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곽은신-
dc.creator곽은신-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41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41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36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82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365-
dc.description.abstractIt is very significant task for a human being to find the answer concerning what is "ego (or self esteem)". Building self-esteem has an equal meaning of distinctive existence from other human in biological and living being and of cognizing oneself as a family, social and/or national constituent. Furthermore, it could also mean to discover self-efficacy and self-worthy that by accepting moral obligation required from one's society that the person belongs at the same time. As establishing self -esteem, the individual satisfies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by unification and has a tendency of pursuit in amity with others to achieve their values and goals. I, this study conductor may also as well put countless effort on finding my self, reflect and meditate myself through out this study to follow the trace for the internal maturity and seriousness for the future by recovering my self esteem. I selected self journal as methodology for this study finding self- esteem. Writing a note in every day's life gives us opportunities to observe our lives and tailors and gives new meaning for each object with different explanation and description using the date and day even though the most frequently using word is 'today' on every journal. Also, composing a journal creates a complicated space that forms a meeting spot or a stage can show one's true color. It is not writing about who you are but learning about yourself by writing a journal. If you only focus on someone else's view instead of how you feel on your note, the note will be losing the meaning of yourself -yet slowly become a life evaluation judged by other viewers. Thus, a journal should be the space for the self reflection and motivation so that the writer can continue to put in order of self thought and emotion. A thought- out note is proper way of approach to shape an ego because it can give healthy influence to human behavior and internal mechanism.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facts, we shall look around the meaning of the journal on our routine at the title of 'self-esteem through journal' in chapter 1 and know the concept of self journal throughout 'the relationship between journal and ego' and consider it through Eriksson's Ego theory. Then, we will not only study the journal as a specific method to find ego but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two objects. In chapter 2 'Sample study case of self-esteem', we examine the authors who fit in this case. That is, the writers ruthlessly express their ego on journal work. Based on theoretical facts from previous chapters, chapter 3 'self analysis in journal' shows its ground to analyze ego and is a decision making part for the subject of production. I could identify myself by analyzing my own word (includes of nouns and adjectives), which has been used for past 3years on my self note. At the last chapter, I visually expressed myself concentrated on my self-esteem though my work. The attempt of visual expression is detailed approach for self- examination and self esteem and making it through the projective psyche into the objective psyche. Following 8 articles by the study conductor has tried to manifest myself ego (love to wards the opposite gender and my vision) founded from my journal as symbolic objects. Since the subject for all work is my self, there has to be a symbolic substitute for myself and each character is explained and described where its mental state was originally meant to be. This study was completely based upon the progress of self reflection and tried to confirm self-esteem going through the above work process. I hope this essay could create fundamentals in expression and analysis and contribute to the future production.;자아 정체성(自我 正體性)과 관련된 물음에 대한 답을 찾는 일은 인간에게 주어진 매우 중요한 삶의 과제이다. 