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혜선-
dc.creator조혜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57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05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87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05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various characteristics of Kindergarten teaching profession culture and to find out what are the intra mechanisms as well as other factors that yielded such characteristics through the insights of experienced teacher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Kindergarten teaching profession culture recognized by experienced teachers? 2. What are the intra mechanisms of such Kindergarten teaching profession culture recognized by experienced teachers? 3. What are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such Kindergarten teaching profession culture recognized by experienced teachers Ten experienced teachers in both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in the metro-capital area, who have more than 5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who is currently a classroom head teach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was used as a main research method. In addition, focus group interview was also conducted to reach a consensus among participants. Data includes 30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2 focus-group interviews, video and audio recordings, field notes, and other information collected from Jul 07, 2007 through Sep 21, 2007. All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dures: data arrangement, understanding, categorization, and scrutinizing; content analyses and core category construction; data reexamination and interpretation. Throughout this process, two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shared the data and provided feedback. The participating teachers also reviewed the analyzed data in order to verify the objectiv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Kindergarten teaching profession culture recognized by experienced teachers are (a)working together, (b)working hard and steadily, (c)conservative life style, (d)considering others’ perspective, and (e)learning in the field. ‘Working together’ was the most outstanding characteristic of Kindergarten teaching profession culture which has developed through participating in cooperative projects. ‘Working hard and steadily’ was the typical characteristic of Kindergarten teachers who have to work consistently yet efficiently. ‘Conservative life style’ means that teachers valued their hierarchical order based on experience level and that their dress-code and behavior-code represented teaching as a conservative profession. ‘Considering others’ perspective’ implied that Kindergarten teachers greatly consider how they are viewed by others and this is related to the fact that Kindergarten teaching is typically underestimated in our society. This also reveals our society’s contradictory attitude toward teaching profession because one have a high expectation for teachers’ intelligence and ability while others have low respect for the job including poor work condition and small salary. Lastly, ‘Learning in the field’ means that Kindergarten teachers learned a lot of skills and expertise by watching other experienced teachers’ lesson