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현임-
dc.creator강현임-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21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21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5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9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581-
dc.description.abstract최근 우리사회는 고령화로 인한 노인문제가 사회적인 쟁점이 되고 있다. 그중에 노인의 여가생활은 성공적인 노화와 삶의 질과 직결되는 중요한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노년기의 특성상 노인의 남은 생은 대부분이 여가시간으로 여성노인은 남성노인에 비해 더 오래 연명하면서 상대적으로 길어진 여가시간을 가지게 되었다. 특히 농촌여성노인은 도시여성노인 보다 의료 및 사회·경제적 측면으로 더 어려운 노년을 보내고 있어 여가생활에 어려움이 있다. 이는 농촌여성노인의 성공적인 노화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노인여가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 인식, 태도, 실태, 만족도,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한 것이다. 더군다나 농촌여성노인들이 체험하고 있는 여가생활의 의미와 본질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때문에 농촌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여가생활체험을 있는 그대로, 보다 깊이 있는 이해를 돕기 위해 질적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질적연구방법 중에서도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방법은 여가생활체험 연구에 있어 대상자의 언어, 신념, 문화와 사회적 관습 등에 내재해 있는 체험의 의미와 본질을 연구하는 데 유용하다고 사료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여성노인이 체험하는 여가생활의 의미와 본질이 무엇인지 이해하고, 그들의 삶의 과정에 있어서 여가생활이 어떤 영향과 의미를 주는지 밝혀내어 건강과 관련된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여성노인 11명이었다. 연구는 2006년 4월부터 2007년 4월까지 참여자와의 심층면담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그 결과 농촌여성노인이 체험하는 여가생활은 ‘어울림을 통해 외로움 극복하기’, ‘몸을 활용해 심신(心身)의 조화 이루기’, ‘내 힘으로 자식(子息)의 짐 덜어주기’, ‘무료한 세월보내기’, ‘소소한 즐거움 찾기’, ‘새로운 것을 익히며 뿌듯함 얻기’, ‘세상과 소통하며 살아가기’ 등의 7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농촌여성노인들이 체험하는 여가생활에 대한 주제 의미는 어울림을 통해 외로움 극복하기로 나타났다. 이는 농촌여성노인들이 외롭고 쓸쓸한 노년을 같은 연배노인들과 어울림을 통해 외로움을 극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은 마음을 터놓고 이야기도하고, 함께 어울려 관광을 가기도 한다. 또 여럿이 어울려 화투놀이를 하면서 음식을 먹으러 다니기도 하고 어울려 음식을 만들어 먹으면서 노년의 외로움을 극복한다. 농촌여성노인들이 체험하는 여가생활에 대한 주제 의미는 몸을 활용해 심신(心身)의 조화 이루기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이 되면서 점점 쇠잔(衰殘)해 지는 몸과 마음을 계속 몸을 사용하여 건강상태를 추스르고 마음을 다스려 심신의 조화를 이루면서 살아간다. 농촌여성노인들이 체험하는 여가생활에 대한 주제 의미는 내 힘으로 자식(子息)의 짐 덜어주기로 나타났다. 농촌의 어려운 경제생활에 애써 자식들에게 짐이 되지 않을까 소일거리를 하며 쌈짓돈을 마련하는데 남은 시간을 보낸다. 농촌의 특성상 자식들의 건강을 위해 질 좋은 먹거리를 마련하기 위해 농사일을 하면서 여가생활을 보내고 있다. 농촌여성노인들이 체험하는 여가생활에 대한 주제 의미는 무료한 세월보내기로 나타났다. 노인들은 노년의 시간에 주어진 일이 없어 아무 일도 하지 않고 그냥 세월을 보낸다고 표현하기도 하고 그러한 무료한 시간을 보내기 위해 잠을 청하기도 한다. 농촌여성노인들이 체험하는 여가생활에 대한 주제 의미는 소소한 즐거움 찾기로 나타났다. 노인들은 잠시나마 무료함을 벗어나기 위해 여행이나 일상의 즐거움을 찾기도 하고 농촌이라는 환경적 특성상 풍요롭고 생명력이 강한 자연을 접하며 인생의 소소한 즐거움을 찾는다. 농촌여성노인들이 체험하는 여가생활에 대한 주제 의미는 새로운 것을 익히며 뿌듯함 얻기로 나타났다. 농촌의 여성노인들은 평생 알지 못하며 살아왔던 불편들을 늦게나마 하나씩 알아가는 기쁨으로 또는 남은 인생 즐거움을 위해 뒤늦게 배우면서 여가생활을 보내고 있다. 농촌여성노인들이 체험하는 여가생활에 대한 주제 의미는 세상과 소통하며 살아가기로 나타났다. 그들은 같은 연배의 친구들과 계속 교류하며 삶의 반경을 넓히거나 텔레비전을 통해 세상 돌아가는 소식을 들으며 다른 세계와의 관계를 이어가고 있다. 텔레비전은 손쉽게 접할 수 있어 벗하며 외로움을 달랜다. 이상의 연구에서 농촌여성노인이 체험하는 여가생활은 자연과 동화되면서, 건강과 사회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농촌의 사회·경제적 특성으로 인한 외로움과 소외감 등을 연배노인들과 어울리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시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촌여성노인이 체험하는 여가생활을 통해 그들의 삶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고 간호학적으로 여가생활과 건강이 관련된 간호중재 활용성을 확인하고, 이를 적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As the senior citizens account for increasingly more share of the entire population, the woes facing the elderly are becoming critical social issues in Korea these days. Among such issues, leisure activities of the elderly are the significant elements impacting the success of post-retirement life and the quality of life in general.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old age, the elderly have most of their time available for leisure activities and the women in old age tend to have more free time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as their life expectancy is relatively longer. Notably, the women in old age in rural area suffer more difficulties in terms of healthcare, social interaction and economic welfare than the ones living in urban area, facing more challenges in relation to their free time, which has impact on the success and quality of life in old age for the female senior citizens in rural communiti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old age, elderly individuals' free time, which occupies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remaining years of their lives, is an important issue directly related to the life quality of older adults. However, majority of old people’s leisure study has been focused mostly on recognition, attitude, reality, satisfaction and revitalization plan, which lacks the study of truemeaning and nature of leisure that old people are experiencing. From this condition, I thought, we need deeper understanding of leisure experience of old women in farm as it is, and qualitative study method is appropriate for this.