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3 Download: 0

현대 여성의 콘트라섹슈얼 성향에 따른 패션 디자인 개발

Title
현대 여성의 콘트라섹슈얼 성향에 따른 패션 디자인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Depending on the Modern Woman's Contra-sexual Trend
Authors
양은진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주목되고 있는 콘트라섹슈얼 현상은 오늘날 변화된 진보적 여성상의 라이프스타일을 설명할 때 주목받는 새로운 요소 중의 하나이며 문화적 범주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신 소비주체로 부상하고 있는 콘트라섹슈얼은 단순한 일차적 소비자가 아니라, 이들의 쇼핑문화와 취향은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러한 경향으로 소비 산업의 마케터들은 콘트라섹슈얼의 쇼핑 습관과 취향의 변화를 예측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 속에 미래의 여성 패션 이미지 예측을 위해서는 콘트라섹슈얼 현상을 파악하고 그들을 겨냥한 패션 디자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콘트라섹슈얼의 개념 및 특징에 대해 고찰하고 대중문화 속에서 어떠한 사례로 나타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현대의 새로운 여성상인 콘트라섹슈얼로 발전하기까지 20세기 패션에 나타난 여성성 이미지의 변화에 대해 고찰한 후, 콘트라섹슈얼 현상에 대한 요인을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드라마, 영화 등의 대중문화 속에서 나타나는 콘트라섹슈얼 패션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콘트라섹슈얼은 남녀 역할 경계가 모호해짐에 따라 전통적인 여성상을 탈피해 사회활동에 전념하고 있는 여성들이 늘어나고 있는 현대 사회의 양성평등 환경 하에서 남성성에 대해 접근한 것으로, 이들은 결혼이나 아이보다는 사회적인 성공과 명예를 우선가치에 두며, 섹스에 대해서는 좀 더 개방적이고 자유로운, 자기중심적인 연애관을 가지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둘째, 현대 패션에서 변화, 발전된 여성성에 대한 이미지에 대해 살펴본 결과, 전통적 여성성은 20세기 초 빅토리아 시대의 여성에 대한 육체적·정신적 종속이 지속됨에 따라 나타났으며, 이후 제 2차 세계대전으로 강제적 남성화를 거친 여성들은 Dior의 New Look이 등장함으로써 다시 전통적 여성성으로 회귀하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젊은이들의 반항적이고 혁신적인 문화와 여성들의 활발한 사회진출은 따라 갸르손느 룩, 실용주의 룩, 유니섹스 룩, 앤드로지너스 룩 등 여성성을 탈피한 남성화 경향을 나타나게 하였다. 셋째, 현대 여성에게 콘트라섹슈얼 성향이 나타나게 된 요인을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보면 다음과 같다.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와 경제적 지위 향상은 싱글 생활을 선택하는 여성들, 즉 결혼보다는 사회적 성공에 더 가치를 둔 여성들이 늘어나게 하였다. 그리고 현대 사회가 성에 따라 역할이 결정되는 고정관념이 통용되지 않는 양성적 사회가 되면서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가능하게 하였고, 새로운 여성상인 콘트라섹슈얼이 각광을 받게 되었다. 또한 디지털 세상의 도래는 여성스러운 남성 혹은 남성스러운 여성처럼 전통적인 성구분이 사라지고 양성의 이점을 취한 새로운 유형의 무성적 존재 즉, 콘트라섹슈얼, 디지털 이브와 같은 네오젠더가 나타나는 계기가 되었다. 넷째, 드라마, 영화 등의 대중문화 속에서 나타나는 콘트라섹슈얼 패션의 조형적 특성을 아이템과 실루엣, 소재, 컬러, 디테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아이템은 전반적으로 블라우스, 스커트, 재킷, 드레스, 팬츠, 코트 등이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블라우스는 플레인 블라우스, 셔츠 블라우스, 홀터넥 블라우스 등이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스커트는 스트레이트, 타이트, A 라인, 재킷은 테일러드, 턱시도, 퍼, 페플럼, 드레스는 시스, 박시, 셔츠, 플레어, 팬츠는 진, 스트레이트, 와이드, 코트는 트렌치, H 라인 등이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실루엣은 모던하면서도 매니쉬한 이미지의 H 라인 실루엣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컬러는 전반적으로 냉정하고 이지적인 느낌의 블랙과 화이트의 활용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소재는 대체적으로 부드러운 직물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고, 디테일은 육감적인 이미지의 V 네크라인과 매니쉬하며 클래식한 테일러드 칼라, 포멀한 세트인 슬리브, 여성스럽고 귀여운 프릴 장식과 섹시한 느낌의 슬릿 장식이 주로 보여졌다. 다섯째,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Urban Splendor’라는 컨셉 아래 콘트라섹슈얼의 패션 특징들을 반영하여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사회적 성공이나 고소득에 관심이 많으며, 자신의 외모를 가꾸는데 돈을 아끼지 않는 콘트라섹슈얼의 성향에 맞는 가상의 롤모델을 선정하여, 매니쉬한 요소와 여성스러운 감성을 조화시켜 콘트라섹슈얼의 양성적 이미지를 살릴 수 있도록 디자인 하였다. 이상으로 살펴본 결과, 트렌드로 대두된 콘트라섹슈얼의 개념과 그 특성에 대해 파악할 수 있었고 새로운 여성상과 그에 따라 변화되어 온 패션을 이해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콘트라섹슈얼을 타겟으로 한 작품제작을 통해 여성패션 시장뿐만 아니라 패션잡화 시장, 화장품 분야, 광고 분야에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지만 명확히 규명하기 힘든 콘트라섹슈얼 패션의 특성에 대한 개념을 정립함으로써 미래 여성 패션의 변화 양상 예측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The contra-sexual phenomenon that is recently focused is one of the new factors, which is focused when explaining the life style of progressive woman’s image and it is creating cultural category. Moreover, the contra sexual people that are rising as new consuming subjects are not simple primary consumers but their shopping culture and cultural tastes are giving effects to many people. Because of the tendency, marketer of consuming industry are making efforts to predict the changes of contra-sexual people’s shopping habits and tast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rasp contra-sexual phenomenon and research the fashion design aiming at that in order to predict woman’s fashion image in the future. Therefore, the study considered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contra-sexual phenomenon and surveyed its example in the public culture. In addition, the study considered the change of woman’s image shown in