궁극적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단어장을 활용한 어휘 학습이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자들은 세 가지 어휘 학습 유형으로 어휘 학습을 하였는데, 첫 번째는 영어 단어 보고 한글 뜻 쓰기, 두 번째는 한글 보고 영어 단어 쓰기, 마지막 유형으로는 영어 발음 듣고 영어 철자와 한글 뜻 쓰기 활동이었다. 이와 더불어 온라인 단어장이 학습자들의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가 실시되었고, 학습자들이 온라인 단어장을 이용하는 학습 전략을 살펴보기 위해 세 집단에서 한 명씩 선정하여 단어장을 이용하는 화면을 분석하였다. 본 실험 연구는 서울 소재 실업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학생과 여학생 65명을 어휘 학습 유형에 따라 세 집단으로 나누어 각 집단 별로 서로 다른 유형의 어휘 학습을 총 5주간 정규 영어 수업시간에 일주일에 한 번씩 실시하였다. 실험 전 집단은 사전 어휘 평가를 통해 동질 집단임이 확인되었고, 사전 어휘 평가의 결과는 5주간의 실험 동안 학습해야 할 목표 어휘를 선정하는데 활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험 후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Tukey 사후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온라인 단어장을 활용한 각 어휘 학습의 유형은 고등학교 영어학습자들의 어휘 학습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즉 집단에 차이를 가져오지 않았다. 실험 후 학습자들은 사후 평가를 치렀는데, 이 때 사후 평가의 문항 내용 유형과 집단의 성적과의 관계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각 세 집단이 어휘 연습을 했던 활동 유형과 유사한 평가 문항을 치렀지만 세 집단은 자신의 활동 유형과 유사한 평가 문항에서 높은 성적을 보이지 않았다. 집단의 어휘 학습 유형과 평가 유형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Tukey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수치는 아니지만 평가 유형 Part I(영어의 한글 뜻 쓰기)에서만 집단 간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연루 부담 가설(involvement load)에 의해서 가장 복잡한 과업 활동을 한 집단인 발음 듣고 영어 단어와 한글 뜻 쓰기를 활용한 어휘 학습을 한 집단의 어휘 평가 성적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측되었는데 본 실험 결과에서는 밝혀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글 뜻 보고 영어 쓰는 어휘 활동을 한 집단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고 오히려 연루 부담이 가장 많았던 발음 듣고 영어 철자와 한글 뜻 쓰는 집단이 가장 낮은 점수를 얻었다. 사후 평가 점수 결과에 따르면 과업의 복잡성과 관계없이 사전 평가 점수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던 집단이 사후 평가에서도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 결과로부터 과업의 복잡성이 어휘 실력 향상에 차이를 가져오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온라인 단어장으로 어휘 학습을 했던 학습자들은 설문지를 통해 단어장을 이용한 어휘 학습이 편리하고 자신의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고 반응하였다. 특히 오류를 범했을 때 이에 대한 부끄러움을 줄일 수 있다고 학생들이 응답하였다. 이는 단어장이 학습자들의 억압과 오류에 대한 두려움에 대한 정의적 여과장치를 낮추는데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끝으로 단어장을 이용하여 어휘 학습을 하는 학습자들은 단어 학습 활동 유형이 요구하는 산출에 따라 단어장 사용에서 관심과 주의를 두는 부분에 차이를 보였다. 학습자들은 공통적으로 자신의 학습에 대한 확인, 반복, 자기 수정을 하였는데 부분적으로 단어장을 활용하는 데 있어서 학습자들은 과업 활동 유형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본 실험 연구의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단어장 활용 어휘 학습은 학습자의 주도적 어휘 학습을 유도할 수 있다. 