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민정-
dc.creator이민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29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29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6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79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636-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nd make a higher value-added wedding dress with the Korean touch by engrafting Ewha(梨花:pear blossoms) and Dangui(唐衣) images on the Western wedding dress. The research is evaluated from the history of Western wedding dress and the literature of traditional female wedding costume from various references such as visual aids, internet sites, and actual object materials. After its characteristics were researched by taking an instance of the ecology in Korean pear blossoms and its patterns, three Korean-styled wedding dresses in pear blossom and Dangui were designed and made. Summarized conten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When seeing the history of the Western female wedding dress, the ancient times weren't existed separately the white wedding dress as now due to religious influence, and but were worn their contemporary peculiar customs, which are more colorful and cleaner than ordinary clothes. Entering the medieval times, as marriage is progressed in the form of benefits between families, mainly red-colored dresses were worn splendidly with expensive textiles and jewel decorations in order to display their powers. Even in modern times, the marriage form in this wedding ceremony has continued. As the dressiness reached the perfection, it had been worn by being volumed as farthingale and panier in the 16th and 18th century. After the 19th century, the white wedding dress was appeared as now. Particularly due to the influence of Queen Victoria, her wedding ceremony became an opportunity to introduce a white wedding dress as a general wedding dress of symbolizing purity along with the romantic view of marriage. Entering the 20th century, according to diverse styles in fashion, even the silhouette in wedding dress was changed in the diversity, but was generally robe in the long-skirt form. However, since the 20th century, the skirt length in wedding dress had ever reached over the knee. And after the 1980s, under the influence of punk look and post-modernism, avant-garde style dresses were appeared, but white robe in long-skirt length dresses were trend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traditional wedding dresses in Korean women had included Dangui(唐衣), Wonsam(圓衫), Hwalot(華衣), and queens' dresses such as Jeokui(翟衣) and Daesam(大杉) from Silla Dynasty. However, the age of enlightenment and civilization, Western wedding dress had been introduced along with the inflow of Western cultures. Generally, until the 1950s, people used Western dress together with Korean dress as their wedding gowns, but the end of the 1950s, it was completely changed into the Western-styled wedding dress. Since the 1960s, the wedding dress was changed into diverse forms along with fashion in clothing. Especially since the late 1980s, as individualization, sensibility, and personal taste had been advanced, unique designs were increasingly introduced. Recently, due to the influence of minimalism, wedding dresses were emphasized in luxury and elegant images based on Western-styled wedding dresses which was mainly emphasized on materials while the overall silhouette was getting simply. Pear blossoms, which is the main subject in this study, has appeared as a pattern since the latter