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지연-
dc.creator김지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8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8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63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8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638-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examines woman's ceremonial headdress worn during the Joseon(朝鮮) period(1392~1910). The definition of ‘ceremonial headdress' in this dissertation means an official hat worn with ceremonial garments not only to express wearer's class or social status, but also to participate various ceremonies and events. Therefore, the selected objects of study are jeokgwan(翟冠, Chinese queen's crown decorated with pheasant motifs), jokduri(簇頭里, woman's coronet), and hwagwan(花冠, woman's coronet) because these headdresses fulfill the criteria for the woman's official hats. Jeokgwan(翟冠) is originated from bong-gwan(鳳冠, crown decorated with the Chinese phoenix motifs) worn by the Chinese empress. Bong-gwan(鳳冠) was originally various types of hairpins worn with the chignon hair style, such as bongchae(鳳釵)·hwasu(花樹)·bakbin(薄?), but during the Sung period(宋, 960~1279) this ornamental hairpins were combined with the crown worn by empress. bong-gwan(鳳冠) worn during the Ming dynasty(明, 1368∼1644) varied according to the wearer's social status and it was worn both by the empress and other court ladies. Jeokgwan(翟冠), one type of bong-gwan(鳳冠) worn by the queens and princesses of Ming dynasty, was given to those of the Joseon dynasty as a gift until the early 17th century. The Joseon queens wore jeokgwan(翟冠) when wearing the ceremonial robe, jeok-ui(翟衣). As a result of the extensive dress reform occurred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custom of wearing jeokgwan(翟冠) changed to wearing a big wig with various hairpins for ceremonies. Since jeokgwan(翟冠) originally consisted of a chignon and hairpins, wearing big wig and hairpins for the ceremonial hair style means that women of the late Joseon period returned to wear the old and original style of jeokgwan(翟冠). The use of big wig for ceremonies was the best possible policy to obtain the justification of cost reduction for ceremonial headdress as well as the general public's support without violating the Confucian orders. Jokduri(簇頭里) was originally a type of practical wig made of false hair, black cloth, wood, paper or wire worn to tie and wrap the chignon on a head. The size of jokduri(簇頭里) was big when women of the Joseon period preferred to wear tall and full hairstyle created by wearing wig made of real human hair. This exaggerated hair style increased the use of wig. However, the price of wig was so high that its extravagant use became the social and economical issues. At the end of 18th century, King Yeongjo and King Jeongjo prohibited the use of wig so that women should wear a simple chignon with a practical and inexpensive jokduri(簇頭里) on a head, instead of wig made of real human hair. Although the prohibition was not observed efficiently at first, this chignon style prevailed since the 19th century and it was the time the shape of jokduri(簇頭里) changed from wig to decorative ceremonial coronet. Jokduri(簇頭里) became smaller and was sumptuously decorated with various jewels. Women wore