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8 Download: 0

듈라(Doula) 분만간호가 초산부의 불안, 분만통증 및 출산경험지각에 미치는 효과

Title
듈라(Doula) 분만간호가 초산부의 불안, 분만통증 및 출산경험지각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Doula labor support on anxiety, labor pain, and childbirth experience perception of primiparas.
Authors
최정선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출산은 여성의 생의 과정 가운데 가장 의미 있는 경험으로 여성으로서의 정체성을 인식하고 확인하는 과정이다. 만족스런 출산경험은 어머니 역할 수행의 자신감과 만족감을 증가시키고 어머니로서의 긍정적인 정체감을 형성한다. 그러나 출산을 경험하는 여성들은 분만과정에 대한 지식부족, 낯선 환경, 가족들과의 격리, 난산의 우려, 분만 시 통증에 대한 불안, 그리고 태아에 대한 걱정 등으로 대부분 불안과 두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므로 간호사는 분만에 대한 참여자로서 산부의 신체적 안위와 이완을 도모하여 보다 만족스럽고 긍정적인 출산경험을 갖도록 하는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분만 중의 여성에게 듈라(Doula) 분만간호를 제공함으로서 통증경감, 불안감소 및 긍정적인 출산경험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고 분만 중의 여성을 위한 간호중재로 활용하고자 한다. 자료수집기간은 2007년 7월 1일부터 2007년 9월 30일까지 경기도에 위치하고 있는 S종합병원에 분만을 위해 입원한 초산부 60명(실험군 30명, 대조군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불안 정도는 Spielberger(1972)가 제작하고 김정택과 신동균(1978)이 번안한 상태불안척도, 분만통증은 Hanson, Thompson, & Varni(1987)의 시각상사척도(Visual Analog Scale), 출산경험지각 도구로는 자가 보고식 설문지로 Marut & Mercer(1979)가 개발하고 조미영(1988)이 번안한 출산경험 지각척도(Perception of birth experience scale)로 총 27문항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며 자료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가설검증은 t-test로 유의성 검정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활동기의 상태불안점수가 낮았다(t=-7.65, p=.000). 2.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분만진행 과정 중 잠재기의 분만통증정도에는 차이가 없었다(t=.12, p=.91). 3.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분만진행 과정 중 활동기의 분만통증정도가 낮았다(t=-3.30, p=.002). 4.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분만진행 과정 중 이행기의 분만통증정도가 낮았다(t=-3.84, p=.000). 5. 실험군과 대조군에 사이에 출산경험 지각정도의 차이가 없었다(t=-.78, p=.44).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듈라 분만간호는 초산부의 분만 중 불안을 감소시켰고, 통증의 정도가 높은 활동기와 이행기의 분만 통증정도를 감소시켰다. 따라서 초산부에게 제공되는 듈라 분만간호는 산부의 불안과 분만통증에 효과적인 간호중재로 활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출산경험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고위험 산부에게 적용하여 비교 연구 해 봄으로써 듈라 분만간호 중재방법을 더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Doula labor support on anxiety, labor pain, and childbirth experience perception of primipar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30 primiparas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30 as a control group were examined from Jul. 1st to Sep. 30th, 2007 in "S" General Hospital in Gyeonggi-do, South Korea. For this study, Doula labor support, the protocol of which was developed by Huh Myeong Haeng(2000), was applied to the primiparas from when they entered the hospital to two hours after their childbirth. To the primiparas in the experimental group, Doula support was applied from latent phase first, and the degree of the anxiety and the labor pain in active phase were measured. And, childbirth experience perception was measured within two hours after childbirth. For measuring the degree of anxiety, Spilberger's(1972) anxiety measuring instrument, translated by Kim Jeong Taek and Shin Dong Gyun(1978), was use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labor pain, Visual Analog Scale was used. And, perception of birth experience scale, developed by Marut & Mercer(1979) and translated by Cho Mee Young(1988) was used for measuring the childbirth experience percep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using SPSS 12.0. And, the hypotheses were examined by t-tes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xiety scores between primiparas taken Doula labor support and ones not taken(t=-7.65, p=.000).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labor pain in latent phase for primiparas taken Doula labor support and for ones not(t=0.94, p=0.35). 3. It is shown that the degree of labor pain in active phase during childbirth of the primiparas taken Doula labor suppor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ones not taken(t=-3.30, p=.002). 4. The degree of labor pain in transition phase during childbirth of the primiparas taken Doula labor support was lower than that of ones not(t=-3.84, p=.000). 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birth experience perception between the primiparas taken Doula labor support and ones not(t=-.78, p=.44). In conclusion, Doula labor support decreases not only anxiety of primiparas but also labor pain in active and transition phase during their childbirth.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Doula labor support can be applied as an effective nursing treatment for decreasing anxiety and labor pain of primipara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