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6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선희-
dc.creator오선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30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30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6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7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614-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조선후기에 화려하게 발달하여 우리나라 여인들의 대표적인 수식품(首飾品)으로 자리매김해 온 비녀를 대상으로 하여 그 역사와 다양했던 쓰임새, 조형적인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비녀는 머리를 고정하는 도구로써 한자어로는 ‘계(□), 잠(簪), 채(釵)’로 표현되었다. 계는 고대로부터 비녀를 통칭하던 용어였으며 진한 이후에는 계를 잠으로 칭하였다. 채는 꽂는 부분이 두 가닥으로 갈라진 비녀를 의미했다. 조선시대의 잠은 꽂는 부분이 하나로 된 비녀를 통칭하였으며, 큰머리에 사용된 목제 가발의 명칭으로 알려진 ‘떠고지(떠구지)’는 실제로는 머리에 꽂는 비녀의 종류를 의미하였다. 시대에 따라 기능과 형태에 변화가 있었던 조선시대의 비녀는 가체금지령을 계기로 더욱 화려한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쪽진머리가 장려되면서 머리모양이 단순해지자 가체를 부풀리는 데 치중하던 사치는 결발(結髮)의 필수품이자 수식품(首飾品)인 비녀를 화려하게 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었다. 쪽진머리가 점차 일반부녀들의 머리모양으로 보편화되면서 비녀의 사용에는 이중구조가 존재했는데, 일상생활에서는 작은 쪽에 짧고 간소한 비녀를 하고 의례에는 낭자머리를 하고 길고 화려한 비녀를 꽂는 것이 보편적이었다. 한편, 비녀는 족두리와 화관을 고정하고 장식하는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큰머리에 착용하는 목제 가발을 고정하는 용도도 겸하였다. 비녀 역시 신분사회에서 사용되었던 만큼 금제(禁制)가 있었으며 주로 ‘금, 은, 옥, 진주’ 등의 재료와 용봉잠(龍鳳簪)을 사용하는 것을 금하였다. 금제의 예외가 된 경우는 기생의 수식(首飾)과 신부의 예장(禮裝)이었다. 그러나 개화기를 거치면서 머리모양에 변화가 일기 시작하며 점차 서양식 머리모양을 하게 된다. 이에 전통적인 쪽진머리도 일상적 용도가 감소하여 착용 계층이 줄어들었으며, 비녀도 그 역할이 줄어들어 혼례용 비녀만이 화려함을 유지하는 정도로 입지가 축소되었다. 비녀는 착용상황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었는데 의례시에는 머리장식에도 많은 상징성이 부여되어 격식에 맞는 비녀를 꽂았다. 관혼상제(冠婚喪祭)의 의례 중, 혼례는 일생에서 가장 화려한 치레를 하는 의례로 비녀의 사용에 있어서도 가장 다채로운 모습을 보여준다. 『궁중발기(宮中件記)』에 따르면, 가례시에는 ‘수식, 큰머리, 조짐머리’를 하였으며 각각의 머리모양에 맞는 비녀를 착용하였다. 이 중 수식(首飾)은 비녀의 구성이 영왕비의 대수(大首)와 같아 『궁중발기』의 수식은 대수를 말함을 알 수 있다. 대수는 적의(翟衣)와 함께 착용한 가장 격식있고 화려한 궁중 머리 양식으로 이를 장식하는 데에는 ‘옥장잠, 옥선봉잠, 도금선봉잠, 도금용잠, 도금후봉잠, 도금가란잠, 도금오두잠류, 진주동곳’이 사용되었다. 이 중 장잠(長簪)은 대수의 특징적인 요소이다. 큰머리는 대수 다음 가는 예장용 머리로 ‘도금대봉잠, 도금용잠, 목련잠, 매죽잠, 가란잠, 죽절잠’ 등이 사용되었다. 이 중, 목련잠은 봉잠과 용잠에 이은 격식 있는 예장용 비녀로 사용되었다. 조짐머리는 궁중에서 하는 가장 약식의 머리 형태이나 사용된 비녀는 매우 화려했다. 조짐머리 비녀로는 ‘옥봉잠, 도금쌍봉잠, 용잠, 목련잠, 반죽잠, 산호잠, 가난화잠, 매죽잠, 매화잠, 도금오두잠, 옥죽절, 옥꾸민잠, 쌍조잠, 섭옥잠, 진주잠’ 등이 사용되었는데, 이 중 쌍봉잠과 반죽잠, 산호잠은 봉잠, 용잠, 목련잠에 이은 격식있는 예장용 비녀로 사용되었다. 민간의 여성들도 혼례시에는 용잠, 봉잠, 매죽잠 등의 화려한 비녀를 사용하였으며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머리장식을 하였다. 하나는 ‘큰머리 양식’으로 궁중의 대수와 유사하게 장잠(長簪)과 떨잠 및 각종 비녀로 장식하였고, 다른 하나는 ‘낭자머리 양식’으로 큰 낭자머리에 한 두 개의 길고 화려한 비녀를 장식하였다. 계례는 여성의 관례로써 우리나라에서 활성화되지는 않았지만 궁중에서는 중요한 행사로 여겨졌으며, 궁중 관례시에는 ‘광식’이라는 머리를 하고 흑각잠을 꽂았다. 제례시에 궁중에서는 파란죽잠(波湯竹簪)을 꽂다가 기일에 가까워지면 흑각잠으로 바꿔 꽂았다. 상례시에 궁중에서는 죽채(竹釵)를 꽂고 민간 부녀들은 흑각잠과 나무비녀를 꽂았다. 일상생활에서의 비녀 사용을 보면, 궁중에서는 계절에 따라 춘추에는 모란잠, 여름에는 민옥잠, 겨울에는 용잠을 꽂았으며 특별한 날의 문안에는 니사봉잠이나 옥모란잠을 꽂았다. 민간 부녀들은 보통은 민머리에 민잠을 꽂았으나 예장시에는 낭자머리나 어여머리를 하고 ‘섭옥잠, 매죽잠, 진주잠, 국화잠, 석류잠’등의 화려한 비녀를 꽂았다. 이와 같이 비녀는 의례와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사용되었으며 머리모양 및 계절에 따라서도 그 종류를 달리하여 다채롭게 사용되었다. 