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지숙-
dc.creator강지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23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23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51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9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510-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인간에게 노화는 누구나 겪게 되는 필연적인 과정으로서 현대 사회로의 전환과 더불어 사회의 고령화 현상은 노인 문제를 하나의 중요한 사회문제로 부각시켰다. 특히 평균 수명의 증가는 인간이 인생의 1/4 가량을 노년기 삶으로 보내야 하는 상황을 초래하였고, 인간에게 노년기란 은퇴라고 하는 전환기적 사건을 통해 새로운 현실과 직면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은퇴제도 및 사회보장제도가 정착된 미국이나 선진국에 비해 낮은 정년연령, 사회복지제도의 미비, 경제적 역할 상실에 대한 소득 감소 등으로 인하여 은퇴자의 은퇴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이고 은퇴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또한 저하되어 있다. 따라서 노인의 은퇴 이후 삶에 대한 관심과 은퇴를 경험한 노인의 은퇴에 대한 적응 및 은퇴 후 삶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어야 할 시점에 다다랐다. 이에 본 연구는 질적 연구 설계로 상징적 상호작용주의를 철학적 배경으로 한 근거 이론적 접근을 사용하여 노인이 은퇴와 관련된 삶을 살아가면서 겪게 되는 경험은 무엇이며, 은퇴 이후 삶을 어떻게 적응해 가는지 살펴봄으로써 노인의 은퇴 적응과정 전반에 대한 실체이론 개발을 목적으로 실시하게 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다양한 직업군에서 은퇴를 경험하고, 인지기능에 장애가 없으며 의사소통이 가능한 만 60세 이상의 노인으로 본 연구에 대하여 충분한 설명을 듣고 자발적 의사에 의해 참여를 서면 동의한 16명이었다. 연구 자료는 인터뷰와 참여 관찰 및 참여자의 수기 등을 중심으로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trauss & Corbin(1998)의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과 동시에 분석을 하였고 지속적인 비교분석을 하는 과정에서 이론적 표본이 추출되었으며, 근거자료의 범주화,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과 과정분석을 통해 핵심범주가 도출되었다.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범주와의 관련성을 도출하고 유형을 분석하였으며 상황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개방코딩과정에서 91개의 개념과 36개의 하위범주, 1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노인의 은퇴 적응과정은 ‘변화에 무방비’, ‘상실에 따른 부담감’이라는 인과적 조건과 ‘당면한 마음가짐’, ‘노후대책 고심’이란 맥락적 조건에 영향을 받아 ‘당혹스러움’이라는 중심현상이 도출되었고, ‘당혹스러움’은 ‘내부적 자원’과 ‘외부적 지원’이란 중재적 조건에 영향을 받으면서 ‘자기조정시도’, ‘활동강화’, ‘새로운 활동추구’의 전략을 사용하는 ‘좋은 사람으로 남기’란 과정으로 나타났다. 은퇴를 경험한 노인의 은퇴적응의 결과는 ‘포용’, ‘갈등’, ‘무기력’이었고, 시간 흐름에 따른 은퇴 적응과정의 단계는 준비기(準備期), 자각기(自覺期), 조정기(調整期), 적응기(適應期)의 4단계였다. 첫 번째 단계인 ‘준비기’는 은퇴를 경험한 노인이 은퇴에 앞서 은퇴를 염두해 두고 노후대책을 고심하여 필요한 재정을 미리 마련하고 시간활용에 대한 계획을 세우는 시기로서 은퇴 이후의 삶에 대해 준비하는 시기였다. 두 번째 단계인 ‘자각기’는 은퇴를 경험한 노인이 막상 은퇴 후 현실을 판단하여 스스로의 입장이나 능력을 깨닫게 되는 실질적인 인식기로서 변화된 상황으로 인하여 자신의 무방비 상태, 상실에 따른 부담감, 당면한 마음가짐을 깨닫게 되는 시기였다 세 번째 단계인 ‘조정기’는 은퇴를 경험한 노인이 은퇴로 인해 변화된 삶에 적응을 하기 위해 현실과 협력을 시도하는 시기로서, 내부적 자원과 외부적 지원의 영향을 받아 ‘마음고쳐먹기’, ‘맞추어 생활하기’로 스스로를 변화된 일상에 맞추어 나아가는 전략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적응기’는 은퇴를 경험한 노인이 변화된 삶에 적응을 위한 실제적인 활동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가족에 관심갖기’, ‘건강관리하기’, ‘종교활동하기’로 은퇴자 기존의 역할이나 활동을 강화하거나, 새로운 활동을 찾아 ‘교육기회가지기’, ‘인생정리’시작하기’, ‘소일거리 만들기’, ‘봉사활동하기’의 전략을 시도하는 시기였다. 그리하여 은퇴를 경험한 노인의 은퇴 적응과정은 ‘좋은 사람으로 남기’의 과정이었고, 각 범주의 속성과 차원에 따라 활동형, 관조형, 갈등형 및 안주형의 4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은퇴를 경험한 노인에게 ‘당혹스러움’은 은퇴 적응과정에서 노인이 겪는 중심현상이었다. 노인의 은퇴적응은 은퇴자가 은퇴 후 노년기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독립적 주체성으로 자신의 역할 수행을 충실히 함으로써 가족을 포함한 타인과 사회에 ‘좋은 사람으로 남기’의 과정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노인이 은퇴 이후의 생활에 잘 적응하도록 돕기 위해 간호 실무적으로 접근이 용이하고 은퇴 적응에 따른 단계 및 유형을 파악할 수 있는 진단 도구개발이 절실히 요청되고 이에 따라 의미 있고 체계적으로 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간호 교육적으로 은퇴 노인을 간호하는데 있어 간호사의 역할 확대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간호 연구면에서 다양한 은퇴 노인집단의 특성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할 뿐 아니라 본 연구로 개발된 실체이론에 대한 확인과 검증을 위한 추후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한다.;Retirement is considered as the point where a person stops employment completely and transfers his or her social activities to leisure area. It is also believed that retirement is a cluster of discontinuous events signifying a turning point in life, marking the beginning of old age in terms of human life cycle. The fact is significant on its own right as it influences individuals' adaptation of the aged in mental, social and economic capacities. Therefore, more emphasis should be given to understand elderly population's interest in their life after retirement, their adaptation to the event itself, and their life after experiencing retir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heoretical paradigm on the overall adaptation processes where old adults' experiences in adjusting to their life after retirement and the details of how they are making adjustments were investigated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 a ground theory approach using philosophical background in the theory of symbolic interactionism. The participants were 16 alert elderly individuals cognitively, aged 60 or older, retired from a wide spectrum of professions and capable of carrying on normal communication. The participants were provided with sufficient explanations of the study and signed for voluntary participation. Data collection methods included in-depth interview, participant observation, and review of participants' essays. The data were collected were then coded to analysis by applying Strauss and Corbin's ground theory(1998), while the analysis and the data collection took place simultaneously. Constant comparison method and a theoretical sampling were carried out.??open coding??,??axial coding??and??selective coding??were compiled with core categories being constructed via categorization of ground data, and categorization analysis and process analysis based on paradigm. Then, focusing on the core categories, relationships between all categories were identified, their types analyzed, and situation models presented.