the fashion of the 21st century until it developed to the contra-sexual phenomenon, which is the new woman’s image in the present and analyzed the factors of contra-sexual phenomenon from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 On the basis of it, the study analyze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of contra-sexual fashion shown in the public cultures such as drama and movi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tra-sexual phenomenon is the access to man’s image under the gender equal condition of the modern society that the border of role between man and woman becomes obscure, the women, who escape from the traditional woman’s image and devote themselves to social activities, increases. Contra-sexual people give priorities to social successes and fames rather than marriages or children, are open to sex and have free, self-centered view of love. Second, from the result of surveying the woman’s image changed and developed from the modern fashion, traditional woman’s image appeared from the age of Victoria, early of the 20st century, when physical and mental dependence lasted. After that, the woman that had to experience compulsive virilizing because of the Second World War returned to the traditional woman’s image as New Look of Dior appeared. Moreover, young man’s defiant and innovative culture and woman’s active social entrance caused the virilizing tendencies escaping from the woman’s images such as La Garconne Look, Pragmatism Look, Unisex Look and Androgynous Look. Third, from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 the factors of modern woman’s contra-sexual phenomenon are as follows. Because of the expansion of woman’s social participation and improvement of economic status, the number of women, who chose single life, namely, gave more priorities to social successes rather than marriages, increase. As modern society was changed into androgynous one, in which fixed idea deciding the role depending on the gender is not allowed any more, there was a new access to man or woman’s image so new woman’s image, contra-sexual phenomenon, came into the spotlight. Moreover, the appearance of digital world removed the traditional gender classification like masculine woman or feminine man and caused the appearance of neo-gender, which is a new-typed sexless existence adopting the profit of androgynous feature, like contra-sexual or digital eve. Fourth, the study analyze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of contra-sexual fashion shown in public cultures such as drama and movie by dividing them into item, silhouette, material, color and detail. As a result, in item, blouse, skirt, jacket, dress, pants and coat frequently appeared. In blouse, plane blouse and shirt blouse frequently appeared, in jacket, tailored, tuxedo, fur and peplum frequently appeared, in dress, sheath, boxy, shirt and flare frequently appeared, in pants, jean, straight and wide frequently appeared and in coat, trench and H-line frequently appeared. In silhouette, H-line silhouette with modern and mannish image frequently appeared. In color, black and white that have cool and intellectual feeling were frequently used. In material, soft fabric was frequently used. In detail, V-neck line with sensual image, tailored color with mannish and classic feeling, sleeve with formal set, frill decoration with pretty image and slit decoration with sexy feeling frequently appeared. Fifth, on the basis of the result above, design was suggested by reflecting contra-sexual fashion characteristic under the concept of ‘Urban Splendor’. The study designed androgynous image by selecting virtual role models suitable for contra-sexual image, who have interests in social success and high income and does not save money for make-up and harmonizing mannish factor and feminine emotion. From the results above, it was possible to grasp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contra-sexual phenomenon, which appeared as a trend and understand new woman’s image and the fashion that has changed because of it. It is considered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foundation of contra-sexual phenomenon, which plays as an important variable in woman’s fashion, fashion accessory, cosmetic and advertisement field but it is hard to clarify, by analyzing the work aiming at contra-sexual phenomenon will be helpful for predicting the change of woman’s fashion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