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방정은-
dc.creator방정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45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45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3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8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315-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철도는 가장 오랫동안 우리 삶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온 도시기반시설 중 하나이다. 자동차교통의 보편화로 인해 철도교통의 입지가 많이 약해진 지금에도 각 지방의 중앙역은 여전히 그 지방의 대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 지역의 사람들과 문화가 모여들고 또 나가는 상징적 장소인 것이다. 또한 철도교통은 포인트 투 포인트 (point-to-point) 시스템인 도로교통에 비해 선형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전국 역사들 간의 직관적인 네트워킹이 수월하다. 대부분의 철도역사는 도시의 구도심에 위치해, 현재 각 도시들이 겪고 있는 구도심의 쇠락과 그로인한 지역고유문화 소멸 등의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매개체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지방의 단거리 철도노선은 적자운행을 이유로 속속 폐지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철도교통의 활성화와 구 철도역사의 재생을 위하여 철도시스템에 일반적인 여객 기능 외에 놀이문화, 서비스, 예술, 상업 활동 등의 기능을 결합하여 철도의 지역 간 교류 기능을 강화하고자 한다. 특히 구 서울역을 대상으로 서울역에서 시작되는 과거 네트워크를 회복하고 동시적 공간 활용을 할 수 있는 제안을 하려한다. 서울역은 우리나라 수도의 중앙역인 만큼 도시적 맥락, 구축적 형태, 그것에 간직된 집단기억에 의해 강력한 상징성을 지녀왔다. 또한 서울역은 한국철도 노선의 특성 상 모든 노선들이 모여들어 지역 간 교류의 시작점이 될 수 있다. 다른 도시역사들과 마찬가지로 서울의 구도심에 자리 잡은 서울역 역시, 현재는 서울의 아이덴티티를 이루는 중요한 요소로서 여겨지던 예전만큼의 영향력이 없다. 고속철도의 개통으로 구 역사 옆에 지어진 서울역은 여전히 가장 많은 승객들을 수송하고 있지만 승객수송, 그 이상의 의미를 갖지 못한다. 이에 연구자는 현재의 서울역을 경직되고 고정된 상태로 보고, 이와 대비되는 역동적이고 유연한 요소를 여기에 도입하여 서울역의 침체된 상황을 개선하고자 했다. 바로 모바일스페이스를 통해 서울의 물자가 지방으로 지방의 물자가 서울로 교류, 순환 하는 것이다. 이것은 역사 특유의 성질을 살린 것으로 모바일 스페이스를 통해 서울역사의 공간이 전국으로 확장되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사람과 물자의 이동이 구역사와 연결된 플랫폼과 레일을 통해 시작되어 전국의 역사들과 새롭게 결합된다. 이를 통해 서울지역사회와 지방 지역사회간의 교류가 활성화될 것이고, 그 허브가 되는 서울역은 본래의 구심적 상징성을 되찾을 수 있을 것이다.;Old Seoul Station is a important cultural property that has been lived with the people since 1925. Now, Station lost its primary role and currently closed. As a landmark of Seoul, Old Seoul Station reusing attract public attention because of its centripetal symbolism. Based on above, I suggest a new utilizable proposal that can recover missed bygone networks, and use spaces all over simultaneously. That is cultural, economic, personal interchange between Seoul and local communities through the new railway culture system with two kinds of mobile spaces. Like mobile nature of station, this is a idea that Seoul Station's spaces expand to the whole country by mobile spaces. The platform and rails connected with Old Seoul Station make this process work. This proposal will vitalize exchange between communities and make Old Seoul Station stand center agai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장.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과 의의 = 1 1.2 연구의 방법 및 절차 = 3 제 2장. 모바일 스페이스 = 5 2.1 모바일 스페이스의 정의와 특징 = 5 2.1.1 모바일스페이스의 개념적 특징 = 5 2.1.2 모바일 스페이스의 형태적 특징 = 6 2.2 모바일 스페이스 출현의 사회적, 역사적 배경 = 8 2.2.1 메타볼리즘 (Metabolism) = 8 2.2.2 아키그램 (Archigram) = 9 2.2.3 베르나르 츄미의 폴리 (Folie) 개념 = 10 2.2.4 컨버전스 (Convergence) = 11 2.3 모바일 스페이스의 가능성과 의의 = 13 2.4 모바일 스페이스를 통한 노마드적 스페이스 네트워크 사례 = 14 2.4.1 브라반트 도서관 (Brabant Library : Alphabet City) = 14 2.4.2 이동식 에이즈 전용 치료소 = 16 제 3장. 전국의 철도시스템과 서울역의 위상 = 18 3.1 한국철도의 역사 = 18 3.2 철도시스템의 현황과 문제점 = 21 3.3 현대사회에서 철도교통이 가지는 의의 = 23 3.4 철도시스템의 구심점 서울역 = 24 3.4.1 서울역의 장소성과 한국철도에서의 위상 = 24 A. 서울역의 유형적 특성 - 역사와 기억들 = 27 B. 서울역의 지형 해부적 특성 - 소재인식과 도시적 맥락 = 29 C. 서울역의 형태적 특징 - 주체인식과 구축적 형태 = 32 3.4.2 대상지 분석 = 33 A. 서울역의 일반적 현황 = 33 B. 서울역 부지의 문제점과 가능성 = 35 3.5 서울역과의 연결고리로서의 지방역사 = 42 3.5.1 지방도시 내 문제점 = 42 3.5.2 기존 시가지 활성화의 필요성 = 43 3.5.3 지방도시 활성화를 위한 전국적 네트워크 = 44 제 4장. 모바일스페이스를 이용한 활성화 방안 = 46 4.1 교류를 통한 구 서울역사의 정체성 정립과 구심성 회복 = 46 4.1.1 기획의 개념과 작동방식 = 46 A. 개념 = 46 B. 작동방식 = 48 4.1.2 지역간의 문화교류와 서울역의 역할 = 50 A. 지역문화 = 50 B. 중앙허브로서의 구서울역 = 52 4.2 교류 컨텐츠 = 53 4.2.1 수도권과 지방의 컨텐츠 상황 = 53 4.2.2 교류 컨텐츠 예시 = 56 4.3 기획 전개를 위한 지방역사의 분류 = 58 4.3.1 도시역사 = 58 4.3.2 소지방 역사 = 59 4.3.3 관광역사 = 60 4.3.4 임대형 폐역 = 60 4.4 모바일스페이스와 역사 간의 결합유형 = 63 4.4.1 서울역과 모바일스페이스의 결합 = 63 4.4.2 지방역과 모바일스페이스의 결합 = 66 제 5장 열차운행 시나리오 = 69 5.1 열차의 종류와 활용 = 69 5.1.1 컨테이너형 차량 = 69 5.1.2 건물형 차량 = 69 5.1.3 유람형 차량 = 70 5.2 노선의 종류 = 70 5.2.1 순환형 노선 = 70 A. 일반 순환 노선 = 70 B. 특별 순환노선 = 73 5.2.2 왕복형 노선 = 74 6. 결론 = 76 <참고문헌> = 78 <ABSTRACT> =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171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모바일스페이스를 통한 구 철도역사의 재생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구 서울역사 및 지방 유휴역사 네트워킹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Old Railway Station through Mobile Spaces : focused on the Case of Old Seoul Station and Networking Countrywide Stations-
dc.creator.othernameBang, Jung Eyn-
dc.format.pageviii,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건축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