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7 Download: 0

일제강점기 한일황실사진 비교연구

Title
일제강점기 한일황실사진 비교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Pictures of Korean & Japanese Royal Famil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Authors
홍은미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우리는 일반적으로 매체를 통해 드러난 사실로부터 한 시대를 이해한다. 나름의 시각을 가지고 보겠지만 기록화된 자료에 대한 신뢰 때문에 매체를 통해 드러난 사실에 대해서 우리는 일반적으로 그 사실을 있는 그대로의 사실이라고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역사학에서 이미 불가능하다고 확인한 것처럼 완전히 객관적인 사실이라는 것이 존재하는지, 또 매체라는 전달자가 사실을 고의적으로 왜곡하거나 호도하지는 않았는지에 대해서는 심각하게 고민하지 않아왔다. 본 연구의 출발은 초등학교가 ‘국민학교’로 불리던 시절의 교실 풍경이 주던 이미지에서 출발한다. 교단 후면 벽에는 어김없이 국기와 함께 대통령의 사진이 걸려 있었다. 선생님의 얼굴과 더불어 정면에서 응시해 오던 국가원수의 표상은 교육과 상관없음에도 불구하고 매일 매일의 삶에서 ‘국가원수에 대한 숭배’를 강요하였다. 표상을 통해 국가와 국가원수를 동일시하게 하고 또 그 아래에 충성을 서약해야 하는 대상으로서의 국민을 상정하는 이미지이다. 이런 것이 국가대표와 국민의 관계를 시각화로 기억시키고, 그 이미지를 저장하여 통치하고자 했던 정치권력의 장치가 아니었을까 생각하면서 일제 강점기 언론 『매일신보』신년호에 게재되었던 일본 천황의 사진 속에서 그와 동일한 표상의 시원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배경이 되었다. 1910년 국권 침탈 후 일제는 구한말 최대의 민족지였던 『대한매일신보』를 조선총독부 기관지인 『경성일보』에 흡수 합병하여 제호를 『매일신보』로 바꾸고 1910년 8월30일부터 발행하기 시작하였다. 일본인 사장과 편집국장 밑에 『매일신보』를 두고 일제의 한국 통치를 합리화하고 선전하는데 활용해나갔다.『매일신보』는 총독부의 지원과 감독 하에 친일여론을 조장하였고 신년호에 게재되는 일본 천황의 사진보도와 한·일 합방 후 왕가로 강등된 조선 왕가의 동정과 소식을 사진과 함께 게재하면서 식민정책의 홍보와 선전을 일삼는 총독부의 마름역할을 자임하였다. 본 연구는 정치권력이 신문이라는 매체를 통해 정치권력의 의도를 실현해 나가는 도구로 사진 이미지를 어떻게 활용하였는지를 보여주는 가장 좋은 사례로 『매일신보』에 게재된 한·일황실 관련 사진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기관지였던 『매일신보』가 1910년부터 1944년까지 35년간 게재한 황실관련 사진내용만을 연구의 범위로 제한하였다.『매일신보』에 게재된 한·일황실 사진을 토대로 기본조사를 하였으나 친인척에 해당되는 황족의 구체적인 말단 단위까지는 접근하지 못하였으며 방대한 양의 인물과 사건으로 인해 직접적인 비교연구는 고종황제와 메이지(明治)천황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한제국의 고종황제와 일본 메이지천황은 둘 다 근대국가 정치의 주역이 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자신의 국가가 근대국가로 이행되기를 희망했으며 국가표상을 명확하게 하고자 했던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는 인물이다. 전통의 권위를 계승하면서 국가와 황실의 적장자임을 주장하였고 그 뿌리를 중요하게 생각했던 것과 함께 단발령의 실행, 신식군복으로의 황제복 착용 등 외적인 변화를 통해 근대화된 이미지로 역사에 기억되기를 갈망하였고, 서구열강과의 교류에 즈음해 각 황실을 대표하는 문장을 제정하여 사용하였고, 국가적 체면의 고양에 노력을 경주하였으며 정치적으로는 강력한 왕의 이미지를 모색했다는 점에서도 유사점이 있다. 그러나 언론 즉, 『매일신보』를 통해 드러난 두 군주의 이미지는 상반되는 것이었다. 일본 천황의 사진은 야망과 신중함을 겸비한 표정으로 행동하는 이미지, 강(强)하고 서구화된 듯한 이미지를 갖춘 근대화된 국가공동체의 대표로 그려졌으나 고종은 전근대적이고 무기력한 군주의 이미지로 그려졌다. 고종은 일본 천황에 비해 시각적인 이미지를 통해 열등한 군주로서의 위치에 놓이게 되었다. 이는 물론 『매일신보』의 철저한 계획에 의한 시각적 이미지의 왜곡에서 기인하였다. 일본은 1931년 만주사변을 일으킨 후부터 한반도를 대륙침략을 위한 병참기지로 재편성하기 시작하는데 이러한 역사적 상황에 따라 『매일신보』의 보도양식 또한 변화해 간다는 사실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사건의 중심이 순종에서 영친왕으로 다이쇼(大正)천황에서 쇼와(昭和) 히로히토(裕仁)천황으로 옮아가고, 역사적 상황과 흐름에 따라서『매일신보』의 새해 1면을 장식하던 일본 천황의 사진내용이 변화해 감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이미지의 변천을 통해 사진권력의 은유를 살펴볼 수 있었다. 고종황제 때부터 언론에 일거수일투족이 노출되어 온 식민지국가의 왕손 이왕(영친왕)의 사진 기사를 따라가 보는 일 또한 한·일관계의 이해와 근대에 대한 시각의 차이뿐만 아니라 시각적 이미지의 은유를 볼 수 있는 좋은 사례가 되었다. 덕혜옹주를 비롯한 쇠락한 조선 왕가의 동정을 보도하고 있는『매일신보』를 통해서 당시 언론이 갖고 있는 한계와 그 실체 그리고 이미지의 왜곡을 가늠해 볼 수 있었으며, 조선총독부와 일본정부가『매일신보』를 그들의 정치선전도구로 이용하려 했던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철저한 감시와 통제 속에서 언론을 전략적으로 활용해갔음을 알 수 있었다. 일본의 대륙침략이 본격화되는 시기 근대 식민지국가의 뼈아픈 역사가 기록된 사진을 읽어나가는 것, 우리 역사의 단면을 읽어내고 해석할 수 있는 단초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사진이 갖고 있는 특성, 실재성을 바탕으로 현실적으로 선택된 사회나 역사적 사건을 재현하는 사진이 어느 순간에 기계적으로 재현되었다는 것 단순한 그 사실에 머물러 있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한 장의 사진을 통하여 그 사진이 갖고 있는 진실의 여부는 사진 그 자체와는 상관없이 사진 밖의 요소들, 어떤 맥락 속에서 어떤 서술을 위해 선택되었는지에 대해 자세히 들여다보아야 할 것이다. 