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6 Download: 0

朝鮮 17~18世紀 鐵畵白磁 硏究

Title
朝鮮 17~18世紀 鐵畵白磁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White Porcelains in Underglaze Iron-brown of the 17~18th Centuries Joseon Dynasty
Authors
송인희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17~18th century is the central period when the White Porcelains in Underglaze Iron-brown(鐵畵白磁) were briskly manufactured. In this period, a new aspect coexisted with the tradition from the previous time, linking the former term to the latter term in the porcelain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This study originated from an attempt to understand this consecutive flow in porcelain history, by grasping the period aspect indicated in the White Porcelains in Underglaze Iron-brown.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this continuance, the point is that the White Porcelains in Underglaze Iron-brown need to be understood in a new point of view out of the simple unilinear division in fashion and decline. In such a point of view, the complexion of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in central and local kilns needs to be considered as well as the diverse demand for the White porcelains in underglaze Iron-brown and the relationship with porcelains in other pigments In order to grasp the aspect of the White Porcelains in Underglaze Iron-brown of the 17~18th centuries, the conditions of manufacturing porcelains in this period would be understood first. Also the use of iron-brown pigment needs to be examined with the direct relevance to the subject. And the aspect of manufacturing porcelains for the private use in the royal kilns could be a part of consideration along with the situation that the porcelains were distributed as a product in the 17~18th centuries, a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that the manufacture of the White Porcelains in Underglaze Iron-brown can be actually expanded. Regarding the White Porcelains in Underglaze Iron-brown of the 17~18th centuries, the aspect would be examined by dividing the production relics into royal kilns and local kilns according to their basic characters. And the excavations from the consumption relics would deserve consideration, for porcelains regarded as consumption goods. Based on the researches of these production relics and the consumption relics, excavations from each could show certain changes in the aspect of the shape and the design. And from what can be seen in this process, the White Porcelains in Underglaze Iron-brown of the 17~18th centuries seem to reveal their characteristics. The White Porcelains in Underglaze Iron-brown produced in royal kilns are thought to be directly linked to the use of the iron-brown pigment. The use of this iron-brown pigment is confirmed to be gradually expanded into diverse qualitative level. It means that the manufacture of the White Porcelains in Underglaze Iron-brown seems to display qualitative diversity, showing more tendency to be patternized and simplified along with the refined designing techniques shown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as the demand brackets for porcelains were expanded, local kilns produced white porcelains with designs, mainly patterned with grass and floral motifs. Out of this, similarity between designs shown in the products from royal kilns and the local kilns has been surmised to have an influential relationship. And from the researches of local kiln sites whose period are thought to be preceding, the aspect of patterns reveals local difference to some extent. However, as the products from the kilns in latter period could lead to the more simplified and patternized tendency in designs, this local difference seems to be mixed and combined. Through this, manufacture of the White Porcelains in Underglaze Iron-brown in the local kilns are thought