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4 Download: 0

유치원 학급규모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Title
유치원 학급규모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ropriety of class size at Kindergarten
Authors
정계영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유치원 학급규모의 실태를 파악하고, 유아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적정한 학급규모가 어느 정도이어야 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07년 유치원의 학급규모 현황과 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유아의 연령과 기관 소재지 및 기관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더불어 학급규모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유형과 질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유치원의 연령별 학급규모의 현황은 어떠하며, 유치원 변인(소재지, 설립유형, 시간 운영의 형태, 보조교사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학급규모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연령별로 어떠한가? 2-1. 현 학급규모의 적정성에 대한 인식은 어떠하며, 유치원 변인(소재지, 설립유형, 시간 운영의 형태, 보조교사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2. 교사 업무(교육과정 운영, 유아 생활지도, 학급 운영, 행정 및 사무 업무)와 관련한 학급규모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3. 교사들이 생각하는 적정 학급규모와 방안은 무엇인가? 3. 학급규모에 따라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형 및 질의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방법은 설문조사와 관찰이었다. 연구문제 1번과 2번을 위한 설문조사는 전국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1,410부의 설문지가 배부되었고, 이 중에서 1,007부가 회수되어 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지의 분석은 SPS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t 검증 및 일원변량분석, 그리고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3번을 위해서는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학급규모 현황, 교사들이 인식하는 적정 규모, 시·도 교육청에서 정한 학급당 원아수의 전국 평균 등을 고려하여 선정된 3개 유치원에서 자유놀이시간 동안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관찰하였다. 관찰방법은 시간표집법을 사용하였으며, 관찰내용은 연령별 학급규모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유형과 질의 차이를 상관관계와 t 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당 원아수는 만 3세 학급은 약 21명, 만 4세 학급은 약 25명, 만 5세 학급은 약 27명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학급규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대 유아 비율은 만 3세반이 1:13, 만 4세반이 1:19, 만 5세반이 1:20, 혼합연령이 1:14 정도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는 선행 연구들이나 NAEYC의 규정, 그리고 OECD 국가들에 비해 여전히 학급규모가 크고, 교사 대 유아의 비율이 높은 것이므로 학급당 원아수의 감축이 필요하다. 또한 학급규모는 기관소재지나 기관 변인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므로 각 요인의 특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둘째, 현 학급규모의 적정성에 대해 대체로 많은 교사들이 너무 많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지역별로 다소의 차이가 있기는 하였으나 교사들이 인식하는 유치원의 적정 학급규모는 만 3세가 13명~18명, 만 4세가 15명~20명, 만 5세는 16명~21명이었다. 교사들이 현 학급당 인원수가 많다고 생각하는 가장 큰 이유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문제 때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개인차에 따른 개별 교육을 강조하는 유아교육에서 학급당 원아수가 많을수록 교사-유아 상호작용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유아 개개인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도모할 수 있는 수준으로 학급규모를 감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들은 학급규모가 교사의 업무에 비교적 영향을 많이 미치며, 학급운영, 교육과정운영, 유아생활지도, 행정 및 사무업무의 순으로 학급규모가 교사의 직무에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였다. 교사들이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뿐 아니라 유아와 질 높은 상호작용을 하기에 적정한 수준으로 학급규모를 감축하는 일이 질 높은 교육의 전제조건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학급규모에 따라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형의 차이가 나타나 학급규모가 커질수록 정교하고 집중적인 상호작용은 줄어들고, 부정적인 상호작용은 증가하였다. 정교하고 집중적인 상호작용은 전체적으로 만 3세반은 25명 학급보다 17~18명 학급에서, 만 5세반은 30명 학급보다 22~25명 학급에서 더 많이 일어났다. 그러나 만 4세반은 25명 학급에서 일어난 정교하고 집중적인 상호작용이 28명 학급과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로써 교사-유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위해서 만 3세반은 19명, 만 4세반은 25명, 만 5세반은 27명으로 규정한 우리나라의 학급당 원아수 기준을 좀 더 하향 조정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학급규모는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과 상관이 있어 상호작용 전체의 질과 높은 부적 상관을 나타냈을 뿐 아니라 모든 연령에서 학급의 규모가 클 때 상호작용의 질이 낮았다. 상호작용의 전체적인 질에 있어서 만 3세반은 학급규모가 25명일 때보다 17~18명일 때 현저히 높게 나타났고, 만 5세반도 30명일 때보다 22~25명일 때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역시 만 4세반은 상호작용의 질에 있어서도 25명일 때와 28명일 때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상호작용의 질적인 측면에서도 만 3세반은 19명, 만 4세반은 25명, 만 5세반은 27명으로 규정한 우리나라의 학급당 원아수 기준을 좀 더 하향 조정할 필요가 있음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유치원의 연령별 학급규모는 2004년과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현 학급규모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측면에서 너무 크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관찰결과에서도 우리나라 시·도 교육청에서 정한 기준보다는 좀 더 하양 조정해야 할 필요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교사들의 인식과 관찰이 최적의 학급규모라 할 수는 없겠지만 교사들이 유아들과 질 높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둘째, 학급당 학생수의 감축은 더 많은 교사를 필요로 하는 일이므로 학급규모 감축으로 인해 요구되는 교원을 충분히 확보하여야 한다. 