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2 Download: 0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와 평가인증에서의 부모참여에 대한 부모의 인식

Title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와 평가인증에서의 부모참여에 대한 부모의 인식
Other Titles
Parents' Perceptions of the Day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and Parent Participation in the Day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Authors
박자연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와 평가인증에서의 부모참여에 대한 부모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평가인증에 부모가 효과적으로 참여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2. 보육시설 평가인증에서의 부모참여방법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2-1. 자체점검위원회를 통한 부모참여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2-2. 설문지와 전화응답을 통한 부모참여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41곳의 보육시설(23곳의 평가인증을 받은 보육시설, 18곳의 평가인증을 받지 않은 보육시설)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부모 267명이다. 이 중 148명은 평가인증을 받은 보육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부모이며, 119명은 평가인증을 받지 않은 보육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부모다. 연구도구는 보육시설 평가인증지침서와 보육시설 평가인증사무국에 문의한 내용, 평가인증사무국에서 자체 제작한 부모용 설문지를 바탕으로 유아교육 전문가와 상의하여 자체 제작한 부모용 질문지다. 연구문제에 대한 자료분석은 질문지의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인증여부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대한 부모의 인식을 살펴보면, 먼저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를 받은 기관의 부모가 인증을 받지 않은 기관의 부모에 비해 사전인식이 높았다. 자녀가 다니고 있는 기관의 평가인증여부에 대해서는 평가인증을 받은 기관의 부모 44.6%와 인증을 받지 않은 기관의 부모 10.9%만이 인증여부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있었고 다수의 경우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인증여부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부모들이 필요하다고 답하였으나 실제로 보육시설을 선택할 때는 평가인증여부가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지 않고 있었다. 즉, 현재 자녀가 다니고 있는 보육시설을 선택한 이유로 직접 방문 후 마음에 들어서, 아는 사람의 추천으로, 집에서 가까워서를 선택한 부모가 많았고, 평가인증을 받은 곳이어서를 선택한 부모는 전체 1.5%에 지나지 않았다. 또한 평가인증을 받는 중이거나 받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부모에게 평가인증에 통과하지 못할 경우 시설을 옮길 의향이 있는지를 물어본 결과 대부분 옮기지 않을 것이라고 답하였다. 평가인증제의 목적에 대해서는 과반수 이상의 부모들이 영유아들이 안전한 보육환경에서 건강하게 성장하도록 보육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평가인증지표의 항목으로 보육환경을 1순위로 선택하였다. 평가인증에 부모가 참여하는 것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부모들이 필요하다고 답하였다. 둘째, 보육시설 평가인증에서의 부모참여방법 중 자체점검위원회의 적절성에 대해 과반수 이상이 적절하다고 답하였으며, 적절하지 못하다고 답한 가장 큰 이유로 바빠서 실제로 참여하는 부모의 수가 적을 것이라고 답하였다. 또한 작년까지 실시되었던 부모용 설문지의 내용에 대해 과반수 이상의 부모들이 만족스럽다고 답하였으나, 보다 부모가 평가할 수 있는 내용으로 수정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설문에 효과적으로 응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사전에 부모가 직접 보육시설을 관찰할 시간을 갖도록 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또한 참여방법 및 내용적 측면에 있어 부모들은 전화응답보다 설문지를 선호하였는데, 그 이유로 생각해서 답할 시간이 충분하고 부모들이 동일한 기준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점을 선택하였다. 평가인증에 부모의견이 반영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과반수 이상이 적극 반영되어야한다고 답하였으며, 그 이유로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부모로서의 의견도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답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시설은 평가인증제를 부모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시설의 평가인증여부에 대해 정확히 알려야 한다. 또한 부모들이 평가인증에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부모들에게 시설을 자주 방문하고 관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하며, 가정과의 긴밀한 의사소통을 통해 실제로 보육시설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해 부모들이 평가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부모들은 보육시설의 질을 평가하는데 가장 신뢰할만한 준거인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대해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보육시설 평가인증에 참여하게 될 경우 부모참여 시 주체가 부모 자신임을 깨닫고, 자녀가 다니고 있는 보육시설을 보다 객관적이고 적극적으로 평가하고자 노력해야 할 것이다. 셋째, 보육시설 평가인증사무국은 부모가 평가인증에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도적으로 마련해주어야 한다. 즉, 평가인증에 참여하는 부모의 수를 늘리고, 부모가 사전에 보육시설을 관찰한 후 평가에 참여하도록 하는 규정 등을 마련함으로써 참여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또한 부모들이 제시한 설문지와 전화응답의 장단점 및 개선방안을 토대로 보다 부모의 입장에서 참여 가능한 방안으로 보완해야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effective methods that parent's opinions apply to day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actively. For the purpose, we investigate parents' perceptions of two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1. Parents' perception of the day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2. Parents' perception of parent participation in the day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2-1. through a self-inspection committee consisting of a director and some parents 2-2. through the questionnaire or the telephone survey of Korean Childcare Accreditation Council To identify parents' perceptions exactly, we sent a questionnaire to 267 parents. Among them, 148 and 119 parents have sent their children to 23 daycare centers accredited by the day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and 18 centers not accredited, respectively. The total 41 daycare centers are located in either Seoul