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7 Download: 0

체력에 따른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지각된 건강 상태 및 체력에 미치는 효과

Title
체력에 따른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지각된 건강 상태 및 체력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Effects of the tailored exercise program on the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physical strength in seniors
Authors
신미경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체력에 따른 운동 프로그램을 노인에게 적용하여 노인의 인지 기능, 우울, 지각된 건강상태 및 체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 실험 연구이다. 대상자중 실험군은 16주간 체력에 따른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는 65세 이상 노인 총 42명이었고, 대조군은 65세 이상 노인 28명이었다. 실험군은 체력 수준에 따라 2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체력에 따른 운동 프로그램은 2007년 4월부터 8월까지 16주간 주 2회 실시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대상으로 실험 전, 실험 4개월 후 인지기능 평가 도구, 설문지, 노인 체력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인지기능, 우울, 지각된 건강상태 및 체력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증은 Fisher's exact test와 ANOVA로 분석하였다. 체력에 따른 운동 프로그램 적용 후 대상자의 인지기능, 우울, 지각된 건강상태, 체력의 차이는 t-test로 분석하였으며 운동 프로그램이 미치는 효과는 ANC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체력에 따른 운동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한 탐색적 분석에서 대상자의 체력과 인지기능, 우울, 지각된 건강 상태와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인지기능, 우울, 지각된 건강 상태의 정도에 따른 체력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t-test와 two-way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체력에 따른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인지기능이 향상될 것이다.’라는 가설 1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집중력과 단기 기억 능력, 복합적 집중력, 즉각 기억력, 지연 기억력, 언어 유창성의 세 그룹 간 평균 변화량 비교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F=3.31, p=.043; F=4.35, p=.017; F=4.46, p=.015; F=3.54, p=.034; F=4.41, p=.016), 실험군 B가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전반적인 인지기능과 전두엽 운동기능에서는 세 그룹 간 평균 변화량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1.42, p=.248; F=1.86, p=.163). 2. ‘체력에 따른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우울정도가 감소할 것이다.’라는 가설 2는 지지되었다. 우울 정도의 세 그룹 간 평균 변화량 비교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F=5.84, p=.005), 실험군 A, B 모두가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3. ‘체력에 따른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지각된 건강상태가 향상 될 것이다.’라는 가설 3은 기각되었다. 지각된 건강 상태의 세 그룹 간 평균 변화량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F=2.42, p=.090), 실험군 전체(A+B)의 지각된 건강 상태(p<.03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체력에 따른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체력이 향상 될 것이다.’라는 가설 4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하체 근력, 상체 근력, 전신 지구력, 상체 유연성 민첩성과 동적 평형성의 세 그룹 간 평균 변화량 비교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F=31.18 p=<.000; F=45.18, p=<.000; F=49.11, p=<.000; F=8.57, p=.001; F=3.24, p=.046), 실험군 A, B 모두가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하체 유연성에서는 세 그룹 간 평균 변화량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체력에 따른 운동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를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한 탐색적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운동 프로그램을 체력에 따라 개발해야 함을 강조하기 위하여 인지기능, 우울, 지각된 건강 상태와 체력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변수 상호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5). 이는 노인 체력 측정 결과에는 노인의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노인들의 인지기능, 우울 정도 그리고 지각된 건강상태 등의 심리적, 정신적 건강 지표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가 있다. (2) 체력에 따른 운동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군의 체력정도와 인지기능, 우울, 지각된 건강 상태의 정도에 따른 체력의 차이를 t-test와 two-way AN OVA로 분석한 결과 체력에 따른 운동 프로그램이 인지기능, 우울, 지각된 건강상태, 체력정도를 모두 고려하여 운동의 효과를 보였음을 알 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시행한 16주간의 체력에 따른 운동 프로그램은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 우울 감소, 지각된 건강 상태 향상 및 체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체력에 따른 운동 프로그램은 획일적인 운동 처방이 아닌 노인의 개별 체력을 고려하여 그룹별 중강도의 운동을 적용함으로써 노인이 운동을 쉽게 익혀, 자신의 건강 상태를 좋게 지각하도록 해주었다. 이와 함께 체력을 고려한 적절한 강도의 운동 프로그램 적용을 통하여 운동의 효과를 볼 수 있었다는 면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따라서 건강관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운동을 노인이 실천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에서 체력에 따른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참여의 기회를 높임과 동시에 개인의 체력을 고려하여 운동의 안정성, 유효성을 보장하면서, 노인 운동 효과의 극대화가 가능함을 보여준 연구 결과라고 사료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tailored exercise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physical strength in seniors.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42 seniors who attended an exercise program in a community health center, and the subjects of the control group were 28 seniors who attended a senior center. The tailored exercise program was applied to two groups on the basis of the subject's fitness and was in moderate intensity in each group. It was carried out for 16 weeks from Apr. 2007. The cognitive function means global cognitive function and cognitive functions which was executed by the frontal lobe and they were measured by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Digit span test, Trail making test, Verbal memory test, Controlled oral word association test and Finger tapping test. Depression was measured by Geriatric Depression Scale-Korean, Perceived Health Status was measured by Perceived Health Status Scale and Physical Strength(Muscular strength of the lower and upper part of the body, Aerobic endurance, Flexibility of the lower and upper part of the body, Agility and Dynamic balance) was measured by The Senior Fitness Test(Chair stand test, Arm curl test, 2-minute step test, Back scratch test, Chair sit and reach test, 8-Foot up and go test).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SAS program. The pre-test similar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analyzed by Fisher's exact test and ANOVA. Pre- and post- program comparison of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ree groups was analyzed by ANCOV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the terms of cognitive func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an difference of MMSE-K and Finger tapping test in three groups(F=1.42, p=.248; F=1.86, p=.163),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an difference of Digit Span forward Test, Trail Making Test, Immediate recall test, Delayed recall test, Controlled oral word association test in three groups(F=3.31, p=.043; F=4.35, p=.017; F=4.46, p=.015; F=3.54, p=.034; F=4.41, p=.016), so the experimental group was more improved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se cognitive functions. 2. In the terms of depress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an difference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Korean in three groups(F=5.84, p=.005), so the experimental group was more decreased than the control group in depression. 3. In the terms of Perceived Health Statu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an of Perceived Health Status Scale in three groups(F=2.42, p=.090), so the experimental group was not more improved than the control group in Perceived Health Status. 4. In the terms of Physical Strength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an difference of Chair stand test, Arm curl test, 2-minute step test, Back scratch test, Agility and dynamic balance in three groups(F=31.18 p=<.000; F=45.18, p=<.000; F=49.11, p=<.000; F=8.57, p=.001; F=3.24, p=.046), so the experimental group was more improved than the control group in muscular strength of the lower and upper part of the body, aerobic endurance, flexibility of the upper part of the body.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an difference of flexibility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and in three groups(F=0.13, p=.882). In this study, the tailored exercise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physical strength in seniors, which demonstrates the nursing intervention of the tailored exercise program on the basis of the subject's fitness, plays an essential role in maintaining and improving the health of senio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