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나경-
dc.creator김나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57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1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8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10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만 2세 교사를 대상으로 만 2세 영아보육과정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에 대해 알아보고, 인식과 실제 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만 2세 영아보육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만 2세 영아보육과정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2세 영아보육과정 운영 계획에 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제는 어떠한가? 2. 만 2세 영아보육과정 영역에 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제는 어떠한가? 3. 만 2세 영아보육과정의 운영에 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제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보육시설에 재직 중인 만 2세 보육교사 18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만 2세 영아보육과정의 인식과 실제를 알아보았다. 만 2세 영아보육과정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를 알아보기 위해서 이주희(2005)가 제작한 연구 도구를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만 2세 영아보육과정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교사의 인식과 실제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paried-t)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만 2세 영아보육과정 운영 계획에 있어서 영아의 연령에 따른 발달 단계를 인지하고 이를 반영하는 것을 가장 필요하다고 보지만 영아의 가정환경, 문화 등에 관한 고려에 관한 인식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사는 만 2세 영아보육과정 운영을 실제 계획함에 있어서 연간, 월간, 주간 별로 영아보육계획 수립을 가장 잘 하고 있지만 영아의 가정환경, 문화 등을 고려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잘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 2세 영아보육과정 운영 계획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를 비교해보면 교사의 실제는 교사의 인식에 비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영아의 가정환경, 문화 등을 고려하는 점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 간의 차이는 가장 컸으며 연간, 월간, 주간 별로 보육계획을 수립하는 것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 간의 차이는 가장 적었다. 둘째, 교사는 만 2세 영아보육과정 영역 중에서 기본생활 영역을 가장 필요하다고 보고 가장 잘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자연탐구 영역은 가장 낮은 인식과 함께 다른 영역에 비해 잘 실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 2세 영아보육과정 영역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를 비교해보면 교사의 인식만큼 실제로 실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인식과 실제 간의 차이가 가장 많이 난 영역은 신체활동 영역이었고 교사의 인식과 실제 간의 차이가 가장 적게 나타난 영역은 예술 영역이었다. 한편 만 2세 영아보육과정 영역들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 간의 관계를 각 하위문항별로 살펴보았을 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지만 예술경험 영역의 하위문항 중 ‘단순한 미술활동 즐기기’만은 교사의 인식과 실제행동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교사는 만 2세 영아보육과정의 운영에 있어서 영아의 놀이 수준을 고려한 놀잇감이나 자료들을 충분히 제공하는 것이 가장 필요하다고 보았지만 각 활동에 대한 구체적 목표를 알고 이에 맞게 진행하는 것에 관한 인식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만 2세 영아보육과정의 운영에 있어 교사는 활동 영역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을 가장 잘 실시하고 있지만 각 영역별 놀잇감을 규칙적으로 적절하게 교체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잘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 2세 영아보육과정의 운영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를 비교해보면 교사의 실제는 교사의 인식에 비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영아의 놀이 수준을 고려한 놀잇감이나 자료들을 충분히 제공하는데 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 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영아가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놀잇감을 낮게 수납하는 것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 간의 차이는 가장 적게 나타났다.;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s and practices for teachers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for children at age two, and investigates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ir perceptions and practices in order to study how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for children at age two is composed. Through this, the objective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for children at age two. The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seen below. 1. What are the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teachers on the operational plans for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for children at age two? 2. What are the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teachers on the fields for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for children at age two? 3. What are the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teachers on the management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for children at age two?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180 teachers for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for children at age two at nursery facilities in Seoul through questionnair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teachers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for children at age two, the research tool created by Lee, Joo Hee(2005)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data was analyzed by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and standard devi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teachers for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for children at age two, and in order to observe the difference of the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paired-t tests were performed. A summary of this study is as shown below. First, for operational planning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children at age two, teachers perceive that it is most important to be aware of the developmental stage according to the child's age, while they have a low perception for considering the child's family environment, culture, etc. Meanwhile, for practical planning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children at age two, teachers performed best at setting up annual, monthly and weekly child nursery planning. However, they relatively did no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young child's family environment, culture, etc. When comparing the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teachers fo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children at age two, it revealed that the practices of teachers did not live up to their perceptions. Among these, the difference of the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for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young child's family environment, culture, etc, were the greatest, while the difference of the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for establishing annual, monthly and weekly plans were the smallest. Secondly, for the field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of children at age two, teachers felt that the basic living field was the most important and they performed on this the best. On the other hand, the nature research field was perceived as the least important and was performed the least as well. When comparing the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on the fields fo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children at age two, it was not put into practice as much as it was perceived. The field in which the difference of the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were the most was in the physical activities field, while the smallest amount of difference of the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was in the art field. Meanwhile,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on the fields for the childhood education for children at age two are examined for each sub-items, there was a noticeable difference. However, in the sub-items for the art experience field, there was no noticeabl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al behaviors only for 'enjoying simple art activities'. Thirdly, for management of the early education curriculum of children at the age of two, teachers felt that it was most necessary to provide sufficient amount of toys or materials taking into account the children's play level, but results showed that they had a low perception for accurately being aware of each activity and conducting them accordingly. In practice, for managemen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children at the age of two, teachers performed best at arranging activity fields so that it is easily seen and comprehended, but replacing the toys per field in a regular manner was relatively performed less. When comparing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the teachers for managing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children at age two,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s did not put it into practice as much compared with its perception. Among these, for providing sufficient amount of toys or material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hild's play level,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while there was the smallest amount of difference of the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for storing toys at a low height so that the young children could use them convenient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II. 이론적 배경 = 5 A. 만 2세 영아보육과정 = 5 B. 관련연구 = 12 III. 연구방법 = 15 A. 연구대상 = 15 B. 연구도구 = 16 C. 연구절차 = 17 D. 자료분석 = 18 IV. 연구결과 및 해석 = 19 A. 만 2세 영아보육과정 운영 계획에 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제 = 19 B. 만 2세 영아보육과정 영역에 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제 = 20 C. 만 2세 영아보육과정의 운영에 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제 = 30 V. 논의 및 결론 = 32 A. 논의 = 32 B. 결론 및 제언 = 38 <참고문헌> = 43 <부록> = 48 <ABSTRACT>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7224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만 2세 영아보육과정에 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실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erception and Practice of Teachers for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for Children at Age Two-
dc.creator.othernameKim, Na Kyoung-
dc.format.pagevii, 6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