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open coding process resulted in 91 concepts, 36 sub-categories and 13 categories. In addition, the elderly participants' adaptation process about retirement identified a central phenomenon called ??perplexity??, affected by causal conditions (insufficient preparation, burden related to losses) and by a contextual conditions (his/her mental attitude, deep thought for measures of old age). The perplexity was found to have been influenced by intermediary conditions of internal resources and external supports, turning into a process called ??remain as a good person??, which utilizes strategies such as attempting self-adjustment, reinforcing one’s own activities and engaging in novel activities. As a result of adaptation for old adults' retirement was broad acceptance, struggle, enervation As for the participants' time-based adaptation process, four stages had surfaced, namely, preparation period, awakening period, mediation period and adjustment period. Preparation period, the first of the four stages identified, corresponded to a period where the subjects were engaged in retirement-minded preparations for their future, arranging for secure finance and better leisure. The second stage, awakening, referred to a period where the participants obtained realistic views of retirement, based on their assessment of reality as well as their situations and abilities. During this stage they became aware of the pressure accompanying losses and the perplexity that is the central phenomenon related to retirement experiences. It was found out that the participants renewed their will to remain as a good person when they entered this stage. Mediation period, the third stage, was where the retirees juggled to make the new phase in their lives work in realistic terms, taking on a new perspective on life and utilizing strategies to accommodate the life changes. The last stage, adjustment period, is described as the old participants' engaging in actual activities that facilitated their adjustment to the changed life. During this period, the individuals were found to seek new activities by reinforcing the current roles or activities and collecting information and to carry them out for real. In sum, the adaptation process of the retired elderly citizens corresponded to a process of remain as a good person, manifested in four types that were represented by key behavioral indicator, subject to the characteristics and levels of each category. The types corresponded to activity, contemplation, conflict and complacence. In reference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researcher proposes the need to design easy-to-use diagnostic tools for practicing nurses that will help allow the identification of adjustment type by stage. Proposal is also made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that are not only meaningful for elderly population but also inductive to their systematic engagement in society, subject to adjustment stage and typ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education programs are recommended to help expand the roles of geriatric nurses. In addition, future research project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 wide variety of elderly populations are encouraged, along with the validation and verification of the theoretical paradigm proposed and used in this researc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II. 문헌고찰 = 5 A. 은퇴의 의미 = 5 B. 은퇴 관련 선행연구 = 10 III. 연구방법 = 17 A. 근거이론 = 17 B. 연구절차 = 20 1. 연구설계 = 20 2. 연구참여자 선정 및 윤리적 고려 = 20 3. 연구자준비 = 21 4. 이론적 표본추출 과정 = 22 5. 자료수집방법 = 24 6. 자료분석방법 = 27 IV. 연구결과 = 29 A. 연구참여자의 특성 = 29 B. 개방코딩 : 근거자료의 범주화 = 31 C. 축코딩 = 89 1. 패러다임모형에 의한 구조 분석 = 89 2. 과정분석 = 92 D. 선택코딩 = 96 1. 핵심범주 : ‘좋은 사람으로 남기’ = 96 2. 이야기 윤곽 전개 = 101 3. 가설적 정형화 및 관계진술 = 105 4. ‘좋은 사람으로 남기’ 의 유형분석 = 109 E. ‘좋은 사람으로 남기’ 의 상황모형 = 119 V. 논의 = 123 A. 패러다임 모형에 대한 논의 = 123 B. 핵심범주에 대한 논의 = 130 C. 핵심범주 이론에 대한 평가 = 133 D. 간호학적 의의 = 137 VI. 결론 및 제언 = 139 참고문헌 = 141 부록 150 Abstract 1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233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노인의 은퇴 적응과정-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Adaptation Process after Retirement for Old Adult-
dc.creator.othernameKang, Ji Sook-
dc.format.pageviii, 158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