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7 Download: 0

삼국시대 龍雀文環頭大刀 연구

Title
삼국시대 龍雀文環頭大刀 연구
Other Titles
Studies on Yongjakmunhwandudaedo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Authors
박찬정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용작문환두대도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1971년 공주 무령왕릉 발굴을 계기로시작되었다. 그러나 환두대도 연구가 활발했던 일본의 학자들에 의해 주로 논의되었고, 국내에서는 90년대에 들어서야 용작문환두대도에 대한 별도의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지금까지 용작문환두대도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주로 고고학적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용작문환두대도는 환두대도의 일종이고 용작문환두대도만으로는 그 수량이 적은 편이기 때문에 환두대도라는 범주 내에서 다루는 것이 연구자로서 타당하게 여겨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용작문환두대도의 장식성과 기능에 주목하여 다른 환두대도와 별개로 미술사적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했다. 용작문환두대도는 손잡이의 끝부분이 둥근 칼인 환두대도의 일종이다. 환두대도는 중국에서 기원전 2세기경부터 나타났으나 환두부에 장식을 하게 된 것은 4세기후반이고 환두부 장식에 용작문이 나타난 것은 4세기 말에서 5세기 초반경이다. 우리나라에 용작문환두대도가 전해진 것도 4세기 말에서 5세기 초반경으로 추정되고있다. 용작문환두대도가 등장하여 사용된 시기는 용과 주작 도상이 강력한 왕권을상징함과 동시에 사신사상의 수호적 의미도 갖게 된 시기였다. 중국은 용작문환두대도가 가장 먼저 등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隋書』와 『晋書』, 『大唐六典』 등 문헌기록에서 볼 수 있는 것과 달리 현재 전하는 실물자료는 거의 없는 형편이다. 때문에 용작문환두대도의 원형에 대해 자세히알기는 어렵다. 그에 비해 일본은 용작문환두대도가 한·중·일 삼국 중 가장 늦게 등장하지만 다양한 종류의 것이 전국적으로 출토되는 상황이다. 때문에 용작문환두대도의 연구에서 일본의 형식 변천 등은 중요한 참고자료가 된다. 일본의 단룡환두대도는 공주 무령왕릉 출토도와 계보를 같이 하며 환내 도상과환상 도상의 퇴화형상에 따라 4개 형식으로 분류가 가능하다. 단작환두대도는 가장많이 출토되는 종류로 5개 형식으로 분류가 가능한데 주작의 부리 부분을 제외하면단룡환두대도와 그 도상이 거의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쌍용환두대도는 환내 도상이 형식화되어 있고 가끔 두 쌍의 용이 표현되기도 하는 것이 특이하다. 쌍작환두대도는 경주 황오동 출토도와 동일한 형식을 갖고 있어 상관관계가 주목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출토품 46구를 환내 도상과 장식문양, 제작기법 등에 대해개별적으로 조사하여 각각을 분류·비교하였다. 무문과 단룡문, 단작문, 용작문, 쌍용문, 쌍작문의 6가지로 나누어지는 환내 도상은 용작문환두대도를 세분하는 가장 큰기준이 되는 것으로 단작문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환상 문양은 주룡문, 당초문, 구갑문, 무문, 기타 등으로 주룡문이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했다. 병부금구의 문양은용문, 구갑주작문, 무문, 기타 등으로 용문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다른 문양과의 차이가 크지 않았고 기타문양을 시문한 경우도 10%에 가까워 다른 부분의장식문양에 비해 정형화되지 않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병판의 장식은 크게 줄눈을새긴 금은줄로 감는 것과 능형투조문을 두르는 것인데, 용작문환두대도의 종류에상관없이 줄로 감은 것이 대부분이었다. 용작문환두대도의 제작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주조기법이다. 주조기법을 사용해서 환과 환내 도상을 일체형으로 또는 따로 기본형태를 만들어 결합하고 타출이나 상감, 투조, 도금 기법 등을 사용해세부를 장식했다. 장식기법에 있어서는 타출기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는데 이는환이나 병부금구에 용문을 입체적으로 장식한 용작문환두대도가 많기 때문이다. 앞에서 분류·비교한 것은 용작문환두대도 형식 분류의 기초자료로 사용했다. 국내 출토품의 현존 수량이 적고 종류가 다양해서 형식을 분류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앞의 자료를 토대로 형식 분류를 시도한 결과 용문환두대도와 단룡환두대도, 쌍용환두대도와 쌍작환두대도는 2개 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었고 단작환두대도는 3개 형식으로 분류가 가능했다. 그리고 각 종류별로 등장하고 사라지는 시기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용문환두대도와 단작환두대도가 가장 먼저등장하는 편이고 쌍용환두대도는 늦게 나타나서 가장 늦게까지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을 종합하여 용작문환두대도 전체의 형식을 나누어 보면 4개 형식으로 분류가 가능하고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전반에 걸쳐 가장 많이 제작·사용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용작문환두대도는 왕이나 귀족의 분묘에 부장되기도 하고, 왕에 의해 지방호족들에게 사여되기도 했다. 이것은 용작문환두대도가 왕 또는 귀족이라는 지배층의 신분에 대한 표현물이 되기도 하고, 권력의 하사에 대한 상징물이 되기도 했음을 뜻한다. 이렇듯 용작문환두대도는 최상위 혹은 차상위 계층에 의해 소유되었고 그 상징인 권위가 이전되기도 하였다. 이것이 바로 용작문환두대도를 단순히 무기나 군고위층의 전유물이 아닌 공예사적 의의를 지닌 예술품으로 보아야 하는 이유이다. 용작문환두대도는 그 시대의 역사적 흐름과 사상을 담고 있으며, 동시에 뛰어난 공예기술로 미적 감각이 표현되었다. 또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부각되고 유행하는 종류가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용작문환두대도는 비록 지배층에 국한되기는 하지만 시대를 반영하는 공예품인 것이다.;Research on Yongjakmunhwandudaedo, the dragon-pattern sword withround pommel, has initiated when excavation of Muryoung's Royal Tomb inGongju started in 1971. However most research was done by Japaneseresearchers who were interested in Hwandudaedo(a type of swords with roundpommels) at that time. From 1990's, Korean researchers start paying attentionto Yongjakmunhwandudaedo. Many studies about Yongjakmunhwandudaedo inKorea were carried out from the archaeological point of view. IndeedYongjakmunhwandudaedo is a kind of Hwandudaedo and the number of themis not very big. Therefore it seems reasonable that studies onYongjakmunhwandudaedo is conducted mostly as part of Hwandudaedo,However,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details and functions ofYongjakmunhwandudaedo itself rather than as a part of Hwandudaedo. Itshistorical meanings as art will also be examined. Yongjakmunhwandudaedo refers to a kind of Hwanduadedo which hasa sword with round pommel. Hwanduadedo was made from the secondcentury B.C. in China. However, the time extra details started to be addedswords was from the late of 4C. Youngjakmun was seen