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수정-
dc.creator송수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0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0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78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88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7892-
dc.description.abstract최근 들어 시간, 공간, 비용적 제약을 뛰어 넘어 언제, 어디서나 학습이 가능하고, 기업의 즉각적인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이러닝이 효과적인 교육 형태로 각광받고 있지만(이수경, 임영택 조규락, 2002), 더불어 낮은 학업성취와 높은 중도 탈락률(손기영, 2004), 그리고 낮은 학습동기(유지연, 2001)와 같은 점이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기업 이러닝이 실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러닝의 성취도와 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특히 효과적 이러닝 학습에 도움이 되는 학습자의 동기 성향을 파악하여 학습자의 특성에 맞게 설계하고 운영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면대면 학습 상황의 선행연구에서 학업성취도, 참여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진 학습자의 내재동기, 성취목표, 자기조절학습 수준이 기업 이러닝의 학업성취도와 참여도를 예측하는지 확인하여 기업 이러닝 설계와 운영에 이론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룬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첫째, 이러닝 과정에서 학습자의 내재동기와 자기조절학습 수준이 성취목표를 예측하는가? 둘째, 이러닝 과정에서 학습자의 내재동기와 자기조절학습 수준이 학업성취도와 참여도를 예측하는가? 셋째, 이러닝 과정에서 학습자의 성취목표(숙달접근목표, 숙달회피목표,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목표, 과제회피목표)가 학업성취도와 참여도를 예측하는가? 본 연구를 위해 기업교육 기관인 S사가 제공하는 1달 과정의 26개 강좌 수강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과정 시작 초에 학습자의 내재동기, 자기조절학습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수강생 428명에게 온라인 설문을 발송하였다. 이후, 과정 시작 후 2주 후에 내재동기가 학습자들의 성취목표 추구에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 살펴보기 2차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1차와 2차 설문에 모두 응답한 60부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러닝 과정에서 학습자의 내재동기는 숙달접근목표와는 정적상관(r = .57, p < .01), 과제회피목표와는 부적상관(r = -.55, p < .01)을 보였다. 자기조절학습 수준 또한 숙달접근목표와는 정적상관(r = .38, p < .01), 과제회피목표와는 부적상관(r = -.40, p < .01)을 보였다. 이는 숙달목표와 자기조절학습 전략 사용 간의 관계를 분석한 조승우, 김아영(1998)의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 내재동기와 자기조절학습 수준 모두 숙달접근목표와는 정적상관, 과제회피목표와는 부적상관을 보였지만 내재동기의 상관이 자기조절학습 수준에 비해서 더 높은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내재동기와 자기조절학습 수준을 독립변인으로 성취목표를 종속변인으로 회귀식에 대입한 결과, 내재동기만이 숙달접근목표(β = .52)와 과제회피목표(β = -.47)를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내재동기가 성취목표를 예측하는지 살펴본 Harackiewicz와 그의 동료들(2007)의 연구결과를 지지한다. 둘째, 학습자의 내재동기와 자기조절학습 수준이 학업성취도와 참여도를 예측하는지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다. 즉 본 연구에서는 내재동기와 자기조절학습 수준이 학업성취도와 참여도를 예측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성취목표 또한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지 않는 것이 밝혀졌다. 더불어 내재동기와 자기조절학습 수준은 학업성취도, 참여도와 아무런 상관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이러닝이라는 환경 특수성에서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즉, 이전의 선행연구들이 면대면 상황에서 연구가 이루어진 반면, 본 연구는 기업 이러닝 과정에서 실시가 되었다는 점이다. 실제로 웹 기반 학습 환경에서 성취목표와 학업성취도, 그리고 내재동기간의 관계를 살펴본 심화영과 송해덕(2007)의 연구에서도 내재동기와 학업성취도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은 바 있다. 이는 내재동기와 학업성취도의 관계가 면대면 학습과 이러닝 학습에서 다른 경향을 보일 수 있음을 의미하며, 또한 이러닝 환경에서 학업성취도와 참여도를 예측하는 다른 중요한 변인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기업 이러닝 과정에 대한 학습자의 성취목표, 학업성취도와 참여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참여도는 학업성취도(r = .27, p < .05), 숙달회피목표(r = .31, p < .05), 그리고 수행접근목표(r = .28, p < .05)와 정적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학업성취도의 경우 그 어떤 성취목표와도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성취목표를 독립변인으로 학업성취도와 참여도를 각각 종속변인으로 하여 회귀식에 대입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성취목표가 학업성취도, F(2, 60) = .70, p = .624. 및 참여도, F(2, 60) = 2.05, p = .086,를 예측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이러한 결과는 성취목표 외에 이러닝 환경에서 학업성취도와 참여도를 예측하는 다른 중요한 변인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는 기업 이러닝 과정에서 학습자들이 적응적인 성취목표를 추구하게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내재동기를 향상시켜 줘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면대면 학습 상황과는 달리 이러닝 학습 상황에서 학업성취도와 참여도를 예측하는 주요 변인이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닝 과정에서 학업성취도와 참여도를 예측하는 변인을 좀 더 폭 넓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의 제한점을 가진다. 첫째, 연구 대상수가 너무 적었기 때문에 일반화의 한계를 지닌다. 더 많은 표본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설문 과정에서 각 학습자 별로 설문 응답 시점이 다를 수 있다는 점과 짧은 기간 두 번의 설문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회수율이 매우 낮았다는 점이다. 후속 연구에서는 어느 정도의 시간을 두고 살펴볼 수 있는 한 개의 이러닝 과정을 선택하여 본 연구를 다시 수행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이러닝 학습 환경의 경우 학업성취도와 참여도에 영향을 주는 다른 환경 요인과 설계 요인 등이 있을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는 살펴보지 못하였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환경 요인, 설계 요인과 같은 기업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업성취도, 참여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본다면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 포함된 26개 과정의 시험 난이도, 과제 난이도 및 과제 채점 기준에 차이가 존재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차이를 고려하지 못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어느 정도의 시간을 두고 살펴볼 수 있는 한 개의 이러닝 과정을 선택하여 본 연구를 다시 수행해 볼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각 과정별 특성에서 기인한 차이 등을 제외한 결과를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종속 변인을 학업성취도와 참여도만 살펴보았다. 