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8 Download: 0

朝鮮時代 扇面畵 硏究

Title
朝鮮時代 扇面畵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fan painting of Chosun Dynasty : focused on the folding fan painting
Authors
김윤희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raditionally fan was a daily necessity for passing summer and enjoying cool air, a symbol of class, elegance, and taste and a unique medium for painting and calligraphy. Painting and calligraphy on fan imply that fan was not only a functional item but a cultural symbol that represents charm of Korea. Fans were painted as a decoration however since introduction of folding fans in Koryo Dynasty ‘fan painting’ has created fan culture distinguished by certain social position and values, among specific social class. Fan creates a unique canvas where vertical lines are created from ribs making a crescent shape. It is no longer a familiar square surface. A fan as a unique medium has great influence on the calligraphy and paintings on it and it creates ‘fan painting style’ which has distinguishable subject, composition and technique. Folding fans of Chosun Dynasty only have paper on one side of the fan giving a distinguishable character from Chinese and Japanese fans. Considering this character, one can notice harmony and balance between painting and blank space through unique structural tendency of fan, ‘radial composition’(放射性) and ‘curve composition’(彎曲性). Fan paintings are easy to produce and to carry around therefore it is distributed through exchanging of gift and simply carrying around. Such nature of fan painting of Chosun Dynasty gives contrasting character to use of fan. Although it is a functional item for the populace, fan became a highly appreciate artwork for the upper class and learned scholars. Scholars put down poetry and paintings on fan and carried it around to freely appreciate and compare each others artwork thus creating a fan culture. When resting in a pavilion, fan was unfolded to gaze upon for enjoyment. It was used as a medium of bidding farewell and considered a present with courtesy. And also it became a custom to receive a painting or calligraphy of noted artist on a fan. Fan has become an important medium in social gathering of scholars. Along with cultural trends and expendable characteristic of fan, fan painting of Chosun Dynasty show various painting trends of the time. Because fan culture of Chosun Dynasty walks along with scholarly preferences, black-and-white paintings were valued over colorful and technical paintings, and influenced by Chinese paintings it favors literati painting style which emphasizes message of the painting. In addition through subjects that reflects a value that poetry and painting should come together, fan paintings express its purpose of production and diverse sentiments. The subject of painting changes from landscapes in 18th century to Four Gracious Plants in the 19th century. Flower and bird paintings become dominant with few flower garden paintings. With great number of works being produced, fan paintings show much about different thought and diverse trends of this period. Fan paintings of Chosun Dynasty, which takes a different medium from scrolls, hanging paintings, or scrapbooks, are a valuable art historical resource that shows culture and social trends of the time.;전통적으로 부채는 避暑와 納凉의 생활용품이자 신분과 풍류, 아취의 상징이며, 그림과 글씨를 담는 독특한 재료이다. 부채의 화면에 書畵를 담는다는 것은 부채의 단순한 기능성을 넘어 우리 민족의 멋을 대변하는 문화적 상징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부채에 그림이 그려지는 것은 장식적 효과를 더하고자 시작하지만, 고려시대 이후 접는 부채가 유통되면서 ‘부채에 그림을 그린다’는 의미는 신분적, 사상적 차이에 의한 특정 계층의 扇面文化를 형성하게 된다. 부챗살이 모이는 하나의 중심에서 좌우로 긋는 직선과 그것을 반경으로 하여 구성되는 호선에 의해 부채는 독특한 화면을 형성한다. 익숙한 方形의 화면이 아닌 扇面이라는 특이한 화면형식은 그 속에 담기는 그림과 글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일반회화와는 구별되는 주제, 구도, 기법적 특징을 통해 ‘扇面畵의 양식’을 창출한다. 조선시대 접는 부채에 그려지는 그림과 글씨는 부채의 한 면에만 扇紙를 바른다는 중국, 일본과 구별되는 제작상의 특징을 바탕으로 부채의 형태를 최대한 고려하여 ‘放射性’과 ‘彎曲性’이라는 선면화만의 구도적 경향성을 통해 여백과 그림의 조화와 균형감에 주목하게 된다. 선면화는 제작의 용이성과 이동의 편리성에 의해 증답과 휴대라는 특징적 유통구조를 형성한다. 조선시대 선면화의 이러한 경향은 부채 사용의 대중성과는 대조적으로, 선비나 문인 중에서도 수준 있는 사람들이 즐기는 감상품으로 전개되는 이중성을 낳는다. 문인들은 선면에 시, 서, 화를 담아 휴대하며 자리에 구애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 글과 그림을 감상하고 비교하며 풍류를 논하는 선면문화를 이룩한다. 정자에서 쉴 때에도 부채를 펼쳐 두었고, 전별이나 친분을 쌓고, 존경의 마음을 전하고자 禮를 갖춘 선물로도 주고받았으며, 이름 있는 예술가의 글씨나 그림을 그려 받는 풍습이 나타나게 된다. 부채가 선비들의 사교 문화에 중요한 매개체가 되어준 셈이다. 조선시대 선면화는 이와 같은 문화적 흐름과 함께 소모품적인 특성 때문에 여러 가지 시도를 통한 당시의 다양한 회화경향이 빠르게 반영된다. 조선시대 선면문화는 문인 취향과 함께 하기 때문에 기교를 부린 채색이나 화려한 그림보다는 담채위주의 담백한 墨畵가 더 가치가 있었고, 중국화보의 영향을 받으며 寫意性이 강한 남종문인화풍이 선호되는 특징을 보인다. 뿐만 아니라 시화일체사상이 반영되는 畵題와 畵詩를 통해서 선면화의 제작목적은 물론 다양한 감정을 표현한다. 소재에 있어서도 18세기 산수화에서 19세기 사군자 위주의 화조화로 편중되며, 일부 수응에 의한 화원화가의 제작을 제외하고는 문인들의 만년기에 다수가 제작되어 시대흐름과 사상, 유행을 반영하는 다양한 경향성을 보인다. 조선시대 선면화는 서화첩, 족자, 두루마리와 구별되는 소폭의 선면이라는 독특한 화포형식을 통해 당시의 문화와 사회적 경향까지도 되짚어 볼 수 있는 중요한 미술사적 자료인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