preparation in the teachers’ room. They also learned and indirectly experienced various teaching ideas through private conversations with other Kindergarten teachers. Second, intra mechanism of such Kindergarten teaching profession culture recognized by experienced teachers is found to be collectivism that allows individualism. Collectivism is a very important and historically bounded culture in Korea, and thus it is not surprising to see that Kindergarten teachers have ingrained it as their intra mechanism. The traditional collectivism has evolved to allow individualism as well, however, because of the unique teaching profession culture such as isolated and conservative life style. Third, factors that contribute to such Kindergarten teaching profession culture recognized by experienced teachers are (a)feminine job, (b)small organization, (c)unstructured curriculum, and (d)poor work condition. Since Kindergarten teacher is one of the most feminized jobs in our society, they are often tamed to get used to feminine teaching culture which resulted in quieting their voices despite some unfair respect from our society. Small organization as well as high value of relationship among Korean society/culture also contributed to Kindergarten teaching profession culture. Kindergarten teachers believed that developing a good relationship with co-workers will make a better work, and even showed a sense of emotional attachment. In addition, due to the unstructured, vague, and abstract Kindergarten curriculum, teachers had a constant pressure for reorganizing the curriculum and developing new activities. Lastly, Kindergarten teaching profession culture was found to be deeply influenced by poor work condition such as frequent overwork, shortage of teachers, and small salary. Although these circumstances have encouraged Kindergarten teachers to work together, work hard and steadily, and learn in the field, it is found to be a critical conflict factor for teachers’ both professionalism and socialization.;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직경험을 통해 경력교사들이 인식한 유치원 교직문화의 표현특성과 이러한 특성을 이끄는 내면기제가 무엇이며, 어떠한 요인들에 의해 교직문화가 형성된다고 생각하는 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경력교사들이 인식한 유치원 교직문화의 표현특성은 어떠한가? 2. 경력교사들이 인식한 유치원 교직문화의 내면기제는 무엇인가? 3. 경력교사들이 인식한 유치원 교직문화의 형성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는 수도권 지역의 공립 ? 사립 유치원 교사 중 학급을 담임하고 있는 5년차 이상의 경력교사 10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방법은 심층 개인면담을 주로 하면서, 유치원 교사들이 공유하고 있는 교직문화에 대한 합의점을 도출하기 위해 핵심주제 집단면담을 병행 실시하였다. 2007년 7월 7일부터 9월 21일 사이에 총 30회의 개인 심층면담과 2회의 핵심주제 집단면담을 통해 음성 녹음, 비디오 녹화, 현장 약기, 기타 자료 등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자료의 처리 및 분석은 자료 정리, 자료 해석을 위한 자료 내용 이해 및 범주화, 내용 분석을 위한 핵심 범주 도출, 자료 해석의 객관화를 위한 의미 해석 및 재검증 단계를 거쳤다. 연구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유아교육 전문가 2인에게 동료 확인을 받았으며, 연구 참여자들에게 재확인을 받았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교사들의 인식을 통해 본 유치원 교직문화의 표현특성은 함께 일하기, 부지런히 행동하기, 보수적으로 살기, 외부 인식 고려하기, 현장에서 배우기 등으로 나타났다. 함께 일하기는 유치원 교직문화의 가장 특징적인 부분으로 함께 직무를 수행해야 하는 ‘공동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이었으며, 부지런히 행동하기는 지속적이면서도 민첩하게 일을 수행하는 유치원 교사들의 행동 특성이었다. 