그러나 처음 학습자들이 가지고 있는 내재동기가 과정 후에는 어떻게 변하였는지, 자기조절학습 수준은 어떻게 변하였는지 등을 확인하였다면 좀 더 정확한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후속 연구에서는 사전-사후 내재동기를 측정하고, 사전-사후 자기조절학습 수준을 측정하는 등 좀 더 세부적인 연구 설계가 필요하다.;Recently, e-learning that accepts prompt reply of enterprises, the study is available anywhere and anytime and the limit in time, space and expense is overcome is outstanding by reason of the effective educational mode(Lee, Im, Jo, 2002). Although e-learning with a variety of advantages is outstanding, the problems such as low academic achievement and high drop-out rate is suggested (Son, 2004). Accordingly, investigate factors that have an effect on the motivation for e-learning achievement and the learners who are doing e-learning so that the enterprise e-learning gets the realistic effects, in particular, it is presented that e-learning should be designed to be suitable for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operated accordingly.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fundamental resource which is theoretically utilized for e-learning design and operation after ascertaining whether or not the intrinsic motivation of adult learners, achievement goals and the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are capable of predicting study achievement and process participation. The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1. Are learner's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capable for predicting achievement goals in e-learning course? 2. Are learner's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capable for predicting academic achievement in e-learning course? 3. Are learner's achievement goals (mastery-approach goals, mastery-avoidance goals, performance-approach goals, performance-avoidance goals, work avoidance goals) capable for predicting academic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in e-learning course?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ward the participants in 26 lectures of a month course being provided from S company that is enterprise education institution. In the beginning of the course, to measure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the online questionnaires are posted to 428 participants. After two weeks since the course get started, to investigate what role the intrinsic motivation did for learner's achievement goals, the 2nd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tal 60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1st and 2nd survey are finally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ings: First, the learner's intrinsic motivation shows positive correlation (r = .57, p < .01) in mastery-approach goals and negative correlation (r = -.55, p < .01) in work avoidance goals, besides, the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shows positive correlation (r = .38, p < .01) in mastery-approach goals and negative correlation (r = -.40, p < .01) in work avoidance goals. These results accord with results of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stery goals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by Jo and Kim(1998). The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mastery-approach goals and negative relationship with work avoidance goals. The intrinsic motivation shows higher relationship than work avoidance goals. As a result of applying the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to independent variable and achievement goals to dependent variable, the intrinsic motivation meaningfully predicts mastery-approach goals (β = .52) and work avoidance goals (β = -.47). These results accord with the results of the study on investigating whether or not the intrinsic motivation predicts achievement goals by Harackiewicz and his colleagues(2007). Second, as result of investigating whether or not the learner's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predict,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s are not shown. Namely, in this study, the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do not predict at all and achievement goals does not play a role as parameter. Furthermore, the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have nothing to do with study achievement and process participation. These results is originated from e-learning with the environmental speciality. Namely, the precedent study was conducted in face to face