그러나 교사의 질이 떨어져서는 결코 안 되기 때문에 기존 교사의 자질 향상과 신임교사의 전문성 확보를 통해 학급규모 감축의 효과를 극대화하여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kindergarten class size, and to find out what is the appropriate class size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ren education and to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 For this study, in 2007, searched the class size of kindergarten and how is the teachers' understanding for size different by the children's age, location of the school, the types of establishment, the time management and the existence of assistant teachers. And also searched the patterns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children and the difference of the quality by the class size. The research questions are the followings: (1) How is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class size according to children's age in Korea·; Does the class size have difference according to location of the school, the types of establishment, the operation time and the existence of assistant teachers·; (2) How do teachers feel about the class size according to their children ages·; (2-1) How do they feel about the propriety of present class size, and is it different by the location of the school, the types of establishment, the operation time and the existence of assistant teachers·; (2-2) How do teachers feel about class size related to duties of them(curricular and instructional behaviors, and daily class conduct, class management, administrative tasks)·; (2-3) How much is the proper class size where teachers think and what suggestion they make for the changes·; (3) Does the class size affect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children in teaching and learning setting in kindergarten· The investigator in this study used questionnaires and observation for data collection. The study distributed a total of 1,410 questionnaires to teachers. 1,007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with SPSS (i.e., t test, ANOVA and ). And three kindergartens were selected by considering that they meet national wide average of the class size represented the research response, resonable class size which teachers considered and the class members which designated by National Education Department. The observation was conducted during free playing time to see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children. Time sampling was used as a way of observation. The patterns of interaction and the difference of quality between teacher and children according to classes of different size. Data were analyzed by t test and correlation. The results of study were the followings. First, the numbers of children in kindergartens in Korea were in average: (1) class for age 3 was 21; (2) age 4 was 25; (3) and age 5 was 27. It appeared that the number of children grew as they got older. The teacher's ratio was in average: (1) one teacher per 12 children in class of age 3; (2) one teacher per 14 children in class of age 4; (3) one teacher per 14.5 children. The number of children revealed by the study is higher than NAEYC standards and OECD countries, which results in the high ratio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The ratio was variable from institutions and reigns where they are located. Second, most teachers responded that class size was too large and considered idealistically a small class with 13-18 children at age 3, 15-20 children at age 4, and 16-21 children at age 5. They found it difficult to having meaningful interaction with children and individualizing instruction to children in a developmentally appropriate way. Third, they complained about spending too much time working on non-teaching behaviors in a large class and were afraid the loss of teaching effectiveness caused by the poor interaction with children. In the same context, teachers believed that a large class could hurt the quality of class management, curricular and instructional behaviors, and daily class conduct, administrative tasks. Fourth, there existed different types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children in accordance with classes of different size. More meaningful and intensive interactions were observed in smaller classes.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number of children in class at all age for positive interaction of a teacher-children. Fifth, in correlation analysis the large classes were associated negatively with the quality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It is also need to reduce the number of children in class at all age for high interaction in qua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issues should be open up for discussion. First, most kindergartens in Korea have overly crowded classes. The number in 2007 was similar with the one in 2004. Of course, both NAEYC standards and OECD countries recommend having a smaller class. The teachers in this study reached a consensus that class size was an important variable to determine overall quality of instruction and class conduct in kindergarten. The desirable class size the teachers wanted was smaller than what the guideline suggested in Korea. Second, it must be a priority agenda among innovative plans ongoing on education field in Korea. As the education environment changes, teacher education programs would revisio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 and produce qualified teachers to meet the demand of recruiting market in Ko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