신문에 보도되어 기록된 사진 한 장, 조선의 왕실, 대한제국의 황실과 일본의 황실사진 한 장을 통해 우리가 읽어내어야 할 우리의 역사가 있기 때문이다.;Generally we can grasp what a period of time would be like through the facts which are exposed in the media of the time. Even though there are different views of the time among us, we usually tend to consider as if the facts were true as they were since the documented materials are believed to be trustworthy. However, it seems that we have not seriously examined whether truly objective facts existed or not, or if the media intentionally would have distorted and glossed over the facts although the historical science has acknowledged that there is no completely objective facts. This study starts from the image of the classroom in those times when elementary school was called kookmin hakkyo. In those days, a picture of the president of the government was hung along with national flag behind the platform in which teacher stands at every classroom. The representation of the head of state, which was directly staring at the students, seemed to have forced them to have an admiration for him in the daily lives although it was nothing to do with education. It was an image that made people identifies state with the head of state while having them pledge loyalty to him. I came to suppose it was one of instruments of the political power which would have visualized the relation between the head of state, and infused its visualized image into people's mind. Accordingly, this study starts from the motive if I could find out that utilization of the representation as such could be traced back to the photos of the Emperor of Japan appeared in a New Year issue of Daily New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imperialist Japan acquired Korea Daily News which was the nation's largest journal at the last period of Joseon Dynasty, and merged it with Kyung Sung Daily News as the organ of the Japanese government of Joseon right after it took national sovereignty from Joseon Dynasty. At the same time, the Japanese government of Joseon entitled it Daily News, and began to publish the first issue on August30, 1910. The Japanese government of Joseon appointed the Japanese people to the position of president and editorial director, and utilized it to justify and advertise the Japanese rule of Joseon. The Daily News has promoted the pro-Japanese opinion under the support and control of the government while playing a role of supervisor to propagate colonial policies of the Japanese government by means of publishing the photo of the Japanese emperor along with photos and news of the Joseon royal family In this study, photos of the Korean and Japanese royal family appeared in the Daily News were analyzed to examine how the political power used photo images as the most effective means for realizing its policies. This study covers the photos published in the organ of the Japanese government of Joseon, the Daily News for 35 years, from 1910 to 1944. This thesis studied the photos of the Korean and Japanese royal family issued in the Daily News. However, it didn't deal with the minor members of the royal families' relatives but the Emperor Gojong and Meiji because of enormous amount of related figures and events. It can be told that emperors, Gojong of Korea and Meiji of Japan had something in common in that both emperors hoped that their country would move to modern