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7 Download: 0

아동의 발열에 대한 부모의 지식, 불안 및 대처방법

Title
아동의 발열에 대한 부모의 지식, 불안 및 대처방법
Other Titles
Parental Knowledge, Anxiety and Management of Children's Fever
Authors
김상희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아동기의 발열은 흔하게 경험하는 문제이며, 세균성 감염이나 바이러스성 감염으로 오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부모들은 발열의 원인보다는 열의 정도에 따라서 경중을 따지고 열을 위중한 질병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당황하고 불안해한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의 발열에 대한 부모의 지식, 불안 및 대처방법의 현황을 확인하여 간호중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07년 9월 21일부터 10월 21일까지 3개월 이상 5세 미만 아동의 부모 24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로 수집하였다. 연구의 도구는 부모와 아동의 특성 9문항, 의료기관 이용 및 발열 지각 6문항, 열 지식 9문항, 불안 10문항, 대처방법 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아동의 발열에 대한 부모불안을 측정하는 도구는 Schmitt(1980)와 조효남(1991)의 자가 보고형 설문지를 기초로 국내·외 문헌고찰과 임상실무를 근거하여 본 연구자가 10문항을 개발하였으며, Chronbach's alpha는 .83이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12.0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 부모 243명 중 어머니가 83.5%, 아버지가 16.5%였고, 연령은 30세 이상~35세 미만이 56.4%로 가장 많았다. 자녀수는 한 명이 49.4%, 두 명이 42%, 세 명 이상이 8.6%였다. 학력은 대졸 이상이 73.7%, 고졸 이하가 26.3%였다. 아동 243명 중 남아가 48.1%, 여아가 51.9%였고, 출생순위는 첫째가 65.8%, 둘째 이상이 34.2%였다. 2. 대상 아동의 88.5%가 지난 1년간 발열로 인해 1회 이상 병원을 방문한 경험이 있고 응급실 방문은 53.5%이며, 24시간 이내에 재진료를 받은 경우도 35.8%였다. 아동의 발열로 이용하는 의료기관은 개인·소아과 병원이 59.6%, 준·종합병원이 40.4%였다. 아동의 중정도 발열(39℃이하)은 건강관리 측면에서 유용하다고 의료인이 판단하는 데 비해 부모들은 61.4%가 39℃ 이하에서도 고열로 지각하고 있었다. 아동의 가정에는 99.2%가 체온계를 보유하고 있었다. 3. 부모의 발열에 대한 지식은 9점 만점에 평균 3.91로 발열에 대해 정확한 지식이 부족했다. 부모가 가장 잘 모르고 있는 문항은 “해열제를 먹이는 이유” 와 “오한이 나거나 춥다고 해도 열이 높다면 미온수 마사지를 한다” 그리고 “발열을 치료하는 근본적인 이유”이었다. 4. 가정에서 열이 났을 때 처음 대처방법은 해열제의 투여가 60.1%로 가장 많았으며, 해열제를 38℃ 이하에서 투여하는 경우도 30%에 이르렀다. 수면 중인 아동을 깨워서 해열제를 먹이는 경우가 75.7%로 높게 나타났다. 발열에 대한 물리적 대처방법으로 83.5%가 마사지를 하고, 대부분(88.7%)에서 미지근한 물을 올바르게 이용하고 있었으나, 차가운 물 7.3%, 알콜과 얼음 팩도 각각 2%로 부적절한 방법을 사용하기도 했다. 또한 38℃ 이하에서 마사지를 시작하는 경우도 18.1%가 있었다. 5. 부모의 발열에 대한 지식정도에 따른 불안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8.99, p=.003). 즉, 지식이 높은 부모들은 불안정도가 낮았다. 부모와 아동의 특성 및 지식과 불안 점수에 따른 발열에 대한 대처방법에는 출생순위에 따라서 마사지를 시작하는 체온(p=.034), 4시간 이내에 중복해열제 복용(p=.028), 수면 중 해열제 복용(p=.004) 방법에서 차이가 있었을 뿐 다른 특성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아동의 발열에 대한 부모의 지식은 9점 만점에 평균 3.91로 낮은 편이었고, 적은 수이지만 일부 부모는 아동 건강에 도움이 되지 않는 잘못된 대처방법을 시행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의미 있는 것은 발열에 대한 지식이 높은 경우 부모의 불안정도가 낮은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에게 발열에 대한 정확한 정보제공과 발열 시 대처방법에 대한 교육을 간호중재로 제기하며 교육중재에 따른 효과 검증을 제언한다.;Fever, a common event in childhood, is generally caused by bacterial or viral infection. Parental confusions and concerns, however, arise out of the belief that fever itself is a severe disease, judging from its levels only rather than its cause. Therefor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 descriptive research, were to determine parental knowledge, anxiety and management of febrile children, and provide data based on nursing intervention.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21 to October 21, 2007 by using cross-sectional survey administered to 243 parents whose children were between the age of 3 months and 5 year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consisting of 41 items in total, of which 9 questions were about characteristics of parents and children, 6 about use of clinic centers and perception of fever, 9 about knowledge of fever that the parents have, 10 about parental anxiety when their children have fever, and 6 about their management of fever. Of these, ten questions of parental anxiety about their febrile children's fever were newly developed for this study, based on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made by Schmitt (1980) and by Cho Hyo-Nam (1991) as well as several literatures and this researcher's own clinical practices. Chronbach's alpha was 0.83. The SPSS 12.0 for windows was employed for data analyses.