situation,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is conducted in the process of e-learning. In reality, in a study on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s and study achievement, and intrinsic motivation on the basis of Internet based study environment by Sim and Song(2007) dose not show any correlation. It implies that the intrinsic motivation and study achievement do shoe different tendency in facto fact study and e-learning. Besides, there are other important variables in predicting academic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Thir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and learner's achievement goals and academic achievement over e-learning course, the participation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academic achievement(r = .27, p < .05), mastery-avoidance goals(r = .31, p < .05), and performance-approach goal(r = .28, p < .05). However, academic achievement has no correlation with any achievements goals. As a result of applying achievement goals to independent variable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to dependent variable, achievement goals does not predict academic achievement, F(2, 60) = .70, p = .624, and course participation, F(2, 60) = 2.05, p = .086. These results imply that there are other important variables in predicting academic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in e-learning environment. In these results, in order that the learners pursue achievement goals in e-learning course, the intrinsic motivation should be improved. Besides, apart from face to face study situation, there are main variables in predicting study environment and participation in e-learning circumstance. Accordingly, in further study, it is necessary to study variables that predict academic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in e-learning course. The limits i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it has the limit in generalization because the number of the study subjects is not enough. Thus, the further study with more sampling is necessary. Second, the reply time of respective learners is different and survey are conducted 2 times in short period of time, thus, the rate of the return is very low. In the next study, select one e-learning course with enough time to observe and conduct the study again. In this case, the results excluding difference originated from characteristics in each of courses and lower rate of return by conducting frequent survey are expected. Third, there may be other environment and design factor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in e-learning study circumstance, however, the point is not investigated in this study.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have an effect on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in enterprise online study environment such as environment and design factor in the next study. Fourth, in this study, the dependent variables relating to academic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are investigated. However, if investigating how the intrinsic motivation that the first learners have is changed after the process and how the self-regulated learning is changed, more accurate study results will be acquired. In the next study, more sophisticate study design will be necessary as analysing pre and post intrinsic motivation, and pre and post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 3 C. 용어의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9 A. 내재동기 = 9 1. 내재동기의 개념 = 9 2. 내재동기와 외재동기의 관계 = 10 3. 자기결정이론 = 12 B. 자기조절학습 = 17 1. 자기조절학습의 개념 = 17 2. 자기조절학습 전략 = 18 C. 성취목표 = 21 1. 성취목표의 개념 = 21 2. 성취목표 이론의 발달 = 22 3. 2×2 성취목표 구조 = 27 D. 관련 선행연구 = 31 1. 내재동기와 성취목표 = 31 2. 자기조절학습수준과 성취목표 = 34 3. 내재동기와 학업성취도 및 참여도 = 36 4. 자기조절학습수준과 학업성취도 및 참여도 = 37 5. 성취목표와 학업성취도 및 참여도 = 38 Ⅲ. 연구방법 = 41 A. 연구대상 및 연구절차 = 41 B. 연구도구 = 43 C.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 49 Ⅳ. 연구결과 = 51 A. 기술통계 = 51 B. 상관분석 = 53 C. 요인분석 = 59 D. 회귀분석 = 64 1. 내재동기와 자기조절학습수준의 성취목표 예측 = 65 2. 내재동기와 자기조절학습수준의 학업성취도와 참여도 예측 = 67 3. 성취목표의 학업성취도와 참여도 예측 = 69 Ⅴ. 결론 및 제언 = 72 A. 결론 및 논의 = 72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 78 참고문헌 = 81 부록 = 92 <부록 1> 연구대상 과정 = 93 <부록 2> 설문 응답자들의 인적사항 = 95 <부록 3> 측정문항 = 95 <부록 4> 설문지 = 100 ABSTRACT = 10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813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내재동기, 자기조절학습 수준, 성취목표에 의한 기업 이러닝 과정의 학업성취도 및 참여도 예측-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Prediction of Academic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of the e-Learning Course by Intrinsic Motivation, the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hievement Goals-
dc.creator.othernameSong, Soojung-
dc.format.pagexiii, 11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