this ceremonial headdress not only for their wedding or coming-of-age ceremony, but also to express courtesy with their ordinary attire consisting of a short or long jacket and skirt. The old custom of wearing false hair succeeded to various types such as eoyeo-meori and eoyeom-jokduri(어염 簇頭里). Wearing hwagwan(花冠) must be related to the manners and customs of decorating hair with flowers and this headdress developed into two styles; one is a style created by imitating flower shapes and the other is a hat covered with flowers or flower hairpins. hwagwan(花冠) became very popular among the Chinese women under the influence of Taoism since the Su(隋, 581~619) and Tang(唐, 618~907) dynasties.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women of the upper class wore this sumptuous coronet imported from China while commoners and lower classes including mugi(舞妓, female dancer) tried to copy the noble woman's. Hwagwan(花冠)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round-shaped or square-shaped coronets, and coronets shaped with or without using floral motifs. Particularly, coronet with no flower motifs was copied from yang-gwan(梁冠), an official's ceremonial headdress. Hwagwan(花冠) as a part of the dancing costume was usually worn by boy dancers since the early Joseon period. The record that female dancer wore hwagwan(花冠) appeared in various written references after the 18th century. The early version of dancer's hwagwan(花冠) was a shape of vase with flowers, but it became small since the mid 19th century and continued to be worn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Hwagwan(花冠) was also worn for the wedding ceremony in the same manner as jokduri(簇頭里)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Ordinary woman's bridal hwagwan(花冠) showed the combined styles with the court lady's and female dancer's coronets. The bridal coronet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one decorated with jewels and the other with flowers. Also, the shapes of coronet's side and bottom are the criteria to determine the bride's style. The results of the study about woman's ceremonial headdress worn during the Joseon dynasty are as follows: first, ceremonial headdress is closely related to the woman's hair style, and both styles developed under the mutual influence. Second, woman's ceremonial headdress was influenced by the fashion popular among the Chinese upper class women during the Ming dynasty. Third, since the shape and decoration of woman's ceremonial headdress reflected wearer's various characteristics, such as social status, wealth, economic power, locality, and aesthetic taste, it could display a broad spectrum of formative beauties. The final result of the study is that woman's ceremonial headdress symbolized the wearer's class and social status, and the social meaning represented within the ceremonial headdress was changed and developed according to the times.;본 논문은 조선시대 여성 예관에 관해 고찰한 것이다. 여기서 예관이란 착용자의 신분 및 사회적 위치를 상징하거나, 크고 작은 의례 및 행사 등에 참석할 때, 또는 간단히 예를 갖추기 위해 예복과 함께 머리에 사용되는 관모를 말한다. 따라서 조선시대 여성의 관모 중에 이와 같은 조건에 부합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적관·족두리·화관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적관(翟冠)은 봉관(鳳冠)에서 발달하였다. 봉관(鳳冠)은 발계(髮□)에 봉채(鳳釵)·화수(花樹)·박빈(博□) 등 여러 가지 장식 비녀로 장식하던 제도가 송대에 이르러 용봉화채관(龍鳳花釵冠)를 이루며 제도화된 것이다. 송대 봉관의 전통을 계승한 명대 봉관은 신분에 따라 양식이 더욱 세분화되었다. 