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황은희-
dc.creator황은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21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21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49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93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49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일반 성인과 입원 대상자의 수면호흡장애 유병률을 파악하고, 입원 대상자의 수면장애 요인을 확인하여, 그 중재 방안인 체위요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00년에 경기도 A시에 거주하는 만 40세 이상 69세 이하의 성인 남녀를 모집단으로 하여, 1999년 A시청 인구추계자료를 근거로 성별 및 연령별로 비례 표본 추출한 자로 예방 유전체 사업을 위한 지역사회 코호트 연구(Korean Health and Genome Study, KHGS, Kim et al., 2004; Kim et al., 2007)에 참여하는 성인이다. KHGS 코호트 연구에 참여하는 성인은 매 2년마다 추적 조사를 받게 된다. 2002년의 조사에서 남성이 2,518명, 여성이 2,484명으로 총 5,002명이었으며, 2006년 4년 후 추적 조사에서는 남성이 1,848명, 여성이 1,684명으로 총 3,532명이었다. 입원 대상자의 수면호흡장애에 관한 연구 대상자는 경기도 G시와 전라북도 I시에 소재한 2개의 대학병원에 입원한 218명이었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07년 11월 22일부터 2007년 12월 3일까지의 총 12일간 진행되었다. 체위요법 효과 검증 연구의 대상자는 야간 수면다원검사 결과 코골이와 수면무호흡 증상이 있는 성인 6명이었으며, 연구 기간은 2007년 9월부터 12월까지 총 4개월간 진행되었다. 수면 중 체위를 보조해 줄 수 있는 기기를 이용하여 체위요법을 적용하였으며, 수면다원검사 지표를 통해 효과를 확인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9.13 version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 성인의 자가 보고에 의한 습관성 코골이 유병률은 2002년 17.35%에서 2006년에 24.75%로 증가하였으며, 관찰된 수면무호흡은 2002년 13.55%에서 2006년에 15.91%로 증가하였다. 2. 입원 대상자의 자가 보고에 의한 수면호흡장애 유병률은 코골이가 55.96%, 수면무호흡이 15.60%이었으며, PSQI로 측정한 수면의 질 점수는 평균 6.48점이었다. 입원 대상자의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은 질병 외적 요인으로 간호사의 처치를 위한 방문(2.75±0.69)이, 질병 요인으로 같은 방의 다른 환자의 코골이 소리(2.41±0.69)가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인의 코골이에 의해 입면방해 경험을 57.34%, 수면유지방해 경험을 51.38%, 수면방해 경험을 57.80%의 대상자가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체위요법은 수면호흡장애 대상자의 증상 완화에 부분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 수면호흡대상자에게 체위요법을 적용한 후 수면시 코골이 시간 비율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164). 2) 수면호흡대상자에게 체위요법을 적용한 후 수면시 무호흡-저호흡 지수는 유의하게 감소하지 않았다(p=.6342). 3) 수면호흡대상자에게 체위요법을 적용한 후 수면 만족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았다(p=.4837).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수면호흡장애 유병률이 점차 증가하고, 수면호흡장애가 건강문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의 실험 결과, 체위요법은 수면호흡장애 대상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법의 하나임을 일부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수면호흡장애 대상자를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체위요법을 적용한 연구가 필요하다.;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sleep disordered breathing in an adult Korean population and the hospital admitted patients, to determine the sleep disturbing factors of the patients, and finally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positional therapy on relief of symptoms in sleep disordered breathing adults. 5,002 individuals (2,518 men; 2,484 women) in 2002 year and 3,532 individuals (1,848 men; 1,684 women) in 2006 year derived from the Korean Health and Genome Study respectively, which is an ongoing population-based perspective study, were enrolled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sleep disordered breathing in an adult Korean population. For the admitted patients' prevalence study, 218 patients of two general hospitals were enrolled. The questionnaire asked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leep related factor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ositional therapy, 6 subjects with sleep disordered breathing were recruited. They had a diagnosis of positional sleep apnea by polysomnography. Each subject was evaluated baseline sleep indices at first night, and then fitted with supportive device to apply positional therapy at an experimental night. Full night polysomnography was measured both two nigh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SAS 9.13 version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2002, the prevalence of habitual snoring in an adult Korean population was 17.35% and witnessed sleep apnea was 13.55%. After 4 years later in 2006, the prevalence of habitual snoring and witnessed sleep apnea was 24.75%, 15.91% respectively. 2. The prevalence of snoring in the hospital admitted patients was 56.00% and the prevalence of witnessed sleep apnea was 15.60%. The PSQI mean total score which means subjective sleep quality was 6.48. Among the patients, more than 50% experienced sleep disturbances by others' snoring noise. 3. In the verifying positional therapy study, the subjects' sleep disordered breathing symptoms significantly improved partially. 1) After the positional therapy appliance, snoring time rate of the subjects was significantly reduced (p=.0164). 2) After the positional therapy appliance, sleep apnea-hypopnea index(AHI) of the subjects was not significantly reduced (p=.6342). 3) After the positional therapy appliance, sleep satisfaction was not significantly improved (p=.4837). In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sleep disordered breathing in an Korean adults was gradually increased and it causes a negative effect on health state. The positional therapy provides a simple, noninvasive, and comfortable means of reducing sleep disordered breathing symptoms. Hereafter, more diverse evaluation of the positional therapy and for the larger subject sample are requir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연구가설 = 5 D. 용어정의 = 5 II. 문헌고찰 = 9 A. 수면호흡장애(Sleep Disordered Breathing) = 9 B. 입원 대상자의 수면과 환경적 수면장애 요인 = 15 C. 체위요법(Positional Therapy) = 18 III. 연구방법 = 21 A. 일반 성인의 수면호흡장애 = 21 1. 연구설계 = 21 2. 연구대상 = 21 3. 연구도구 = 22 4. 자료수집방법 = 22 5. 자료분석방법 = 23 B. 입원 대상자의 수면호흡장애 = 24 1. 연구설계 = 24 2. 연구대상 = 24 3. 연구도구 = 24 4. 자료수집방법 = 26 5. 자료분석방법 = 26 C. 체위요법의 효과 검증 연구 = 27 1. 연구설계 = 27 2. 연구대상 = 27 3. 연구도구 = 28 4. 연구진행절차 = 33 5. 자료분석방법 = 34 IV. 연구결과 = 35 A. 일반 성인의 수면호흡장애 = 35 1. 일반 성인의 수면호흡장애 유병률 = 35 2. 일반 성인의 성별·연령별 수면호흡장애 유병률 = 37 B. 입원 대상자의 수면호흡장애 = 41 1. 입원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41 2. 입원 대상자의 수면호흡장애 유병률과 수면의 질 = 44 3. 입원 대상자의 수면장애 요인 = 46 4. 입원 대상자의 코골이로 인한 수면장애 = 48 C. 체위요법의 효과 검증 연구 = 50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50 2. 연구 대상자의 수면 관련 특성 = 51 3. 가설검증 = 53 V. 논의 = 59 A. 일반 성인의 수면호흡장애 = 59 B. 입원 대상자의 수면호흡장애와 수면장애 요인 = 62 C. 체위요법의 효과 = 66 VI. 결론 및 제언 = 70 A. 결론 = 70 B. 제언 = 73 C. 간호학적 의의 = 74 참고문헌 = 76 부록 = 87 Abstract =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167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수면호흡장애의 유병률 및 체위요법의 효과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Prevalence of Sleep Disordered Breathing and the Effect of the Positional Therapy-
dc.creator.othernameHwang, Eun Hee-
dc.format.pagevii, 107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