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1 Download: 0

초등학교 미술교과를 위한 관찰기반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연구

Title
초등학교 미술교과를 위한 관찰기반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Design Education Program on the basis of observation in Elementary : based on expressions and feelings of unit 4 in 3rd Grade art curriculum
Authors
홍주희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정보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사회는 전 세계가 정보화되고 국가 경쟁체제로 변화함에 따라 단순지식인이 아니라 창의적인 인간상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육현장에서도 다양한 이론과 경험을 바탕으로 한 여러 가지 교수법이 시도되어지고 있으며, 교육의 목적 또한 학생들의 자발적이고 주체적인 학습에 의해 스스로 발견하고 획득한 지식을 기초로 재구성하여 새로운 문제 해결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주는 것이 교육의 중요한 목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당면 과제 하에 아동미술교육도 원만한 인간을 양성한다는 인간 교육적 관점 아래에서 미적 감수성, 정서, 창의성 등 전인교육으로서의 바람직한 인간 형성을 위한 예술가적 품성을 기르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미술교육, 특히 초등학교 디자인 교육에서는 단순한 미적 감정의 표현이 아니라 생활주변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탐구적 문제 해결 과정으로 보고, 아동들에게 창의적 사고 능력을 신장시키고 탐구적 사고 과정의 폭을 넓혀 주며, 보다 많은 아이디어를 창출할 수 있는 디자인 교육의 효과적인 지도 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연구하였다. 우선 선행논문 분석을 통해 창의성이 무엇인지, 디자인 교육과 어떤 관련이 있으며 그렇다면 디자인 교육은 어떤 목적을 가지고 이루어져야 하는지 연구하였다.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디자인 교육에 대해 알아보았을 때 창의적인 표현력 육성이 필요하나 지도에 도움을 주는 미술교육 프로그램은 부족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험 설계를 위한 3학년 미술교과 단원4. 표정과 느낌의 수업을 모형으로 이 단원이 교육현장에서 어떻게 이루어지는 지에 대해 인터뷰 설문을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서에 다른 얼굴 표정의 변화에 대한 관찰기반 디자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프로그램 적용 전, 후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디자인교육 프로그램으로서의 적합성과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Modern society is demanding not only men of simple intellect but also creative aspects as the world entered the era of Information and national competition system. Therefore the field of education has made attempts of some teaching methods based on diverse theories and experiences, and even the purpose of education has changed its direction to nurturing ability to reconstitute the fundamentals of knowledge students found and achieved by themselves through voluntary and independent learning and then apply them on new problem solving. Under such urgent task, 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lso aims on fostering artistic character to form recommendable humanity, as a part of all-round education such as aesthetic sensitivity, emotions, and creativity under an educational perspective to nurture satisfactory people. Art education, especially desig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must find a solution for effective guidance in design education that allows children to see art education not as a simple expression for aesthetic emotions but as process of solving inquiring problem around them, and create more ideas, while widening their width of thinking with curiosity and raising their creative thinking ability. Thus, this study studied design education program to raise creativity. First I studied what creativity is and how it is related to design education by analyzing precedent dissertations, and what purpose design education must have. Observing design education provided at actual educational sites, I confirmed that art education programs helping guidance are insufficient although the ability to express creativity must be nurtured. As a result, this study proposes design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Interview and survey were conducted to observe how unit 4 in the 3rd Grade art curriculum about the model of expression and emotion is actually used in educational sites to design the experiment, and then developed an observation-based design education program concerning changes in face expressions as a result of emotions based on the outcome of interviews and surveys. Then I studied the possibility and suitability of design education program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program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