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4 Download: 0

만2세 영아반에 적절한 음악경험이 음악적성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만2세 영아반에 적절한 음악경험이 음악적성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Appropriate Music Experiences on Music Aptitude and Attitude of Two Year-Olds
Authors
황인주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만2세 영아반에 적절한 음악경험이 음악적성과 음악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즉 영아기에 적절한 음악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영아기에 적절한 음악을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간에 영아들의 음악적성과 음악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만2세 영아반에 적절한 음악경험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Ⅰ. 만2세 영아반에 적절한 음악경험이 음악적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 만2세 영아반에 적절한 음악경험이 음정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 만2세 영아반에 적절한 음악경험이 리듬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Ⅱ. 만2세 영아반에 적절한 음악경험이 음악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 만2세 영아반에 적절한 음악경험이 교사가 제안하는 음악활동의 참여유형과 빈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만2세 영아반에 적절한 음악경험이 음악관련 자발적인 행동유형과 빈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안산시에 소재한 S 어린이집의 만2세 영아 28명과 C 어린이집의 만2세 영아 28명으로 총56명이다. S 어린이집의 영아는 실험집단으로 C 어린이집의 영아는 통제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10주 동안 일상생활을 통하여 연구자에 의한 만2세 영아반에 적절한 음악을 경험하도록 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만2세 영아반에 적절한 음악을 경험하지 않고 담임교사에 의한 일상적인 음악활동이 이루어졌다. 연구절차는 예비검사,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본 실험 전과 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영아를 대상으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처치에 사용된 만2세 영아반에 적절한 음악경험은 연구자가 영아의 음악적 발달과 선행연구를 고려하여 고안한 것으로 10가지 주요활동(소리감각, 노래부르기, 감상, 악기연주, 즉흥연주, 손유희, 움직이기, 간단한 게임, 말·소리·음악 게임, 일상적 음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실험에 사용된 음악경험의 수는 총29개로 10주에 걸쳐 진행되었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만2세 영아반에 적절한 음악경험은 일상생활에서 주로 개별활동, 소집단활동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영아의 음악성발달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과 사후에 음악적성검사를 실시하고 음악태도를 관찰하였다. 음악적성 검사는 Gordon(2004)의 PMMA(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로 음정과 리듬검사 문항을 난이도 순으로 재편집하여 사용하였다. 음악태도 중 교사가 제안하는 음악활동의 참여유형과 빈도는 연구자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음악활동을 실시하고 동영상 촬영하여 영아의 참여유형과 빈도를 10초 간격으로 분석하였다. 음악관련 자발적인 행동유형과 빈도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하루 일과를 각 영아 당 총 120회(1회당 10초) 관찰하여 행동유형과 빈도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각각의 점수는 음악적성은 t 검증을, 음악태도(교사가 제안하는 음악활동의 참여유형과 빈도, 자발적인 음악행동의 유형과 빈도)는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한 사후검사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2세 영아반에 적절한 음악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만2세 영아반에 적절한 음악을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간에 음악적성과 음악태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음악적성은 음정과 리듬 검사 모두 통제집단보다 실험집단 영아들이 더 많이 향상되었으며 음정과 리듬 검사 중 음정점수가 더 많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태도는 교사가 제안하는 참여유형과 빈도, 음악과 관련된 행동유형과 빈도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교사가 제안하는 활동의 참여유형과 빈도는 손유희, 동작활동, 악기연주하기 중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악기연주하기에 참여하는 빈도가 가장 높았다. 비참여, 소극적 참여(거리유지-시각적 응시, 교사주위-다른곳 응시, 교사주위-시각적 응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적극적 참여(노래부르기, 연주하기, 움직이기)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음악관련 자발적인 행동유형과 빈도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자발적인 노래부르기의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노래부르기, 악기다루기, 움직이기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자발적인 노래부르기는 자발적 발성과 자발적 노래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자발적인 악기다루기에서는 악기관심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자발적인 움직이기에서는 전음악적 움직이기와 음악적 움직이기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자발적인 듣기에서는 다른 행동과 동시에 듣기가 일어나는 경우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appropriate music experiences for toddlers on music aptitude and attitude.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s have been set up as follows: 1. What are the effects of appropriate music experiences on music aptitude? 1-1. Are there any effects of appropriate music experiences for toddlers on tonal? 1-2. Are there any effects of appropriate music experiences for toddlers on rhythm? 2. What are the effects of appropriate music experiences on music attitude? 2-1. Are there any effects of appropriate music experiences for toddlers on participation styles and frequencies during teacher-directed music activities? 2-2 Are there any effects of appropriate music experiences for toddlers on behavior styles and frequencies during spontaneous music pla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6 toddlers who were two years old and enrolled at the Child Care Center in Ansan city. The experimental group was 28 toddlers who were enrolled at S Child Care Center; the controlled group was 28 toddlers who were enrolled at C Child Care Center, both in Ansan city. The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with appropriate music experiences for toddlers for 10 weeks. The controlled group was given no treatment related to appropriate music experiences for toddlers. The instructional regimine of appropriate music experiences for toddlers was designed by a researcher who considered the toddlers' musical development and the recommended courses of study found in the literature on the subject. This instructional regimine consisted of 29 activities. The researcher constructed 10 principal experiences (musical sense, sing a song, listening, playing an instrument, improvisation, finger play, moving, simple games, word-sound music games and routine music), and these experiences were practiced alone, in small groups, as part of their normal routine. In order to examine the toddlers' musicality, pre-tests and post-tests were practiced before and after treatment. To test music aptitude, Gordon's (2004) PMMA (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 was used and the tonal and rhythm questions were re-listed in ascending order of difficulty. To test the music attitude, participation styles and frequencies during teacher-directed music activities, behavior styles and frequencies during spontaneous music play were used. For measuring the first, musical activities were practiced by the researcher. Each toddler's participation styles and frequencies were analyzed per 10 second. For the second, each toddler was observed 120 times (one time is 10 seconds) in routine. In order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tests for music aptitude, and ANCOVA for music attitude were applied for the statistical processing. The covariances were the results of the pre-tests. The final findings from these analyse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music aptitude and attitud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by appropriate music experiences for toddlers and the controlled group which had no treatme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ic aptitude developm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Also the tonal test resulted in more improvement than the rhythm te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ic attitude in both the participation styles during teacher-directed music activities and behavior styles in spontaneous music pla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In participation styles and frequencies during teacher-directed music activities tim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ctive participation but no difference in passive participation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In behavior styles and frequencies of spontaneous music pla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pontaneous singing, playing, moving but no difference in listening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In spontaneous singing,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oth spontaneous vocalization and spontaneous songs. In spontaneous playing,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teresting the instruments. In spontaneous moving,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oth pre-music moving and musical moving. In spontaneous listening,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ly listening with other spontaneous music pla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