즉 봉관은 황후·황비·황빈만 쓸 수 있었으며 그 밖의 내외명부는 각 등급에 해당하는 적관을 썼다. 그 중 군왕비의 제도인 칠적관은 명이 멸망하기 전까지 조선 왕비들에게 예물로 보내졌다. 그리고 양란(兩亂) 이후 조선 사회에서 사치 금제와 함께 복식 제도의 재정비가 이루어지면서, 왕비의 적관은 체발과 비녀로 장식한 대수(大首)로 바뀌게 되었다. 적관의 유래가 본래 발계와 비녀에서 비롯된 것이므로, 조선 후기의 대수는 곧 적관의 옛 제도에 충실한 것이었다. 따라서 적관 대신에 대수를 사용한 것은 기존의 유교 질서에 위배되지 않으면서, 비용 절감의 명분 및 민심까지 얻을 수 있는 최선책이었다. 족두리는 본래 머리 정수리의 쪽을 감싸서 묶는 역할인 동시에, 검은색 천으로 만든 일종의 실용적인 가체(假□)이었다. 따라서 고계(高?)를 선호하던 시대에서 여성들의 족두리의 크기는 윗머리 전체를 덮을 정도로 컸다. 즉 이것은 평상 시 쉽고 효과적으로 고계를 만들 수 있는 간편한 수발 도구였다.. 18세기 말 영조와 정조는 부녀의 가체(加□)를 엄격히 금지하고 본발(本髮)로 만든 쪽머리를 하도록 하였고, 예장을 할 때는 머리에 족두리를 쓰도록 명하였다. 19세기 이후 부녀의 쪽머리가 정착하면서 족두리는 의례에 참석할 때 쓰는 특별한 예관으로 정착하였다. 족두리의 크기는 이전에 비해 작아졌고 다양한 보석으로 화려하게 치장되어 혼례나 관례 등에 이용되었다. 간단하게 예의를 갖출 때에도 치마저고리나 당의와 함께 쓰기도 하였다. 가체 역할을 했던 족두리의 옛 풍습은 국말의 어염족두리로 이어졌다. 화관은 꽃을 머리에 꽂아 장식하는 삽화(揷花) 풍속과 연관이 있다. 여기서 발전한 화관은 생화나 조화를 관 위에 가득 꽂거나, 꽃을 모방하여 관의 형태를 만들거나, 화채(花釵)를 관에 가득 꽂은 화려한 양식으로 발전하였다. 중국에서 화관이 널리 유행하게 된 계기는 수?당대 도교의 유행과도 관련이 있다. 명대에도 화관은 상류층에서 널리 사용되었고, 이는 곧 조선에 유입되어 왕실과 사대부가의 부인들을 중심으로 예장 시에 사용되었다. 이것은 기생 복식이나 민간의 혼례복에도 영향을 끼쳤다. 이와 같은 중국식 화관은 형태에 따라서 원형과 방형, 그리고 조형에 따라서 꽃을 응용하여 만든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크게 분류된다. 꽃문양이 배제된 것은 주로 백관(百官)의 양관(梁冠)을 모방한 형식이 많았다. 무용용 화관은 조선 초기에 주로 남성 무동(舞童)이 썼으며, 무기(舞妓)의 화관은 18세기 이후 진연·진찬을 기록한 의궤나 회화 등에서 볼 수 있다. 19세기 초만 하더라도 화관의 양식은 마치 화병에 꽃이 꽂혀 있는 모습과도 같았으나, 점차 크기가 작아지면서 19세기 중반 「무신진찬」 이후로는 화관의 양식이 고정되어 20세기 초까지 지속되었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조선시대 여성의 예관에 관해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의 예관은 발계와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어서, 상호 영향을 끼치면서 발달하였다. 즉 시대에 따라 표현 방식이 다를 뿐, 예관과 발계는 동등하게 대치될 수 있는 위치였다. 그 이유는 여성 예관의 발달 과정에서 가계(假□)의 가장 완성된 단계가 관이기 때문인데, 이러한 특성은 적관과 대수의 관계 및 족두리의 사용 과정에서 나타난다. 둘째, 여성의 예관은 상류 복식에서 시작되었기에 중국 복식의 영향을 받았다. 특히 적관과 화관은 중국 명부의 예관으로서, 조선의 상류층에 유입되면서 여성 예관의 양식의 다양화에 기여하였다. 셋째, 여성의 예관은 다양한 조형미를 가지고 있다. 남성의 예관과 달리 품복(品服)으로서의 규제가 적었으므로, 사용자의 사회적 지위 뿐만 아니라 경제력, 지방색, 미적 취향 등이 자유로이 반영될 수 있었다. 넷째, 여성의 예관은 시대에 따라 사회적 위치가 변화하면서 발달하였다. 봉관은 후대로 내려오면서 민간 복식에서 고귀함의 상징으로 선호되어 사용이 대중화되었고, 족두리는 본래 평상시에 사용하던 수발 보조도구였다가 특별한 때에 의례용으로 사용되는 등 용도의 변화와 함께 사회적 인식도 바뀌게 되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序論 = 1 A. 硏究 目的 및 意義 = 1 B. 硏究 方法 = 3 C. 禮冠의 範圍 = 4 Ⅱ. 鳳冠과 翟冠 = 6 A. 中國의 冠制 = 6 1. 鳳冠의 由來 = 6 2. 鳳冠의 發達 = 9 가. 宋代의 鳳冠 = 9 나. 明代의 鳳冠 = 12 (1) 皇后의 鳳冠 = 13 (2) 皇妃·皇嬪의 鳳冠 = 25 (3) 皇太子妃의 鳳冠 = 26 (4) 王妃·公主의 翟冠 = 27 (5) 外命婦의 鳳冠 및 首飾 = 31 다. 淸代의 鳳冠 = 32 B. 韓國의 冠制 = 37 1. 鳳冠·翟冠의 流入 및 使用 = 37 2. 珠翠七翟冠의 構成 = 48 가. 金簪·金翟 = 49 나. 翠口圈·寶鈿花 = 50 다. 結子 = 52 3. 翟冠의 消滅과 首飾 체髮의 導入 過程 = 56 4. 首飾 체髮의 發達 및 種類 = 63 가. 首飾의 正義 = 63 나. 首飾의 種類 = 71 (1) 大首 = 71 (2) 큰머리 = 75 Ⅲ. 簇頭里 = 94 A. 簇頭里의 由來 = 94 B. 簇頭里의 發達 = 102 1. 14~16世紀의 簇頭里 = 102 2. 17世紀의 簇頭里 = 104 3. 18世紀 以後의 簇頭里 = 107 C. 簇頭里의 用度 및 種類 = 118 Ⅳ. 花冠 = 126 A. 花冠의 由來 = 127 1. 揷花 風習 = 127 2. 花冠의 形成 = 131 B. 花冠의 用度 및 種類 = 138 1. 儀禮用 花冠 = 138 2. 舞踊用 花冠 = 152 Ⅴ. 朝鮮時代 女性 禮冠의 特徵 = 162 A. 髮계와의 相互關係 = 162 B. 中國 服飾의 影響 = 166 C. 多樣한 造形美 = 167 D. 社會的 役割 = 167 1. 身分 및 位置 象徵 = 167 2. 社會的 位置 移動 = 168 Ⅵ. 結論 = 169 참고문헌 = 173 ABSTRACT = 1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00373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朝鮮時代 女性 禮冠에 관한 硏究-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Woman's Ceremonial Headdress in Joseon period-
dc.creator.othernameKim, Ji Yeon-
dc.format.pagexvi, 185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