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7 Download: 0

기업의 공식적 멘토링에서 멘토의 오너십(ownership)과 몰입(commitment)의 인과요인 규명

Title
기업의 공식적 멘토링에서 멘토의 오너십(ownership)과 몰입(commitment)의 인과요인 규명
Other Titles
Analysis of Antecedents and Consequence of Mentor Ownership and Commitment in Formal Mentoring within Corporate Settings
Authors
장정훈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Since a highly skilled workforce is regarded as the main source of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many corporations continue to invest in talent acquisition and employee development. In recent years, many corporations based in Korea have introduced and implemented formal mentoring programs to facilitate work-integrated learning. Unlike the mentoring programs operated in educational contexts, corporate mentoring programs are used as a means for improving mentors’ leadership and coaching competencies as well as developing mentees’ knowledge and skills. That is, mentors and mentees are co-learners under a corporate mentoring program. Formal mentoring, especially established within a corporate context is collaborative learning partnerships between a mentor and a mentee which facilitate mutual learning and growth of both parties. Most of all, it is mentor ownership and commitment that are key ingredients of a successful mentoring relationship.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mentor ownership and commitment in formal mentoring, relatively little attention has been directed toward understanding the process and outcome of formal mentoring from the mentor’s perspective. Specifically, existing researches which examined mentor ownership and commitment by and large were focused on identifying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separately by using regression analysis. Therefore, these studies seemed to fail to empirically identify the extensiv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mentor ownership and commitment. Accordingly,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tecedents and consequence of mentor ownership and commitment from the mentor’s perspective, and to empirically verify an entire structural model which indicate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ntecedents and consequence of mentor ownership and commitment. This research examined the following 3 questions: 1. What are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 of mentor ownership and commitment? 2. Does the theoretical causal model of antecedents and consequence of mentor ownership and commitment indicate a reasonable model fit? 3. Ar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antecedents and consequence of mentor ownership and commitment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e initial theoretical model for analysis was proposed. The model included 8 latent variables: a mentor’s ‘learning goal orientation’, ‘perceived similarity’, ‘perceived mutuality’ toward his/her mente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mentoring ownership’, ‘mentoring commitment’ and ‘perceived mentoring program effectivenes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earch questions a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in 6 companies. A total of 225 cases were examined for this study (incomplete an untrustworthy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for final analysis. For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us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a mentor’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were found to measure the same factor. These two factors were merged since they are known as supportive mentoring environment. Therefore, initial theoretical model consisting of 8 factors was modified to a model consisting of 7 factors. Based on the modified theoretical mode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a mentor’s learning goal orientation, perceived similarity and perceived mutuality toward his/her mentee, perceived organizational & supervisor support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factors that affect mentor ownership and commitment directly. A mentor’s perceived mentoring program effectiveness was identified as a significant consequence of mentor ownership and commitment. Second, with regard to the structural model fi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7-factor model provided a reasonable fit to the data (X² (258, N = 225) = 541.328 (p = .000), X²/df = 2.098; CFI = .944, TLI = .935, RMSEA = .070). Namely, it was verified that the theoretical model consisting of 7 variables were reasonable. Thir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antecedents and consequence of mentor ownership and commitment wer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A mentor’s learning goal orientation, perceived similarity and perceived mutuality toward his/her mentee, perceived organizational & supervisor support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both mentor ownership and commitment. Both mentor ownership and mentor commitment had direct effects on a mentor’s perceived mentoring program effectiveness. Among the antecedent variables, a mentor’s perceived mutuality and learning goal orientation were proved to be relatively influential factors which had direct effects on both mentor ownership and mentor commitment. Among the mediating variables, mentor commitment was proved to be the more influential factor which had a direct effect on a mentor’s perceived mentoring program effectiveness. In addition, a mentor’s learning goal