보수적으로 살기는 교사다운 태도 및 복장을 갖추고, 교사 조직에 형성된 경력서열적인 질서를 지키는 교사의 행위 규범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나 유치원 경력교사들은 사회에서 유치원 교직의 직업위세를 낮게 인식하는 것에 대한 양면적인 감정과 태도를 가지고 있어 보여지는 것을 중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장에서 배우기는 교무실에서 다른 교사들의 수업 업무 및 준비를 어깨너머로 보며 기술 및 노하우를 배우는 것과 유치원 교사들은 수다와 같은 대화를 통해서도 교육활동에 대한 간접 경험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경력교사들의 인식을 통해 본 유치원 교직문화의 내면기제는 개별성을 인정하는 집단주의가 바탕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직문화의 주요한 내면기제인 집단주의는 한국이 집단주의 문화권이어서 형성된 자연스러운 귀결로 유치원 교사들의 뿌리 깊은 심층적 가치관으로 드러났다. 이는 교직자체가 가지고 있는 고립성과 보수성에서 기인한 개별성도 동시에 인정하는 변형적인 집단주의를 의미한다. 셋째, 경력교사들의 인식을 통해 본 유치원 교직문화의 형성요인은 여성적 직업, 소규모 조직, 비구조적인 교육과정, 열악한 근무조건 등 네 가지 요인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직은 대표적인 여성적 직업으로써 유치원 교사로 길들여지기는 것을 받아들이고, 직업위세가 낮은 유치원 교직에 대해서 침묵하며, 여성적인 의사소통을 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규모 조직인 것과 관계를 중시하는 한국의 사회 ? 문화적 가치관으로 인해 인간관계 지향적인 성향을 보였다. 관계가 좋아야 일을 보다 더 잘 할 수 있다고 인식하였으며, 동료교사 간에 가족애와 같은 정서적 유대감을 가지고 있었다. 그 외, 비구조적인 유치원 교육과정으로 인해 유치원 교사는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부담과 불확실성이 있어, 기본보다는 새로운 활동을 찾거나 모호함 극복을 위해 지속적으로 학습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치원 교직문화는 근무 조건 문제와 같은 물리적인 요건에 의해서도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과중한 업무와 늦은 퇴근, 부족한 교사수와 적은 월급은 유치원 교사들이 일을 공동으로 하는 함께 일하기와 부지런히 행동하기, 현장에서 배우기를 고양시키는 요인이지만, 동시에 교직에 대한 양면적인 감정을 갖게 하거나 교사로서의 직업 정체감 형성, 유치원 교사로서의 사회화 과정에 갈등 요인으로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8 C. 용어 정의 = 8 D. 연구자 = 10 II. 이론적 배경 = 13 A. 교직문화 = 13 1. 교직문화의 개념 = 13 2. 교직문화의 구성 요소 = 17 3. 교직문화의 특성 = 23 4. 교직문화의 기능 = 27 B. 유치원 교직문화 = 29 1. 유치원 교직문화의 표현특성 = 29 2. 유치원 교직문화의 내면기제 = 31 3. 유치원 교직문화의 형성요인 = 37 4. 유치원 교직문화와 한국의 사회 문화 가치관 = 47 III. 연구 방법 = 53 A. 연구 방법 = 53 1. 면담 연구 = 54 B. 연구 참여자의 선정 = 56 1. 연구 참여자 = 57 2. 연구 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 61 C. 연구 절차 = 62 1. 예비 연구 = 62 2. 본 연구 = 64 3. 자료 처리 및 분석 = 70 IV. 경력교사의 인식을 통해 본 유치원 교직문화 표현특성 = 74 A. 함께 일하기 = 74 1. 공동일 우선 = 74 2. 동료 간 협조 = 77 B. 부지런히 행동하기 = 80 1. 끊임없는 일 = 80 2. 신속한 대응 = 83 C. 보수적으로 살기 = 84 1. 교사다운 복장 = 85 2. 경력서열적인 질서 = 87 D. 외부 인식 고려하기 = 89 1. 보여지는 모습 중시 = 90 2. 보여지는 교육결과 중시 = 92 E. 현장에서 배우기 = 94 1. 어깨너머 배움 = 94 2. 간접 경험이 되는 대화 = 97 V. 경력교사의 인식을 통해 본 유치원 교직문화 내면기제 = 99 A. 집단주의 추구 = 99 1. 개별성을 인정하는 집단 = 100 2. 교사간의 조화 또는 동조 = 104 B. 교사로서의 자기 억제 = 107 1. 능동적인 자기 억제 = 108 2. 수동적인 자기 억제 = 111 VI. 경력교사의 인식을 통해 본 유치원 교직문화 형성요인 = 116 A. 여성적 직업 = 116 1. 유치원 교사로 길들여짐 = 117 2. 짧은 교직 주기 = 120 3. 여성적인 의사소통 = 123 B. 소규모 조직 = 126 1. 일보다 관계 우선 = 126 2. 가족 같은 직장동료 = 129 C. 비구조적인 교육과정 = 131 1. 교육과정 재구성의 부담 = 132 2. 새로운 교육활동 추구 = 134 3. 교사의 지속적인 학습 = 137 D. 열악한 근무 조건 = 139 1. 과중한 업무 = 140 2. 부족한 교사수와 월급 = 143 VII. 논의 및 결론 = 147 A.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 147 1. 경력교사의 인식을 통해 본 유치원 교직문화 표현특성 = 148 2. 경력교사의 인식을 통해 본 유치원 교직문화 내면기제 = 152 3. 경력교사의 인식을 통해 본 유치원 교직문화 형성요인 = 155 B. 결론 및 제언 = 162 참고문헌 = 167 부록 = 185 <부록 1> 연구 참여지(유치원) 입장 허락서 = 185 <부록 2> 연구 참여자 개인 동의서 = 186 <부록 3> 심층 개인면담 질문지 = 188 <부록 4> 핵심주제 집단면담 질문지 = 191 <부록 5> 핵심주제 집단면담 현장 기록지 = 192 <부록 6> 교사 면담 전사본 및 분석 예 = 193 ABSTRACT = 1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9330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유치원 교직문화 분석-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경력교사 10인의 인식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n Kindergarten teaching profession culture : Insights from ten experienced teachers-
dc.creator.othernameJo, Hye Seon-
dc.format.pagevii, 197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