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선표-
dc.contributor.author이정은-
dc.creator이정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23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23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49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9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498-
dc.description.abstract백선도는 화면상에 접선과 단선 등 다양한 형태의 부채를 겹쳐서 배치하고, 각각의 선면 안에 여러 종류의 화제를 그린 것이다. 한 폭의 화면에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부채를 그린 것은 물론, 접선면의 접혀지고 펼쳐진 정도를 달리하여 각각의 화포형식에 맞게 산수, 화조, 화훼 등의 그림을 적절히 그려넣은 것은 매우 이색적이다. 백선도의 주제가 되는 부채는 고려시대 접선의 등장 이래 애호되어 왔고, 선면화 또한 고려시대 이래 중요한 화포형식으로 작용해왔다. 이와 같이 부채와 선면화가 실용적인 기능성에서 그림의 주제로 대상화되어 감상물과 장식용으로 활용된 것은 조선말기이며, 호사취미를 비롯한 당시 사회문화사적 풍조와 결부되어 대두된 것으로 생각된다. 백선도병풍은 그것이 지니는 매체의 중층성 만큼이나 복합성을 지니고 있다고 본다. 병풍의 전체적인 구성면에서는 당시 '왜물 붐'과 결부되어 일본 선면병풍의 영향을 나타내고 있지만, 화면상의 부채에 그려진 그림은 청대 원체화풍을 반영하고 있다. 그리고 묘사된 부채의 유형은 중국과 일본에서는 볼 수 없는 조선식이다. 또한 각각의 선면 내에 선택되어 그려진 화목들은 조선말기 화단의 경향을 일정하게 반영하고 있다. 백선도병풍은 19세기 성행, 확산, 저변화되는 서화애호취향과 더불어 서화의 창작과 수장, 감상 방식에서 다양화되는 당시 화단의 흐름을 보여주는 새로운 형태의 회화라 할 수 있다. 이는 현존하는 백선도병풍의 수량이 적은데도 불구하고 다양하고 다층적으로 읽어낼 수 있는 매우 흥미로운 요소이며, 지금까지 문인화를 중심으로 이해되고 있는 조선말기 회화 경향을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좋은 사례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과 리움 소장의 세 백선도 병풍에 대한 구체적이고 면밀한 분석을 통해 지금까지 구체적으로 연구된 바 없는 백선도병풍 자체에 대한 규명과 더불어 조선말기 회화의 복합적인 양상에 대한 이해를 넓혀보았다.;Baekseondo(paintings of hundreds of fans) is a painting which features a variety of folding fans and round fans in various arrangements on the whole canvas, in each of which a wide range of objects are painted. In a piece of Baekseondo, diverse shapes and kinds of fans are featured, and the degree of the folding and unfolding of folding fans is differentiated so as to paint a variety of landscapes, birds, and flowers therein according to the styles of canvas. The fan, the subject of Baekseondo, was favored after the appearance of folding fans during the Goryeo period, and the paintings on the folding fan served as an important painting canvas type since the Goryeo period. As such, it is in the last Joseon period that fans and paintings depicted on the fan shifted from their practical functionality to a subject matter of painting, serving as appreciative, decorative objects. Such a genre is thought to have emerged in conjunction with then social and cultural trends such as extravagant tastes. Baekseondo-byeongpung (folding screens with hundreds of fans) is as complicated as its medium complexity. In terms of the whole composition of folding screens, Baekseondo-byeongpung is thought to have been influenced by Japanese folding screens attached with fans in conjunction with the then booming of Japanese products, but pictures painted on the fans reflect the Qing's court professional painters' painting style. Also, varieties of fans depicted in Baekseondo-byeongpung show Joseon's style which is different from Chinese and Japanese styles. Paintings depicted within the fans fully reflect the influence of the painting community of the last Joseon period. Together with the tastes favoring calligraphy and paintings which prospered, expanded, and broadened in the 19th century, Baekseondo-byeongpung is a new variety of painting which shows the then trends of the painting community that diversified in terms of the creation, storage and appreciation of paintings. Although there are only a few extant works of Baekseondo-byeongpung, such elements are interesting, suggesting diverse and multifaceted meanings. They shed new light on the painting trends of the last Joseon period which have thus far been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literati's paintings. In this study, three works of Baekseondo-byeongpung collected by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Leeum Museum were closely examined so as to further define Baekseondo-byeongpung itself, and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the composite trends of the paintings of the last Joseon perio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머리말 1 Ⅱ. 百扇圖屛風의 기원 4 1. 百扇圖의 개념 및 이해 4 2. 百扇圖屛風의 조형적 기원: 일본 扇面貼交屛風 7 1) 일본 扇面貼交屛風의 등장 8 2) 일본 扇面貼交屛風의 유형 및 성격 11 3) 일본 扇面貼交屛風의 조선에의 전래 가능성 16 Ⅲ. 百扇圖屛風의 제작배경 21 1. 부채에 대한 선호 21 2. 조선말기 호사취미의 유행 28 1) 장식적 그림의 증가 28 2) 왜물에 대한 관심 31 3. 조선말기 새로운 화풍의 등장 33 Ⅳ. 百扇圖屛風의 성격 및 의의 36 1. 百扇圖屛風 소개 36 1) 삼성미술관 리움소장 朴基駿 <百扇圖八曲屛> 36 2) 국립중앙박물관소장 南啓宇 <花蝶扇面八幅屛> 37 3) 국립중앙박물관소장 傳 朴基駿 <百扇圖> 37 2. 百扇圖屛風에 그려진 선면화 분석 38 1) 부채의 종류 38 2) 선면화의 화제 및 제발 41 3) 화목별 표현양식 51 3. 백선도병풍의 성격 및 회화사적 의의 56 Ⅴ. 맺음말 60 參考文獻 62 圖版目錄 69 圖版 72 ABSTRACT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14003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19世紀 百扇圖屛風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삼성미술관 리움소장 朴基駿 <百扇圖屛風>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Baekseondo-byeongpung(Folding Screens with Hundreds of Fans) in the 19th Century(Last Joseon Period)-
dc.creator.othernameLee, Jung eun-
dc.format.pagev, 8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