orientation, perceived similarity and mutuality toward his/her mentee,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 supervisor support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a mentor’s perceived mentoring program effectiveness through mentor ownership and mentoring. Thus, it was identified that mentor ownership and commitmen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tecedents and consequence of mentor ownership and commitment. Among the antecedent variables, a mentor’s perceived mutuality and learning goal orientation were proved to be relatively influential factors which had also indirect effects on a mentor’s perceived mentoring program effectivenes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om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future research would benefit greatly from collecting data 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 of mentor ownership and commitment from mentor/mentee pairs, a mentor’s supervisor, mentoring coordinators via surveys or interviews. It will allow for deeper understanding of metoring relationship from multiple points of view. Second, it will be interesting to compare two competing models, including a first-order factor model and a second-order factor model and identify the best-fitting model. Third, future research should take into account other variables that might have causal relationships with mentor ownership and commitment. Fourth, there is also need for identifying factors and conditions which facilitate or inhibit mentor ownership and commitment. Fifth,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examine the collaborative learning process of a mentor and a mentee. Finally,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the results obtained here are applicable to mentors in other types of organizations.;본 연구는 기업의 공식적 멘토링 관계에서 멘토도 멘티와 공동 학습자라는 가정에서 출발하여, 멘토의 오너십과 몰입의 인과요인을 규명하고, 이러한 요인들간의 직, 간접적인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잠정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공식적 멘토링에서 멘토의 오너십과 몰입에 대해 유의미한 인과관계에 있는 주요 요인들은 무엇인가? 2. 멘토의 오너십과 몰입의 인과요인 잠정모형은 적합한가? 3. 멘토의 오너십과 몰입에 대해 인과관계에 있는 요인들간의 직, 간접적인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멘토의 ‘학습목표지향성’, 멘티에 대해 ‘지각된 유사성’과 ‘지각된 유용성’, ‘조직의 지원’, ‘상사의 지원’, ‘멘토의 오너십’, ‘멘토의 몰입’, 멘토의 ‘멘토링 프로그램 효과성 지각’이라는 8개 요인간의 인과관계를 설정하여 초기 잠정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연구도구를 개발하여 6개 기업의 멘토를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25명의 표본을 본 연구의 최종 분석대상으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목적에 따라 기초 통계 분석, 상관분석,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초기 잠정모형에 포함된 잠재변인 중에서 ‘조직의 지원’과 ‘상사의 지원’ 요인은 동일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두 요인은 멘토링에 대한 지원적인 조직환경으로 볼 수 있는 이론적 근거가 있으므로, 하나의 요인으로 결합하여 8개 요인으로 이루어진 초기 잠정모형을 7개 요인으로 재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측정방정식 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를 토대로,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기업의 공식적 멘토링에서 멘토의 오너십과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멘토의 ‘학습목표지향성’, 멘티에 대해 ‘지각된 유사성’과 ‘지각된 유용성’, ‘조직/상사의 지원’으로 나타났으며, 결과요인은 멘토의 ‘멘토링 프로그램 효과성 지각’으로 나타났다. 둘째, 7개 요인이 포함된 멘토의 오너십과 몰입의 인과요인 잠정모형에 대한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X² (258, N = 225) = 541.328 (p = .000), X²/df = 2.098; CFI = .944, TLI = .935, RMSEA = .070 으로, 전반적인 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이를 본 연구의 최종모형으로 확정하였다. 셋째, 멘토의 오너십과 몰입의 인과요인들간의 직, 간접효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멘토의 오너십과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4개 요인 중에서 ‘멘티에 대해 지각된 유용성’과 멘토의 ‘학습목표지향성’은 다른 요인에 비해, 멘토의 오너십과 멘토의 몰입에 대한 직접효과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핵심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멘토의 멘토링 프로그램 효과성 지각에는 멘토의 오너십과 몰입이 모두 의미있게 작용하는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멘토의 몰입이 멘토의 오너십보다 멘토의 멘토링 프로그램 효과성 지각에 대한 상대적인 기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멘토의 ‘학습목표지향성’, 멘티에 대해 ‘지각된 유사성’과 ‘지각된 유용성’, ‘조직/상사의 지원’은 각각 ‘멘토의 오너십’과 ‘멘토의 몰입’을 매개로 하여, 멘토의 ‘멘토링 프로그램 효과성 지각’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멘토의 오너십과 몰입이 멘토의 오너십과 몰입의 영향요인과 결과요인 사이에서 매개변인으로 의미있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멘토의 ‘멘토링 프로그램 효과성 지각’에 대한 간접효과가 상대적으로 큰 요인은 ‘멘티에 대해 지각된 유용성’과 멘토의 ‘학습목표지향성’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멘티에 대해 지각된 유용성과 멘토의 학습목표지향성 요인은 모두 멘토의 오너십과 몰입뿐 아니라, 멘토의 멘토링 프로그램 효과성 지각에도 상대적으로 다른 요인에 비해 영향력 있는 핵심변인으로 작용함을 나타낸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첫째, 향후 연구에서는 멘토 이외에, 멘티를 함께 연구대상으로 하여 멘토링 커플 단위로 자료를 분석(dyadic analysis)할 필요가 있다. 이 밖에도, 멘토의 상사, 멘토링 코디네이터 등과 같은 멘토링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설문이나 인터뷰를 병행하여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멘토의 오너십과 몰입의 인과요인에 대해 보다 다각적이며 심층적, 객관적인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둘째, 향후 연구에서는 멘토의 오너십과 몰입의 인과요인간에 위계를 설정하지 않은 1차 요인 모형과 관련성이 높은 요인들간의 위계를 설정한 위계적 모형 (hierarchical model)을 경쟁모형으로 가정하고, 이 두 모형의 적합도를 비교 분석하여 최적 모형을 결정하는 것도 의미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셋째,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다루어진 변인 이외에 멘토의 오너십과 몰입에 유의미한 인과관계에 있는 다른 개인 특성 변인, 멘토링 관계 특성 변인, 멘토링 프로그램 특성 변인, 멘토링 성과 변인을 추가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에는 멘토의 오너십과 몰입을 촉진, 저해하는 요인을 심층적으로 규명하고, 멘토의 오너십과 몰입 촉진 전략 개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향후 연구에서는 학습의 관점에서 멘토와 멘티가 멘토링을 통해 어떻게 상호 협력 학습을 경험하는지에 대해 심층적으로 규명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본 연구 결과의 재검증을 위해, 다른 업종이나 산업분야의 기업에서 활동하고 있는 멘토를 연구대상으로 확장하여 연구를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