비녀를 만드는 데에는 각종 재료가 사용되었다. ‘금, 은, 동, 비취, 옥, 호박, 마노, 흑각, 대모, 파란, 비취모, 붉은 천 및 점토, 수정, 산호, 진주’ 등이 사용되었으며 이 중 붉은 천과 점토는 비녀의 잠두 안에 향료를 넣는 용도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비녀에는 ‘용, 봉황, 호두, 석류, 목련, 매화, 대나무, 국화, 난초, 학, 영지, 나비, 십장생’ 등, 절개·장수·부귀·다남 등을 상징하는 문양들이 비녀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사용되었다. 유물을 바탕으로 비녀를 종합적으로 고찰한 결과 각 종류별 비녀에는 그 종류를 특징짓는 조형적 요소가 있었으며 각 비녀는 몇 가지의 유형으로 분류되기도 하였다. 이상으로 조선시대의 비녀에 관해 살펴보았다. 가체금지령을 계기로 그 쓰임이 확대되고 화려한 외관을 갖추게 된 비녀는 결발(結髮)도구로서의 실용성과 수식품(首飾品)으로서의 장식성 및 착용자의 신분 및 착용 상황을 표시하는 사회적인 상징성을 두루 갖춘 조선 여인의 표상(表象)이자 다채로운 조형 양식을 보여주는 훌륭한 공예품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단편적인 비녀의 분석에서 나아가 문헌의 기록, 회화, 사진, 유물 등을 통해 비녀의 역사를 살피고 기존의 연구에서 부족했던 착용상황에 따른 비녀의 실증적인 사용례를 고찰하고자 했으며 비녀의 조형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공예품으로서 전통 비녀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현존하는 많은 유물의 분류와 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그러나 비녀라는 주제의 특성상 회화에서는 그 세부 표현이 많이 생략되고 사진에서도 그 종류를 정확히 알아볼 수 없었으며 비녀의 사용에 대한 자세한 기록이 많지 않아 비녀의 종류가 명시된 일부 궁중 기록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기록에만 등장하고 현재 유물로 전해지지 않는 비녀의 특징을 살펴볼 수 없었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앞으로 좀 더 다양한 계층에서의 비녀 사용 기록과 새로운 유물이 발견되어 좀 더 깊이 있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해 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for binyeo, one of the representative hair ornaments in Joseon period, synthetically. By Chinese characters, binyeo was written in several words like ‘Gye(□), Jam(簪), Chae(釵)'. Gye was a popular name of binyeo in ancient times, and Jam replaced Gye after Qin-Han(秦漢) period. Chae meant ‘Y’ shaped binyeo. Jam meant cross bar shaped binyeo in Joseon period. Ddeokooji which has known as a wooden wig put on Keunmeori actually meant a kind of binyeo. Binyeo in Joseon period were highly developed after the ban on wigs in eighteenth century. As chignon hair was a simple hair style, various hair ornaments were used. And binyeo became more splendid as an essential item for fixing and decorating chignon. Binyeo were used with everyday dress and ceremonial dress. Short and simple binyeo were for everyday use and longer and splendid ones for ceremonies. In Joseon period, using materials like ‘gold, silver, jade, and pearl’ on binyeo were banned, and common women could not wear dragon or phoenix-shaped binyeo. Although Gisaeng were in low classes, most splendid hair ornaments including dragon or phoenix-shpaed binyeo were acceptable for them. Also brides could wear dragon-shpaed binyeo as a kind of the most magnificent adornments. Except for chignon hair, binyeo were used to fix or decorate Chokduri, Whakwan, and a wooden wig for Keunmeori. But, as western culture was accepted, women's hair style had been changed. The use of traditional chignon hair had been gradually reduced and the use of binyeo had been also decreased. But, binyeo has still used for traditional wedding dress. Wedding binyeo has maintained its brilliancy. Binyeo was differently used