to share similarities to some degree. Also, in this sense, the aspect of manufacturing the White Porcelains in Underglaze Iron-brown is estimated to reflect the local character together with the difference in period. And these differences show a certain flow that is connected to the latter term of Joseon dynasty while being gradually mix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White Porcelains in Underglaze Iron-brown shown in consumption relics, they show both the governmental and the private use. And the aspect of the excavations could be divided again qualitativel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tatus of each consumption source. Also in light of the characteristics and the excavations of those historic sites, the White Porcelains in Underglaze Iron-brown is thought to be somewhat restrictive in use rather than being limited in the daily sphere.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e change shown in the White Porcelains in Underglaze Iron-brown of the 17~18th centuries can be divided in kinds as the daily wares including jars(壺), bottles(甁), bowls(鉢), and plates(楪匙) and the writing materials(文房具) plus epitaphs(墓誌). In case of pattern, they are examined with Cloud and Dragon Design(雲龍文), Plum, Orchid, Chrysanthemum and Bamboo Designs(梅·蘭·菊·竹文), and Grass and Floral Designs(草花文) along with Grape Vine Design(葡萄文). Through the aspect of a change in designs expressed on the White Porcelains in Underglaze Iron-brown of the 17~18th centuries, it seemed that the tendency of simplified patternizing deepens as being confirmed mostly in the production relics. Especially in case of Cloud and Dragon design, it is thought to be directly related to the status of the iron-brown pigment. However, amid that the rigidity shown in the Cloud and Dragon Design itself is dissolved, expansion of the demand brackets seems to be reflected in its change. Compared to the instances of the earlier period, which show the relatively refined techniques, the Plum, Orchid, Chrysanthemum and Bamboo Designs also show the tendency of gradual patternizing, center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s. Also the simplified Grass and Floral Designs seem to be originated from these Plum, Orchid, Chrysanthemum and Bamboo Designs in the process of their simplification. Thus, the characteristics in designs would be grasped to be gradually mixed or modified enough to be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kind of their patterned designs. And in case of the Grape Vine Design, there were not many examples left to be confirmed. However, like the expression in other designs, the refined techniques are shown even partially in the midst of being designed, and the aspect of qualitative diversity can be displayed as well. The White Porcelains in Underglaze Iron-brown of the 17~18th centuries hereby can be understood in awareness of the use of iron-brown pigment and the relation to the phase of its change. In this period, the statutus of the pigment is reinforced and its use is gradually generalized. And the designs expressed are supposed to be associated with the base of porcelains in designs. Out of this, the aspect of the designs on the White Porcelains in Underglaze Iron-brown could be confirmed to show a certain similarity between the products from royal kilns and local kilns. And their certain directivity, which can be grasped from this similarity, reveals qualitative diversity together with quantitative expansion in the White Porcelains in Underglaze Iron-brown of 17~18th centuries. This aspect supports the point that the White Porcelains in Underglaze Iron-brown cannot be prescribed only with the simple view of fashion and decline. It also suggests that the White Porcelains in Underglaze Iron-brown need further consideration of their patterns and designs, escaping from the repeated analysis of their phenomenal aspect. Therefore, the aspect of the White Porcelains in Underglaze Iron-brown of the 17~18th centuries can be understood to be what connects the aspect of the base linked to the latter term of Joseon dynasty, in the successive flow of the overall porcelain history.;조선의 17~18세기는 철화백자가 활발하게 제작되는 중심 시기인 동시에, 도자사적으로 조선전기에서 후기로 이어지면서 이전 시기의 전통과 새로운 양상이 공존하는 때이다. 