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Of 243 parents, mothers accounted for 83.5%, fathers 16.5%, and a majority of participants (56.4%) were between 30 and 35 years old. Parents who have only one child were 49.4%, those who have two were 42%, those who have three or more were 8.6%. In addition, 73.7% of the parents were college graduates or had higher education and the rest of them were high school graduates or had lower level of education. Of 243 children, male was 48.1%, female 51.9%, and first-born children were 65.8%, 34.2% were second or below. 2. The survey showed that 88.5% of children were at least once taken to the clinic and 53.5% were reported to be taken to emergency department during the last one year because of fever, and those who visited clinic again within 24 hours after the first medical treatment amounted for 35.8%. When asked about medical institutions where they usually treated their febrile children, 59.6% of parents responded that they used private pediatric clinics, while 40.4% used middle-sized general hospitals. 61.4% of parents regarded 39℃ of temperature or below as a high fever, while health care providers commonly believe it as a moderate level of temperature which will benefit in treating children's health care. 99.2% of participants had a clinical thermometer at their home. 3. Parental knowledge about fever was so poor that they got 3.91 scores with a full mark of 9. The items to which the most parents gave wrong answers were "Reason to give antipyretics to their children", "Sponging feverish child with tepid water, though they feel chilly" and "Fundamental reason to treat fever". 4. 60.1% of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initially administered antipyretics to their febrile children at home, and those who gave it to their febrile children even at the level of 38℃ or below reached 30%. As high as 75.7% of parents woke their sleeping children to make them take antipyretics. 83.5% of participants used sponging as a physical management of fever. Most participants (88.7%) used tepid water properly, but 7.3% used cold water and 2% alcohol and ice packs which are inappropriate. 18.1% of participants started sponging at lower than 38℃. 5.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parental anxiety about fever according to their knowledge of fever (F=8.99, P=.003). In other words, the more knowledge parents have about fever, the less anxious they got. When it comes to the correlation between fever coping strategies and the factors like characteristics of parents and children, parental knowledge and anxiety about fe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in some factors: body temperature to start sponging in accordance with children's birth order (p=.034), giving children another dose of antipyretics within four hours (p=.028), medication while children were in sleep (p=.004). As noted above, parents' knowledge level about their children's fever turned out to be low, 3.91 on average, with a full mark of 9, and it was found that some parents, though small in number, managed fever in inappropriate ways. Significantly, parents with more knowledge about fever have lower level of anxiety.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providing parents with accurate information and management strategies about fever could be one of the important nursing interventions, and further studies on the effects of this kind of education intervention are nee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