according to wearing occasions. Especially at ‘coming-of-age ceremonies, wedding, funeral ceremonies, and ancestor worship ceremonies’, women put binyeo appropriate to the formality of each ceremony. Among those ceremonies, women did the most splendid hair ornamentation at marriages, and court women put diverse binyeo on hair styles of ‘Daesoo, Keunmeori, Jojimmoeri’ To decorate Daesoo, the most formal and splendid court hair style, ‘Jangjam(長簪, long hairpin decorated with pearls and crystals), Seonbongjam(立鳳簪, a standing phoenix-headed hairpin), Hubongjam(後鳳簪, a phoenix-headed hairpin put at the back of Daesoo), Yongjam(龍簪, a dragon-headed hairpin), Garanjam(加蘭簪, a hairpin with orchid flowers-patterned head), Odujam(烏頭簪, plain headed hairpin), and Jinjudongot(眞珠童串, short hairpin decorated with pears)’ were used. Among them, Jangjam was the most specific binyeo of Daesoo. To decorate Keunmeori, the next magnificent court hair style, ‘Bongjam(鳳簪, a phoenix-headed hairpin), Yongjam, Mokryunjam(木蓮簪, a magnolia blossom-headed hairpin)’ were used basically, and ‘Maejukjam(梅竹簪, a hairpin with plum blossoms and bamboo leaves-patterned head), Garanjam, Jukjeoljam(竹節簪, a bamboo joints-headed hairpin)’ were used together. To decorate Jojimmeori, the simplest court hair style, ‘Bongjam, Ssangbongjam(雙鳳簪, a hairpin with a pair of phoenixes-patterned head), Yongjam, Mokryunjam, Banjukjam(斑竹簪, a hairpin made with spotted bamboo)’ were used basically, and ‘Sanhojam(珊瑚簪, a hairpin made with coral), Garanjam, Maejukjam, Maehwajam(梅花簪, a hairpin with plum blossoms-patterned head), Odujam, Jukjeoljam, Youngrakjam(瓔珞簪, a hairpin decorated with trembling ornaments), Ssangjojam(雙鳥簪, a hairpin with a pair of birds-patterned head), and Jinjujam(眞珠簪, a hairpin made with pearls)’ were also used together. Common women also wore splendid binyeo like ‘Youngjam, Bongjam, Maejukjam’ at marriages, and decorated their hair by two styles. One was ‘Keunmeori style’ which was similar with Daesoo, and another was ‘Nangjameori style’ which was composed with Nangjameori and one or two splendid binyeo. Although a female coming-of-age ceremony wasn't held actively in Joseon period, it wa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ceremonies in court. Court women did Gwangsik hair style and put binyeo made with black horns at the coming-of-age ceremony. At ancestor worships ceremonies, court women put Paranjukjam (琺瑯竹簪, an enameled hairpin with bamboo leaves-patterned head) and replaced it to binyeo made with black horns as being closer to the deathday of the ancestor. At funerals, court women put Jukchae(竹釵, a bamboo leaves-headed hairpin) and common women put binyeo made with black horns or wood. For everyday dress, court women differently wore binyeo according to seasons. They put Moranjam(牧丹簪, a peony blossoms-headed hairpin) in spring and autumn, Minokjam (玉簪, plain jade hairpin) in summer, and Yongjam in winter. At an inquiry after of a big holiday, court women put Bongjam decorated with spun gold or