본 논문은 철화백자에 나타나는 시기별 특징을 이해함으로써 유행과 쇠퇴의 단선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중앙과 지방, 다른 안료와의 제작 상관성, 수요의 다각화를 구조적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시도하였다. 17~18세기에 나타나는 철화백자의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자 제작 상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였으므로 철화백자의 제작과 직접 관련된 안료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또한 관요(官窯) 내에서 이루어지는 사번(私燔)의 양상을 검토하고 이와 함께 상품(商品)으로서 자기가 유통되는 양상을 파악하여 철화백자의 제작이 실제적으로 확산될 수 있는 배경을 이해하고자 했다. 17~18세기 철화백자의 생산 양상은 생산유적을 기본적인 성격에 따라 관요와 관요 이외의 요업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소비재로서의 성격이 강한 도자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생산유적의 양상 뿐 아니라 소비되는 양상 역시 검토되어야함을 고려하여 소비유적의 출토 양상도 함께 다루었다. 또한 생산유적과 소비유적의 현황을 토대로 17~18세기로 추정되는 유물들을 기종과 문양으로 나누어 그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으며, 나아가 17~18세기 철화백자가 나타내는 성격을 고찰하고자 했다. 생산유적 가운데 관요에서 나타나는 철화백자의 양상은 곧 철화안료의 쓰임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점차 다양한 질적 수준에 따라 철화안료의 쓰임이 확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문양 표현은 대체로 도식화, 간략화되는 경향이 있었으나, 정치한시문 수법을 보이는 예와 함께 철화백자의 제작이 질적인 다양성을 보이면서 수요층이 저변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요 이외의 가마터에서는 대개 초화문, 특히 도식화된 형태의 문양이 주로 시문되었다. 이 가운데 관요와 문양표현에서 얼마간 유사성을 보이는 경우 상호 영향 관계가 추정되었으며, 시기가 앞서는 가마터들의 경우에는 문양의 양상에서 다소간 지역적 차이도 드러났다. 그러나 이러한 구분은 시기가 늦을수록 문양의 간략화와 도식화 경향이 심화되면서 비슷하게 나타나 지역적 구분이 어려웠다. 이를 통해 관요 이외 가마터에서 이루어진 철화백자의 제작 양상은 관요와 경기도 이외의 지역으로 이분되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얼마간 유사점을 공유하는 것으로 파악했다. 그러나 시기적인 차이와 함께 지역적 차이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철화백자의 제작 양상에 시기차와 함께 지역 특성이 반영될 수 있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지역차는 점차 혼재되면서 조선후기로 이어지고 있었다. 소비유적에서 나타나는 철화백자의 양상을 유적 성격에 따라 살펴본 결과, 철화백자의 쓰임이 관(官)과 민(民)의 영역에서 모두 나타났다. 또 그 출토 양상은 각 소비처의 성격과 위상에 따라 다시 질적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유적지의 성격과 출토 양상으로 미루어 그 용도는 일상적인 영역외에 어느 정도 제한적인 특징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러한 이해를 토대로 17~18세기 철화백자의 기형과 문양을 기종에 따라 호와 병, 발과 접시를 포함한 일상기명과 문방구, 묘지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문양은 운룡문과 매·난·국·죽문 및 기타 초화문과 함께 포도문을 중심으로 검토했다. 이 가운데 17~18세기 철화백자에 표현되는 문양은 대체로 생산유적에서 확인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도식화와 간략화가 심화되는 것으로 보았다. 운룡문은 철화 안료의 위상과 관련하여 독자적 영역을 확보하고 있었다고 생각되지만, 점차 운룡문 자체가 갖는 문양소재의 엄격성이 해제되는 가운데 수요층이 확대되면서 운룡문의 조형에도 변화가 나타났을 것으로 보았다. 매·난·국·죽문 역시 비교적 정치한 수법을 보이는 이른 시기의 예들에 비해 점차 소재의 생태적 특징을 강조하며 도식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간략하게 시문된 초화문의 경우에는 매·난·국·죽문 등의 문양 소재가 나타내는 특징이 더욱 생략되면서 도식화되는 경향이 심화되어 점차 문양 소재의 특징이 혼용되거나 시문된 문양의 종류를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변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포도문 역시 표현이 도식화되지만, 일부에서는 섬세한 회화적 표현이 나타나기도 하여, 철화백자에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질적 다양성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17~18세기 철화백자는 철화안료에 관한 인식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이해될 수 있었다. 이는 안료의 위상이 제고되고 그 쓰임이 점차 일반화되는 양상과 맞물려 문양이 시문된 자기의 저변화와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철화백자에 나타나는 문양의 표현에는 관요와 관요 이외 가마 간의 유사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유사성으로부터 철화백자의 양적인 확산이 질적인 다양성과 교차하며 상호 견인하고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17~18세기의 철화백자를 유행과 쇠퇴의 양상으로만 규정할 수 없는 동시에 철화백자의 양상을 단순히 문양의 표현에 따른 현상적인 측면에서만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17~18세기 철화백자는 전반적인 도자사의 연속적인 흐름 안에서 조선후기로 이어지는 저변화의 현상을 드러내는 지표로써 이해될 수 있다고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