Joseon dynasty period. However, since ume flowers and plum blossoms(李花) were very look alike, it was hard to distinguish and has been easily confus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botanical characteristics in pear blossoms, ume flower, and plum blossoms, pear blossoms has a round shaped flower, and the flowers and the leaves blossom simultaneously. As for plum blossoms, the flowers and the leaves blossom almost simultaneously but the flowers come first. As for ume flowers, the leaves come after the flowers bloom completely. Pear blossoms and ume flowers' petals are mostly faced each others, but plum blossoms are mostly separated from petals. In particular, plum blossoms transcribe as ‘Ewha(李花),’ and was symbolized 'Yi(李) royal family' in Joseon period. The color of stamen of pear blossom is pink, and plum blossoms and ume flowers have yellow one. A calyx in pear blossom and plum blossoms is green, but ume flower shows red. The leaf of pear blossom is broad egg-shaped or round and has round arch and dull and fine saw tooth on the edge. The leaf of plum is obovate and has dull saw tooth on the edge. The leaf of ume is ovate and long acuminate, and has sharp and fine saw tooth on the edge. Pear blossoms by 5 to 9 pieces on the edge of a short branch. The plum blossoms by 2 to 3 pieces in one flower bud on the edge of a sprig. Ume blossoms by 1 to 2 pieces on one flower bud. A case of pear blossom patterns(梨花紋) is very rare, thus there are just a few cases show in book covers and porcelains. The symbolism of pear blossoms implies our racial characteristics by preferring white colors, and it has symbolic meanings of cleanliness, innocence, purity, chastity, sincerity, harmony, and hope. These symbolic characteristics of pear blossoms in nice-looking, purity, chastity, and loftiness well represent the symbolism of bride and its wedding dress. Based on the facts and researches above, the theme of study is focused on pear blossoms and Dangui images, and the materials are used the vertical silk and silk organza, which are also materials for the traditional costumes. Thus, three wedding dresses in Korean images are designed and made in actual objects. Work Ⅰ is focused to express nice-looking, pure, splendid, and beautiful bride's image. It is the A-line silhouette wedding dress that take advantage of the beauty in curve of Doryeon-Line in Dangui. The decorative technique is to decorate the pear blossom patterns embroidery and pear blossom corsage over it. Work Ⅱ symbolizes a bride who is pure and urbane sophistication in Korean modern woman. It is a slim silhouette wedding dress in one-piece style that is added a three folds in curve image of the frontal-path hem to the frontal part of the skirt. The material is used a burnout finishing method. The decorative technique is to cover the whole frontal-path with beads and corsage in pear blossom patterns. Work Ⅲ expresses a bride's virtuous, graceful, noble, and beautiful images. It is a wedding dress of hourglass silhouette in two-piece style that take advantage of a branch-shaped aspect in pear blossom and of the curve in Dangui. The decorative technique is used of quilting techniques on the collar, sleeve, and waist part. In addition, corsage in pear blossom patterns is attached by several pieces on the short branch embroidery to decorate on the skirt.;본 연구의 목적은 이화(梨花)와 당의(唐衣) 이미지를 서양 웨딩드레스 디자인에 접목시켜 한국적 이미지의 고부가가치 웨딩드레스 디자인을 실제로 창작하여 제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자료, 시각자료, 인터넷 사이트 자료, 실물자료 등에 의해서 서양웨딩드레스의 역사와 전통복식의 여성혼례복을 고찰한다. 