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8 Download: 0

形事上 和解·調停에 관한 硏究

Title
形事上 和解·調停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Criminal Mediation
Authors
조현지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As victimology and restorative justice has been the subject of considerable discussion and debate in recent years, it triggered legislation in many countries to provide ‘criminal mediation’ or ‘victim-offender-mediation’ in criminal law and criminal procedural law, incorporating criminal mediation into the criminal justice system. In Korea, along with the theoretical progress in victimology in restoriative justice since 1990s, concerns have been raised over the existing informal ‘criminal conciliation’ or ‘criminal compromise’ conducted by the parties of offenses at personal level with no legal grounds, and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criminal mediation program has been discussed. Meanwhile, a model project of ‘criminal reconciliation program’ was launched by the Public Prosecutor’s Office in 4 selected jurisdictions in Seoul in 2006. Based on the positive outcomes of the model project and its merits in efficient case management, its application was extended nationwide from January 1, 2007, renamed as ‘criminal mediation.’ However, the purpose of this mediation program is mainly to reduce the burden of the prosecutors by filtering the cases that are civil, rather than criminal, in nature and preventing misuse of complaint, with little consideration of victims and offenders of the offenses. Also, its lack of legal and theoretical grounds causes another concern about the malfunction of criminal mediation and possible negative effects to criminal justice system as a whole as well as rights of victims and offenders. Thus, it is required to reconsider the real meanings and ideas of criminal mediation, and to formulate a legislation regulating it in criminal substantive and procedural law. Considering particularly the problems and limits in the current system of ‘criminal compromise’ and ‘criminal mediation program’, this study overviews underlying theories and legislation relating to criminal mediation, examines its implication and problems in theory and in practice, and proposes a legislation to place the criminal mediation appropriately with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In specific, it is discussed what is the purpose of the criminal mediation; whether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legal framework for it and, if necessary, how to understand its rationale and how to define its goal and process; what kind of legal effect should be given to the criminal mediation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and how to develop an institutional framework and legislation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criminal mediation. Concerning the restorative justice which is generally regarded as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criminal mediation, its value is reappreciated to the extent that it could assist and serve for the traditional criminal justice from the critical point of view. This approach underlines the need for the legal principles and guidelines properly regulating the criminal mediation, based on the constitutional and criminal laws and principles, and suggests a legal foundation for the criminal mediation to work with the traditional criminal justice system effectively. For this, this dissertation is structured as follows: Chapter I defines the purpose and scope of this study. Chapter II explores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criminal mediation as well as its values and functions in relation to restorative justice theory, and examines how restorative justice and criminal mediation relate to traditional criminal justice. Furthermore, referring to the criminal mediation related legislation and practice in other countries, Chanpter III reviews the forms and contents of the legal regulation of criminal mediation in terms of criminal laws and procedure, and identifies practical issues and limits in implementing criminal mediation. Chapter IV assesses the current system of criminal mediation in Korea and figures out subject matters to be considered in criminal law and procedure to improve the current system of criminal mediation in detaill. Especially, it set out the goals and ideas of criminal mediation in the light of criminal laws and principles in specific, and corresponding thereto, develops a legal formula of criminal mediation for its effective implementation in respect of criminal law and procedure.;피해자학과 회복적 사법에 관한 논의가 활발해지는 가운데, 세계 각국은 최근 형사법 개정을 통하여 형사화해·조정을 입법화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기존의 사적인 ‘형사합의’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1990년대 들어 회복적 사법과 피해자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2006년 검찰청 주도로 형사화해중재제도가 도입되어 시범실시되고, 2007년 1월 1일부터는 ‘형사조정’으로 개칭되어 전국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주로 남고소를 방지하고 검찰의 업무경감을 위한 민사적 형사사건의 합리적 처리를 위해 도입된 것으로, 이에 대한 근거법규 및 이론적 토대가 결여되어 있어, 형사화해·조정제도의 형사실체법 및 절차법적 효과에 관한 이론적 정립과 그 입법론이 문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고는 외국의 이론과 입법례를 참고하여, 형사합의 관행이라는 우리 법현실의 특수성 및 형사조정의 실무를 고려하면서, 형사화해·조정의 형사법적 이론적·실천적 의의 및 과제를 살펴보고, 올바른 형사법적 자리매김을 통하여 입법론을 모색하고 있다. 즉, 형사화해·조정의 목적 및 제도적 필요성은 무엇이며, 도입필요성을 인정할 경우 그 이념적·이론적 근거 및 형사사법체계 내에서의 지위 및 효과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그리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효과적 제도의 틀과 입법적 지원은 어떠한 형태로 할 것인가를 검토한다. 이를 통하여, 형사화해·조정의 지도이념으로 평가받고 있는 회복적 사법에 관하여는, 기존의 형사사법정의 실현을 위한 보충적·보완적 원리로서 그 가치를 평가하고 그러한 한에서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관점에서, 헌법 및 형사법이념에 기초하여 적절한 형사화해·조정의 법적 제한원리 및 가이드라인의 제도적 보장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형사법체계 내에서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형사화해·조정제도의 입법적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I. 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범위를 한정하고, II. 형사상 화해·조정의 이론적 기초에서는 형사화해·조정의 의의 및 본질을 이해하고, 그 이념적 기초가 되고 있는 회복적 사법이론과의 관계에서 그 가치와 기능을 파악하며, 또한 전통적 형사사법과의 관계에서 회복적 사법 및 형사화해·조정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의 문제를 검토한다. 그리고 III. 형사화해·조정에 관한 외국의 입법례에서 외국의 입법례 및 실무를 참고하여 형사화해·조정제도의 운용과 관련된 형사법적 규제의 방식 및 내용, 그리고 시행상의 문제와 한계를 살펴본 후, IV. 형사화해·조정의 형사법상 도입가능성에서 우리나라에서의 형사화해·조정에 관한 실무상의 문제를 검토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도입가능한 형사화해·조정의 형사법상 문제를 구체적으로 고찰한다. 특히, 형사화해·조정제도의 형사법적 이념에 비추어 구체적 목적 및 이념을 규명하고, 이를 실천함에 있어 제기될 수 있는 문제점을 형사실체법과 형사절차법 양 측면에서 검토한 후, 형사화해·조정제도를 그 법이념에 합치하는 방식으로 효과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세부 요건을 파악한다. 형사실체법이론적 측면에서는, 기존의 책임주의 이론과 형벌목적론에 비추어 형사화해·조정의 의의·기능과 문제점을 검토한 후, 이에 비추어 형사화해·조정의 인적·물적 적용범위를 한정하고, 조정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화해’ 내지 ‘형사합의’의 의미와 내용을 어떻게 파악하며, 그에 대한 법적 효과를 어떤 식으로 부여할 것인가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형사절차법이론적 측면에서는 헌법 및 형사법원리에 비추어 타당하고 적정한 형사화해·조정제도를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절차적 조건과 과제를 규명하며, 형사화해·조정의 적용범위와 절차법상 효과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검토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