city or GyeongGi-Do. The questionnaire is based on the guide book of Korean Childcare Accreditation Council, interview with a staff, and its previous questionnaire for parents. It also includes many new questions that expert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have recommended recently. According to accreditation of daycare center, we present the responses about the questionnaire, which have been analyzed in terms of frequency and percentage. According to two research questions, we present some important results in the responses as following: First, the parents who have sent their children to the accredited daycare centers have shown higher perception of the day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than the others. More specifically, 44.6 percent of the parents have already known whether or not the daycare centers to which they have sent their children are accredited, whereas only 10.9 percent of the others have known it. Most of parents answered that it was necessary to accredit the daycare center regardless of the accreditation of their daycare centers. However, our results showed that it affected the selection of daycare center little whether or not their daycare center had been accredited. That is, they mostly had negative responses to the question that they would select or change their daycare center when the center was not accredited. Most of them selected the current daycare center for satisfying when they had visited it, for being recommended by close acquaintances or for being located near their house. Only 1.5 percent of them considered the accreditation of the daycare center as the primary criterion in the selection. More than half of them thought that it was important to improve service quality so that children could grow up in good health as well as in safe environment. Also, they selected the circumstance of daycare center as the most important item in the accreditation of daycare center. And most of them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accreditation. Second, most parents had positive responses to the parent's participation through the self-inspection committee. On the other hand, others who had negative responses posed a problem that only small number of parents could participate in the committee practically because of their heavy schedule. When we asked the degree of difficulty about contents and the terms in the questionnaire, most answered that they could understand the questionnaire easily and were satisfied with its contents. They, however, showed different answers to possibility of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questionnaire every questions. Also, they required to add or modify some questions to evaluate daycare centers more practically. To answer the questionnaire more effectively, they suggested that they should visit the daycare center before the accreditation. Of two parent participation methods used in Korean Childcare Accreditation Council, they preferred the questionnaire to the telephone survey because they could have enough time when answering. The telephone survey included another questions to the daycare center policy as well as the accreditation and had varied some questions at every call. These were considered as significant problems in accrediting the daycare center exactly. Most of them strongly wanted that their opinion would be reflected to the daycare center accreditation. Based on our results, we are able to make the following contributions. First, daycare centers have to inform parents of the day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actively and the accreditation acceptance of their daycare centers clearly. Also, for the effective parent participation in the system, they should present opportunities of parent's visiting and observing their daycare center more frequently. In addition, the daycare centers should do much for that parents can evaluate them practically through the close communication between families and daycare centers. Second, parents need to be interested in the day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which is the most reliable criterion in evaluating daycare centers. Being aware that parents are the main group of parent participation in the day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they should try to evaluate the daycare center that their children have attended, more objectively and actively. Finally, it is required that Korean Childcare Accreditation Council systematically prepare plans for parent to participate in the day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more effectively. That is, it should increase the number of parent who participate in the accreditation and encourage parents participate in the accreditation after observing their daycare center. Moreover, based on the merits and demerits in the questionnaires and telephone survey of the parents, the plans should be complemented for parents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