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숙영-
dc.creator윤숙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0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0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24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9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246-
dc.description.abstractLiver cancer is the third common cancer in Korea, whose typical treatment is a transarterial chemoembolizaation. One of problems with the treatment is an increase of patient's anxiety due to its repeated procedure. Moreover, procedure related compliations such as nausea, vomitting or pain are in common. After the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procedure, patients are required to remain on bed rest to reduce the risk of bleeding and hematoma formation at the puncture site. This prolonged bed rest in the supine position is difficult for many patients, who frequently complain of low back pai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a specially designed exercise therapy had an effect on the alleviation of low back pain. Eighty patients were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 specially designed exercise therapy (experiment group N=40) or no exercise (control group, N=40). The exercise therapy consisted of five movements including stretching, pelvic tilting, knee to chest, modified situps and trunk rotation with minimizing the motion of the puncture site. The severity of low back pain was assessed by a NRS(Numerical Rating Scales) every two hours. Any development of bleeding and hematoma was monitor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ing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ack pan in 2 hours before exercise therapy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less back pain than the control group in 2 hours, 4 hours and 6 hours after exercise therapy.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sence and grade of bleeding and hematoma at the puncture site in 2 hours, 4 hours and 6 hours after exercise therapy between the two groups. The pain score of the exercise groups was significantly lowered compared to that of another group. However the incidence of bleeding complication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Exercise therapy is more effective than general care in alleviating low back pain of the patients with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본 연구는 간동맥 화학색전술 후 절대안정기간 중인 환자에게 제공된 운동요법이 요통완화에 효과가 있는가를 검정하고자 시행하였다. 치료를 목적으로 시행되는 간동맥 화학색전술은 대퇴동맥에 굵은 유도 도관을 통해 시술이 진행되므로 혈전 예방을 위해 항응고제를 투여한다(기은정, 2001). 따라서 환자는 시술 후에도 6-8시간 동안 시술한 다리를 곧게 펴고 부동 상태를 유지하며 침상안정을 취해야 하므로(최신 심장환자 교육, 2004) 환자들은 시술한 다리와 허리의 요통을 호소하고 있다(Reynolds, 2001). 선행연구 결과 중재줄 후 운동요법이 환자의 요통을 감소시킨 것으로 보고되었고 이러한 운동요법이 대퇴동맥 천자부위의 출혈 및 혈종은 더 유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ollard, 2003).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시차 설계법을 이용한 유사 실험 연구로서 연구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1개 대학병원에 2007년 9월부터 10월 사이 간동맥 화학색전술을 위해 입원한 환자를 임의추출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실험군 40명, 대조군 40명으로 총 80명이었다. 사전 조사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요통 과거력, 출혈성 약물 복용력, 활력증후, 혈액검사를 실시하였다. 운동요법은 대퇴 천자부위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면서 요추와 골반 주변을 신전 및 굴곡 시키는 운동으로서 간동맥 화학색전술 2시간 후부터 6시간까지 2시간 간격으로 총 3회 실시되었다. 중재 전 요통 점수는 간동맥 화학색전술 2시간 후 측정되었고, 중재 후 요통 점수는 간동맥 화학색전술 2시간 후부터 6시간 까지 2시간 간격으로 운동요법을 5분 시행하고 난 30분 후 측정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Program을 사용하여 χ2검정, 일원 분산분석,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 가설 : 1. 요통점수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각 시점별 요통점수에 대한 t-test 결과 시술 후 2시간 운동요법 시행 전에는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902). 그러나 시술 2시간 후 운동요법 시행 후 실험군은 2.90±1.00에서 2.70±.966으로 감소했고 대조군은 2.93±.797에서 4.47±1.15로 상승하여 실험군의 요통점수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시술 4시간 후 운동요법 시행 후 실험군은 2.70±.966에서 2.05±1.06으로 감소했고 대조군은 4.47±1.15에서 4.9O±.81로 상승하여 실험군의 요통점수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시술 6시간 후 운동요법 시행 후 실험군 2.05±1.06에서 1.43±.903, 대조군 4.9O±.81에서 3.85±.975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감소하였으나 실험군의 요통 점수가 대조군에 비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군과 대조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시술 후 2시간부터 6시간까지의 요통점수에 대해 실험군과 대조군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요통 정도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27.13, p=.000). 그리고 시점에 있어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F=51.10, p=.000), 각 집단과 시점간 교호작용에 있어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 요통정도는 시점별로 증가하여 실험군에서는 시술 2시간 후 증가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대조군에서는 시술 후 4시간에 최고점에 달했다. 2. 제 2 가설 : 출혈 및 혈종 유, 무는 실험군과 대조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출혈 및 혈종은 시술 후 2시간부터 시술 후 6시간까지 관찰한 결과 실험군에서는 운동요법을 시행 후 2시간 30분에서 1명, 4시간 30분에서 1명으로 총 2명이 관찰되었고, 대조군에서 간동맥 화학색전술 2시간 30분에서 1명, 6시간 30분에서 2명이 관찰되었다. 출혈크기의 직경은 실험군에서 1.2cm, 대조군에서 1.1cm 이었으며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중재 전과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혈종 및 출혈의 유 · 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777).-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2 C. 연구의 가설 = 3 D. 용어의 정의 = 3 Ⅱ. 문헌고찰 = 4 A. 간동맥 화학색전술 = 4 B. 요통 = 5 C. 운동요법 = 7 Ⅲ. 연구방법 = 9 A. 연구설계 = 9 B. 연구대상 = 10 C. 대상자의 윤리적 측면 = 10 D. 실험처치 = 10 E. 측정도구 = 12 F. 자료수집 = 12 G. 자료분석 방법 = 13 H. 연구의 제한점 = 13 Ⅳ. 연구결과 = 14 A. 집단간의 동질성 검증 = 14 b. 가설검정 = 17 Ⅴ. 논의 = 20 Ⅵ. 결론 및 제언 = 23 참고문헌 = 25 부록 = 30 ABSTRACT = 4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964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운동요법이 간동맥 화학색전술 후 절대안정기 환자의 요통완화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Exercise Therapy on Back pain of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Patients with Liver Cancer-
dc.creator.othernameYun, Suk Young-
dc.format.pagevii, 4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