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van Manen’s Hermeneutical analysis and Phenomenological research are useful to study the true meaning and nature of experiences inherited from their language, belief, culture and social tradi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leisure activities experienced by older females in rural communities and, in reference to that,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develop health-promoting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by investigating the indications of leisure and its effects on older individuals' life proces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11 old women age of over 65 years old living in farm area.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006 to April 2007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the participants. Consequently, the leisure that the women from the rural community were found to have experienced came down to a total of seven themes or activities: (a) to overcome loneliness through social interaction and get-togethers; (b) to achieve balance between body and mind by engaging in physical activities; (c) to try and help ease the burden on one's children; (d) to simply kill time; (e) to find oneself small pleasures; (f) to learn something new and feel proud; and (g) to live one's life as maintaining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world. The female senior citizens in rural area are found to fight loneliness of old age by socializing with their peers of similar age. They open their hearts to each other, get together for a chat and join a tour program together. They also play card together, make themselves food or eat out together in an effort to shrug off their solitude. The female elderly in rural area engage in leisure activities so as to keep their health from deteriorating over age and maintain the peace of mind for more balance between their physical self and mental identity. Mindful of the economic woes facing most of rural communities, the female elderly engage in minor labor to earn themselves some allowance so as not to bother their children or grow crops or vegetables to provide wholesome food for them. Some just fool or sleep away the boredom of old life. The female elderly in rural area sometimes try to find a little bit of excitement by taking a group tour or engaging in leisure activities to forget the tedium of life. Thanks to the uniqu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at rural communities offer, they appreciate the richness and vibrancy of the nature surrounding them in search for a little enjoyment in daily life. The female elderly in rural area also find interest in lifetime learning programs to devote their free time to learning things that they have not learned from proper schooling experience or simply to make their remaining life more enjoyable. In addition to their buddies of similar age, they also befriend TV to keep in touch with the rest of the world in an easy way. They maintain their link to the outer world by watching news on TV. The study herein confirmed that the female elderly in rural area spend their free time on appreciating the nature, maintaining health and social interaction and hanging around with the peers of similar age to overcome economic woes and the feeling of estrangement unique in the social and economic context of rural communities. Therefore, the research herein aims to help understand the significance and nature of the life of the female elderly in rural area by analyzing their leisure activities, verify the effectiveness of nursing program to balance leisure and health from the perspective of nursing science and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implementation of such nursing progra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ⅳ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II. 문헌고찰 = 4 A. 여가 = 4 1. 여가의 개념과 특성 = 4 2. 한국의 전통적 여가 = 9 3. 노인의 여가생활 = 14 B. 여성노인의 건강과 여가생활 = 17 III. 연구방법 = 21 A. 해석학적 현상학 = 21 B. van Manen 연구방법 = 23 C.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단계 = 27 1. 체험의 본질을 향한 집중 = 27 1) 현상에 대한 지향 = 27 2) 현상학적 질문형성 = 28 3) 연구자의 가정과 선이해 = 28 2. 실존적 탐구 = 29 1) 여성노인의 여가생활체험에 대한 연구자의 경험 = 29 2) 어원의 추적 = 31 3) 관용어구의 추적 = 33 4) 문학과 예술로부터의 경험적 묘사 = 34 5) 연구 참여자의 경험적 진술 부문 = 69 6) 자료의 해석학적 현상학 분석과정 = 71 7) 질적 연구의 평가과정 = 73 IV. 연구결과 = 75 A. 농촌여성노인의 여가생활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반성 = 75 B. 해석학적 현상학 글쓰기 = 120 Ⅵ. 결론 및 제언 = 128 A. 결론 = 128 B. 제언 = 129 C. 간호학적 의의 = 130 참고문헌 = 132 부록 = 145 Abstract = 14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3278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농촌여성노인의 여가생활-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해석학적 현상학 접근-
dc.title.translatedLeisure activities of Old Women in Farm : Hermeneutical Phenomenology approach-
dc.creator.othernameKang, Hyun Im-
dc.format.pagev, 148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