state, and also they wanted to play a leading part on the politics of modern state. For example, they claimed to be legitimate leader of state and royal family who succeeded to prestige of tradition, and craved that they would be remembered in the history as modernized image while they attempted changes in form and appearance through enforcing the ordinance of short hair, and wearing new-style military uniform. In addition, both emperors made and used the crest representing royal family after both countries began interchange with the Western Powers while trying to boost their national prestige, and exerting themselves to make up their image as powerful king However, the images of both emperors published in the Daily News were contrary to each other. The photos of Japanese emperor showed image of ambition and prudence, and at the same time looked as if he were the head of modern state which was powerful and westernized. On the other hand, the Emperor Gojong was figured with pre-modernistic and enervated image. Accordingly, Gojong was placed in the inferior position to the Japanese emperor. As a matter of fact, it was caused by distortion of visible image that the Daily News completely has worked. After the Japanese military occupied Manchuria in 1931, it set about work to reorganize Korea Peninsular as a commissary base for invading China. This study shows that the Daily News has changed its way of reporting news under this historical circumstance. That is, it confirms that the central figure of news appeared in the Daily News shifted from King Sunjong to King Young Chin to the Emperor Taisho to the Emperor Hirohito. Moreover, image contents of the Japanese emperors depicted in the first page of New Year issue of the Daily News have been changed according to historical circumstances and currents. Therefore, it can be told that such image change of the emperors shows metaphor of power that generally picture reveals. In the mean time, this thesis inspected photo news of King Young Chin whose every action was exposed in the journal after the reign of the Emperor Gojong. The inspection was a good example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Korea, and see various point of views on the concept of modern as well as metaphor of visual image. We can see not only the limitation and characteristic of journalism but also its work on image distortion at that time by examining how the Daily News dealt with the movement of declined Joseon royal family including Princess Deok Hye. In addition, we can grasp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and its colonial government of Joseon have made use of the Daily news as an instrument of political propaganda, and utilized it with strategic planning under strict surveillance and control. It is the ground work to interpret one phase of our history that we read photos that record the painful conditions of colonial state. I don't think that a photo, which depicts a society and historical events chosen by its characteristic and substantiality, is routinely re-produced at one time. The truth of a photo could be completely read and interpreted not by itself but by its external elements and context, and understanding why it was selected. That's because a picture issued and recorded in the newspaper, which depicted Korean and Japanese royal family, implies our history that we have to rea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