자아 정체성을 형성한다는 것은, 생물적 동물적 존재로서의 인간이 자신을 타인과 구별되는 존재로 파악하고, 자기 자신을 자신이 속한 가정, 사회, 국가의 한 구성원으로서 인식하는 것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 그 구성원에게 부여되는 사회적 도덕적 책임을 수용하여, 자신의 존재 가치와 생존의 의미를 발견하는 것을 뜻한다. 이렇게 자아 정체성을 확립함으로써, 개인은 자신의 과거, 현재, 미래를 안정되게 통합하며, 타인과의 친밀성을 추구하는 가운데 자신의 가치와 목표를 이루기 위해 헌신하려는 태도를 갖게 된다. 본 연구자 역시 자신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며, 이번 연구를 통해 자기 자신을 성찰하는 시간을 갖고, 자아정체성의 회복으로 내적 성숙과 미래에 대한 진지함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자아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 일기를 선택하였다. 일기를 통해 일상을 기록한다는 것은 자아의 눈을 통하여 주변을 바라보고 그 속에서 발견되어지는 소재로 인한 상념을 정리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며, 날짜, 요일 그리고 ‘오늘’을 반복적으로 기록하면서 각각 다른 생각이나 느낌을 서술하는 것이다. 또한 일기를 쓴다는 것은 자연스럽게 자신과 만나는 공간을 형성시키며 자신을 들어내는 복합적인 공간이 되기도 한다. 그것은 자신이 누구인지를 쓰는 것이 아니라, 글을 씀으로써 자기 자신을 알아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진실을 고백해야 하는 내용들이 누군가가 볼 것을 염두 해 두고 표현된다면 그 기록은 삶을 직접 바라보지 않고 타인에게 자신의 삶을 맡기고 평가받는 것과 다를 바 없는, 자아를 잃어가는 기록이 될 것이다. 그러나 일기가 자신에게 완전히 정직해 질수 있는 자아 성찰의 공간이 된다면 각 개인은 계속적인 글쓰기를 통해 모호하게 정리되지 않았던 생각과 감정들을 정리 시킬 수 있다. 일상적 기록에 의한 표현은 인간의 외적인 행동과 내적인 정신작용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자아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주는 적합한 접근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과정으로 먼저, 본론의 첫 장 ‘일기를 통해 본 정체성’부분에서는 ‘일상의 기억으로서의 일기’를 통해 일상에서 기억되어지고 있는 일기가 갖는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 ‘일기와 정체성의 연관성’을 통해 일기의 개념과 에릭슨의 자아 정체성 이론을 통해 고찰한다. 그리고 정체성을 찾기 위한 구체적 방법으로 일기를 활용하며, 일상의 기록에 의해 쓰여 지는 일기와 정체성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의 두 번째 장 ‘정체성의 표현사례연구’에서는 정체성을 작품 안에 표현하고 있는 작가들에 대해 살펴본다. 세 번째 장 ‘일기를 통해 나타난 본인의 정체성 분석’부분에서는 앞의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본인의 정체성을 분석하기 위한 밑거름이 되는 중요한 부분이며, 작품의 주제가 결정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최근 3년간의 본인의 일기에 담겨져 있는 내용을 단어분석(명사, 형용사)을 해 봄으로서 자아의 정체성을 확인한다. 마지막 Ⅲ장에서는 본인이 작품을 통해 본인의 정체성을 주제로 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이와 같이 주관적인 심리를 객관적인 형태로 전환 시키는 시각적 표현을 통해 자신에 대한 성찰과 자아 정체성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본 연구자가 제작한 작품 8점은 일기를 통해 찾은 정체성(이성에 대한 사랑, 본인의 꿈)을 주관적인 상징 대상으로서 표현하고자 하였다. 모든 작품의 주체는 본인이기 때문에 작품마다 주제에 맞는 본인의 상징 대상이 존재하며, 자아의 내면 심리가 작품에 반영되도록 설명하고 표현하였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작업과정을 통해 본인의 개인적인 성찰과정을 거쳐 자아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이 본인의 작품을 표현하고 분석하는 토대를 만들어 앞으로의 작품제작에 있어 발전의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 B. 연구 범위와 방법 = 2 Ⅱ. 본론 = 3 A. 일기를 통해 본 정체성 = 3 1. 일상의 기억으로서의 일기 = 3 2. 정체성과 일기의 연관성 = 5 B. 정체성의 표현사례연구 = 9 C. 일기를 통해 나타난 본인의 정체성 분석 = 21 Ⅲ. 작품 제작 및 분석 = 30 A. 작품제작 = 30 B. 작품 및 작품설명 = 33 Ⅴ. 결론 = 63 참고문헌 = 65 Abstract =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504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일기의 내용을 주제로 한 시각표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about Journal through Visual Expression-
dc.creator.othernameKwak, Eun Shin-
dc.format.pageⅸ, 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정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