Moranjam made with jade. Folk women normally put simple binyeo on a plain chignon hair, but put splendid binyeo like ‘Maejukjam, Jinjujam, Gukwhajam(菊花簪, a hairpin with chrysanthemums-patterned head), Seokrhyjam(石榴簪, a pomegranate-headed hairpin)’ on Nangjameori or Eoyeomeori at ceremonies. Like this, binyeo was variously used both in daily lives and ceremonies, and differently used according to hair styles and seasons. Various materials of ‘gold, silver, copper, jade, coral, pearl, amber, crystal, agate, black horn, enameling, feathers of kingfisher, red fabric and clay’ were used to make binyeo. Among them, red fabric and clay were used to put perfumeries in the head of binyeo. Patterns of ‘dragon, phoenix, walnut, pomegranate, magnolia blossom, plum blossom, bamboo, chrysanthemum, orchid flower, crane, bat, and butterfly' that symbolized ‘fidelity, long life, riches and honors, and many sons’ were used in various ways to decorate many kinds of binyeo. According to the analyzation of various remains, each kind binyeo had specific aesthetic elements and some kinds were divided into several types. In view of the results drawn from the synthetic analysis, binyeo was an emblem of Joseon women that totally had the practicality of fixing hair style, the brilliancy as decorative hair ornaments, and the social symbolism showing classes or wearing conditions of wearers. And binyeo were also fine craftworks showed magnificent crafting skills. This paper intended to analyze binyeo based on synthetical datum like ‘records, paintings, photos, and remains’ Especially, this paper tried to analyze actual usages of binyeo according to wearing occasions that weren't dealt with at preceding studies, and analyzed aesthetic features of binyeo in detail to rediscovery values of traditional binyeo and give a standard for correct classifications of many remains.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studies based on new records and remains be conducted to research usages of binyeo throughout all classes and aesthetic features of every binyeo shown on record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목적과 의의 =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II. 비녀의 역사 = 4 A. 비녀를 지칭하는 용어 = 4 B. 조선시대 비녀의 전개 과정 = 7 C. 비녀에 관한 금제(禁制) = 13 III. 비녀 사용의 실증적 고찰 = 15 A. 관혼상제의 의례 = 15 1. 관례(계례) = 15 2. 혼례 = 20 3. 상례 및 제례 = 45 B. 일상생활 및 일상의례 = 47 1. 궁중의 사용례 = 47 2. 민간에서의 사용례 = 48 IV. 비녀의 조형 양식 분석 = 51 A. 비녀에 사용된 재료 = 51 1. 주요 구성 재료 = 52 2. 세부 장식 재료 = 58 B. 비녀의 종류 및 특징 = 62 1. 봉잠 = 63 2. 용잠 = 69 3. 매죽잠 = 73 4. 죽잠 = 78 5. 가란화잠 = 80 6. 목련잠 = 81 7. 석류잠 = 82 8. 매조잠 = 84 9. 호두잠 = 85 10. 완두잠 = 86 11. 국화잠 = 87 12. 초롱잠 = 88 13. 영락잠 = 89 V. 결론 및 제언 = 90 참고문헌 = 93 ABSTRACT =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2320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조선시대 여자비녀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Women's Binyeo(Hairpin) in Joseon Period-
dc.creator.othernameOh, Sun Hee-
dc.format.pagexii, 10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