또한 한국 이화의 생태와 이화문의 사례를 들어 그 특성을 연구하고 당의와 이화문 이미지의 한국풍 웨딩드레스 3점을 디자인하고 실제로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서양식 여성의 웨딩드레스의 역사를 보면, 고대는 종교적 영향으로 지금처럼 흰색의 웨딩드레스가 따로 존재한 것이 아니라 평상시의 의복보다 화려하고 색있는 깨끗한 그들의 당시의 고유복식을 입었다. 중세에 들어와서는 결혼은 가문간의 이익에 따른 형태로 진행되면서 그들의 권세를 과시하기 위한 주로 붉은 색상의 드레스에 값비싼 직물과 보석장식 등으로 호화롭게 입었고, 근세에도 이러한 결혼식의 결혼형태는 계속 이어지고 화려함은 극치에 달해 파팅게일(16세기), 파니에(18세기) 등으로 옷을 부풀려 입었다. 지금과 같은 흰색 웨딩드레스가 출현한 것은 19세기 이후였다. 특히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의 영향으로 그녀의 결혼식은 로맨틱한 결혼관과 흰색의 웨딩드레스가 순결을 상징하는 일반적인 결혼예복으로 쓰이는 계기가 되었다. 20세기에 들어와 패션의 다양한 스타일에 따라 웨딩드레스의 실루엣도 같은 방향으로 변했지만 일반적으로 롱스커트 형태의 로브였다. 그러나 20세기 이 후 웨딩드레스의 스커트 길이가 무릎 위에 오기도 하고 1980년대 이후 펑크룩, 포스트 모더니즘 등의 영향하에서 아방가르드한 스타일의 웨딩드레스가 출현했지만 일반적으로 20세기 전반기처럼 롱스커트 길이의 흰색 로브가 주류를 이루었다. 한국여성의 전통혼례복은 신라시대 이후 한국화된 당의, 원삼, 활옷과 왕비복이었던 적의, 대삼 등이었다. 그러나 개화기 이후 서구문물의 유입과 함께 서양의 웨딩드레스가 도입되어 일반적으로 1950년대까지는 서구복식과 우리의 복식이 이중구조의 복식 형태의 구조를 이루다가 1950년대 말 서구식 웨딩드레스로 변했다. 1960년대 이후 웨딩드레스는 일반복식의 유행과 함께 다양한 형태로 변했다. 특히 80년대 말 이후 개성화와 감성과 취향이 고급화됨에 따라 독특한 디자인이 많아졌다. 최근 미니멀리즘의 영향으로 전체적인 실루엣은 심플하면서도 고급스럽고 우아한 이미지의 웨딩드레스가 유행했으며 소재자체를 강조한 다양한 서구식 웨딩드레스가 주를 이루게 되었다. 본 논문의 주제가 된 이화(梨花:배꽃)는 조선시대 후반 이후 문양으로 등장하지만 매화와 자두꽃(李花:오얏꽃)과 그 형태가 매우 비슷하여 거의 구별하기 어렵고 혼동하여 사용하여왔다. 이화, 매화와 자두꽃의 식물학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이화의 꽃모양은 원형이며 꽃과 잎이 동시에 피며, 자두꽃은 꽃과 잎이 거의 동시에 피며(꽃이 먼저 핌), 매화는 꽃이 다 지고 난 후에 잎이 핀다. 이화와 매화는 꽃잎끼리 대체로 맞다아 있고, 자두꽃은 꽃잎끼리 대체로 벌어져 있다. 특히 자두꽃은 ‘李花’로 조선시대 ‘李왕가’를 상징했다. 이화의 수술색깔이 분홍색이며, 자두꽃과 매화는 황색을 나타낸다. 꽃받침은 이화와 자두꽃은 녹색이며, 매화는 붉은색이다. 이화의 잎은 넓은 난형 또는 원형으로 첨두이며, 넓은 예저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잔톱니가 있다. 자두의 잎은 도란형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매화의 잎은 난형이며 긴 점첨두이고, 원저이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잔톱니가 있다. 이화는 짧은 가지 끝에 5-9개씩 피며, 자두꽃은 잔가지 끝에 꽃눈 하나에서 2-3개씩 꽃이 피고, 매화는 꽃눈 하나에서 1-2개의 꽃이 핀다. 이화문(梨花紋)의 사례는 아주 드물어 책 표지, 도자 등에서 몇몇 사례가 있을 뿐이다. 이화의 상징성은 흰빛을 좋아하는 우리민족성을 함축하며, 개끗함, 순수함, 순결함, 정숙함, 진실됨, 화합, 희망 등의 상징의 의미를 지니고 있어 본래의 신부의상의 의미인 청초함, 순결함, 정숙함, 고결함 등의 의미와 함께 신부의 결혼의상의 상징성을 잘 나타내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주제는 이화문과 당의 이미지이며 소재는 전통복식소재인 수직실크와 실크노방을 사용하여 한국적 이미지의 웨딩드레스 3점을 디자인하고 실물로 제작하였다. 작품Ⅰ은 청초하며 순결하고 화사한 아름다운 신부의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당의 도련선의 곡선의 미를 살린 A line 실루엣 웨딩드레스이다. 장식기법은 그 위에 이화문양 자수와 이화 코사지를 장식하였다. 작품Ⅱ는 한국 현대 여성의 순수하고 도회적인 세련미가 있는 신부를 상징했다. 당의 앞길 자락의 곡선 이미지를 스커트 앞부분에 3겹을 덧댄 원피스식의 slim 실루엣 웨딩드레스이다. 소재는 번아웃 가공법을 사용했다. 장식기법은 비즈와 이화문의 코사지를 앞길 전면을 매꾸었다. 작품 Ⅲ은 정숙하고 단아하고 고결한 아름다움이 있는 신부의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이화의 가지모양의 양상과 당의의 곡선을 살린 투피스 식의 아우어글라스 실루엣(hourglass silhoutte)의 웨딩드레스이다. 장식기법은 칼라와 소매부리와 허리부분에 누빔기법을 사용하였고, 이화문 코사지를 이화문의 짧은 가지 자수위에 여러 개씩 달아 스커트에 장식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목적 및 의의 = 1 B. 연구방법 및 내용 = 3 II. 서구 웨딩드레스의 역사 = 5 A. 19세기 이전의 웨딩드레스 = 6 B. 20세기 이후의 웨딩드레스 = 15 III. 한국여성의 전통혼례복 = 35 A. 조선시대 전통혼례복[당의(唐衣) · 원삼(圓衫) · 활옷(華衣)] = 35 B. 개화기 이후 우리나라 웨딩드레스 도입과 변천 = 51 IV. 한국의 이화(梨花)와 이화문(梨花紋) = 70 A. 한국의 이화(梨花) = 70 B. 한국의 이화문(梨花紋) = 82 V. 한국적 이미지의 웨딩드레스 디자인 연구 = 88 A. 이화(梨花)와 당의(唐衣) 이미지의 웨딩드레스 Ⅰ = 89 B. 이화(梨花)와 당의(唐衣) 이미지의 웨딩드레스 Ⅱ = 96 C. 이화(梨花)와 당의(唐衣) 이미지의 웨딩드레스 Ⅲ = 102 VI. 결론 및 제언 = 109 참고문헌 = 112 Abstract = 11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68818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적 이미지의 웨딩드레스 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이화문(梨花紋 )과 당의(唐衣) 이미지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Wedding Dress Design of Korean Images : Focused on Pear Blossom Patterns(梨花紋) and Dangui(唐衣) Images-
dc.creator.othernameLee, Min Jung-
dc.format.pagex, 12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