단어장에 자신의 필요에 따른 단어목록을 구축할 수 있으며, 어휘 활동을 이용한 자가 평가와 단어 연습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어휘 학습을 교실 수업에 도입하였을 때 기존에 교사 중심이 되었던 학습에서 벗어나 학습자 중심의 개별학습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자신의 학습 결과에 책임을 질 수 있는 주도적 학습자를 만들 수 있다. 둘째, 멀티미디어 기술을 이용한 언어 학습은 학습에 필요한 풍부한 자료와 해당 언어 지식이 쓰이는 문맥을 각종 영상, 음성을 통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 Nagy(1988)는 독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어휘 지도 방안이 필요하며 그 방안을 통합, 반복 그리고 유의미한 사용으로 보았다. 그리고 Nation(1982)은 암시적인 학습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한 낱말의 의미 인식에 평균 노출되는 횟수가 16번이었다고 주장하였다(김지홍, 2003).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문맥을 통한 과업에서 필요로 하는 산출을 도울 수 있도록 수업 시간에 교사는 단어장 활용 전략을 시범을 보이고 학습자 스스로 학습하도록 유도하여야 한다. 셋째, 단어장을 이용하여 개인의 학습 속도, 반복 횟수, 오류에 대한 자가 평가를 통한 억압과 불안을 낮추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온라인 단어장의 활용으로 개별화 학습에 따른 장점을 최대한 이용 할 수 있게 된다. 어휘 능력은 특히 개인차가 많고 교실 수업에서 모든 학생 개개인의 수준에 맞는 지도가 이뤄지기 어렵다. 끝으로 온라인 단어장을 활용한 어휘 학습이 고등학교의 단어 학습에 도움이 되고 특히 정의적인 영역인 자신감과 오류에 대한 불안감을 낮추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수업 중에 참여가 낮았던 학생들을 참여 시킬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그 동안 학습자의 개인의 몫으로만 여겨졌던 단어 학습을 교실 수업에서 멀티미디어 기술을 이용하여 다룰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교사는 온라인 단어장을 이용하여 학습자들은 음성, 반복학습, 개별 학습, 각종 문맥을 활용하여 어휘를 좀 더 다양하고 흥미로운 방법으로 학습 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야 한다. 또한 단어장을 연구 계발하는 기술자들이 언어 학습이 일어나는 인지적 기제를 잘 반영하고 멀티미디어 도구가 갖는 장점을 최대로 이용한 어휘 학습에 효과적인 단어장을 구현할 수 있기를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5 A. 어휘 지식과 어휘과업 활동 = 5 가. 어휘지식 = 5 나. 어휘 학습 과업 활동 = 7 B. 영어 능력과 지도 방법에 대한 관점의 변화 = 9 가. 어휘 능력의 중요성 = 9 나. 어휘 지도법에 대한 관점의 변화 = 12 C. 영어 어휘 학습과 사전 = 15 가. 사전을 활용한 어휘 학습 = 15 D. 멀티미디어와 영어 어휘 학습 = 17 가.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어휘 학습 = 17 E. 선행 연구 = 22 가. 어휘 지도법에 관한 국내 · 외 선행 연구 = 23 나. 멀티미디어 기술을 이용한 단어장을 활용한 국내 · 외 선행 연구 = 28 III. 연구방법 = 34 A. 연구 문제 = 34 B. 실험 대상 = 35 C. 실험 자료 = 44 가. 목표 어휘 = 44 나. 어휘능력평가지 = 46 다. 설문지 = 47 D. 실험 절차 및 분석 방법 = 49 가. 실험 절차 = 49 나. 독해 수업과 어휘 학습 활동 = 51 E. 연구의 제한점 = 52 IV. 연구 결과 및 논의 = 54 A. 온라인 단어장의 활용 유형에 따른 어휘 학습 결과 분석 = 54 B. 온라인 단어장을 활용한 어휘 학습에 대한 반응 = 59 C. 온라인 단어장을 어휘 학습에 활용한 학습자들의 행동 관찰 분석 = 66 Ⅴ. 결론 및 제언 = 87 참고문헌 = 91 부록 = 102 Abstract = 11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12168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온라인 단어장을 이용한 어휘 활동이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영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English Vocabulary Tasks Using on-line Dictionary Notebook on High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Hyun, Il Sun-
dc.format.pagexiv, 11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