from 5C. Yongjakmunhwandudaedo also came to Korea during 5C. It was the timewhen dragon and Jujak icons were treated as symbols of King's strongpower while was believed to protect the nation as well. China was known to be the country where Yongjakmunhwandudaedo wasfirst made. However, apart from Chinese ancient literature such as Suseo(隋書),Jinseo(晋書) and Daedangyukjeon(大唐六典), there are little physical material ofthis left, which makes hard to know about the original form ofYongjakmunhwandudaedo. In comparison, Japan where Yongjakmunhwandudaedowas used latest has more various forms of pieces found throughout country. Therefore research on changes in Yongjakmunhwandudaedo carried on inJapan is valuable references. Danryonghwandodaedo(a type of swords with one dragon) in Japan hassimilar root as seen in the excavation of Muryoung's Royal Tomb. They canbe categorized into four according to the shapes on the round pommel andoff the pommel. Danjakhwandodaedo which has one jujak is the one beingmost frequently found. It has five different kinds. Apart from the Jujak'smouth part, its shape is almost same as Danryonghwandodaedo. ForSsangryonghwandodaedo with two dragons, the shapes on pommel isstandardized. Interestingly, there are some swords with two couples ofdragons sometimes. Ssangjakhwandodaedo has same shapes as ones seen inexcavation of Hwangdodong in Kyoungju which brings possiblerelationships between these two. In this study, 46 pieces found in Korea were examined categorizingand comparing them according to shapes on their pommel, patterns ofdetails, and different manufacturing methods. There are six kinds of shapeson pommels, such as patternless, Danryoungmun, Danjakun, Youngjakmun,Ssangryongmun and Ssangjakmun. The shapes on pommels are often usedto sub-categorize Yongjakmunhwandudaedo. Among them Danjakmun is themost in its number. For details off the pommel, there are two dragonspattern, arabesque pattern, Gugabmun, patternless, and others while twodragons pattern is the most in its number. For patterns in an ornament of agrip, there are dragon pattern, Gugabjujakmun, patternless and others withdragon pattern in the largest number. However, the differences in numberare not big while other patters also make up 10%. This shows that thesepatterns in this case is not much standardized compared to those on otherparts of swords. The details on a grip can be divided into ones wrappedwith gold and silver strings with stripes and the others wrapped rhombusopenwork pattern. Regardless the kinds of Yongjakmunhwandudaedo, mostof them have strips wrapping around them. The basic method ofmanufacturing Yongjakmunhwandudaedo is casting. Casting is used to makeone whole piece of details on the rounded pommel or to make piecesseparatedly for being attached later. Then the details are further elaboratedthrough repousse, inlay, openwork, and plating work. Among them repousseis the most popular method used for details because manyYongjakmunhwandudaedo have three dimensional dragon patterned details onthe round part or an ornament of a grip. The categories and comparisons are used as a criteria of dividingdifferent forms of Yongjakmunhwandudaedo. There are not many excavationfor this with little variation, which cause difficulties of this categorizing. However based on the research discussed previously we could see thatDanryonghwandudaedo(with one dragon), Ssangyonghwandudaedo(with twodragons) and Ssangjakhwandudaedo(with two Jujaks) have two different typesfor each while Danjakhwandudaedo(with one Jujak) has three. In addition,different types emerged and abandoned at different times. Yongmunhwandudaedoand Danjakhwandudaedo are earlier ones while Ssangjakhwandudaedo cameinto latest and was used latest. Based on all these information,Yongjakmunhwandudaedo itself has four different types and wasmanufactured and used mostly from the late of 5C and throughout 6C. Yongjakmunhwandudaedos were buried in King's or noble family's tombsor given to local authorities by King. It indicates that Yongjakmunhwandudaedois to use for representing the status of rulers such as kings and noble familiesalso a symbol of consenting power. Therefore Yongjakmunhwandudaedo waspossessed by people in the highest or high status exchanging its symbolicmeanings. This is the reason why Yongjakmunhwandudaedo needs to betreated as possession of army or weapons but having implications in thehistory of art craft. It contains the history and philosophy while prominentartists' work during the time was involved to create them. Therefore wecan see the different types, details and trends of this changing along thetime. While Yongjakmunhwandudaedo was used by rulers only, it is anartistic craft reflecting the time of its being u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