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윤성-
dc.creator김윤성-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27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27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37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7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37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도시한옥에 대하여 현대화 과정을 극복하는 도시 주거라고 인식하고, 그것이 현대주거로서 향후에도 지속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북촌지역의 도시한옥을 대상으로 원형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분석틀을 설정하여 리모델링 계획을 제안하였다.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1930년대를 전후해서 도시한옥이 집단적으로 조성된 시기의 주거지 구조, 생산 및 공급방식, 재료의 변화에 따른 특성을 살펴봄으로서, 도시한옥의 구축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생성 이후 변화한 양상을 제도 및 정책의 변화에 따라 시기별로 구분을 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최근 들어, 주거문화에서도 전통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도시한옥에 대해 전통성을 이어온 주거 형태의 하나로서 인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도시한옥의 지속되는 멸실을 방지하고, 북촌지역을 서울의 600년 역사를 보여주는 기념비적인 장소로 만들겠다는 취지에 따라 시당국에서는 북촌가꾸기 사업을 시행하였다. 이러한 정책의 일환으로 한옥 수선에 대한 보조금 지원이 있었는데, 북촌지역 전체 한옥의 25%가 이와 같은 지원을 받아 수선이 이루어졌다. 그 사례를 살펴보면 설비방식, 공간계획, 수납공간이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었고, 주차장 및 보안계획과 같은 기존에 고려되지 않은 새로운 요소에 대해서는 공동체 차원에서 혹은 개별적으로 대안적 해결을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도시한옥이 향 후 지속적으로 유지되려면, 정부의 정책 및 지원금에 의지한 한옥의 수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원형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하여 전통적인 특성을 유지하면서 현대적 요구를 수용하는 지속적인 리모델링 계획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도시한옥의 리모델링 계획을 위하여 우선, 구조체의 기능을 하는 기본 단위를 설정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채’의 개념을 원형적 질서를 유지하는 구축단위로 정의하였다. 이는 채를 도시한옥주거지가 조성되었던 당시의 구축단위로 보는 관점으로, 주거단위의 형태적 질서보다는 구조적 질서를 우선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채의 개념에 근거하여 그것의 결합방식에 따라 유형을 나누면 다음과 같이 일자형, 꺽임형, 결합형의 세 가지로 구분되어진다. - 일자형 : 채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서 일자형의 구조방식에 주목하였다. 3량식 일자형과 5량식 일자형이 대표적이며, 단독세대의 안채로 나타나기 보다는 주로 문간채나 부속채로 나타난다. - 꺽임형 : 채가 각각의 모서리에서 결합하는 방식에 주목하여, 일자형 채가 수직으로 꺽이는 형태를 하고 있다. 1번 꺽임형과 2번 꺽임형이 대표적이지며, 3번 꺽임형이나 안마당 반대 방향으로의 꺽임형도 가능하다. 대다수의 도시한옥의 평면유형이 이에 해당한다. - 결합형 : 일자형이나 꺽임형 채가 결합할 때, 하나의 채는 모서리에서 다른 하나의 채는 모서리가 아닌 중간영역에서 서로 결합하여 일체화된 채를 구성하는 방식으로서, 결합부위에서 한점에서 꺽이는 꺽임형과 구분된다. 대표적인 일자형-일자형의 결합형과 일자형-꺽임형의 결합형을 기본단위로 하여 다양한 변이가 가능하다. 2번 꺽임형-일자형의 결합형 등과 같이 하나의 채가 2세대 이상의 주거단위로 구성되어지기도 한다. 채의 구축단위와는 별도의 공정으로 맞배지붕, 우진각지붕, 팔작지붕, 사모지붕과 같은 지붕가구가 결정되어지며, 채와 지붕이 일체화되어 주거지 구조에 대응하는 배치가 이루어진다. 이는 기능성이 약화되면서 의장요소로서 변형된 소로와 함께 도시한옥의 정체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특성이다. 이와 같은 전통적인 요소와 새로운 요소 중에서 대표적인 고정요소와 가변요소를 추출하여 분석틀을 설정하고 적용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그림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이러한 분석의 틀에 따라 고정요소/제한적 고정요소/제한적 가변요소/가변요소를 설정하고, 그것을 통제할 수 있는 주체자는 현대 도시한옥, 주거문화, 사용자의 위계에서 개성을 표현할 수 있도록 리모델링의 방향을 설정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대목수의 기술과 거주자의 요구를 조정하는 설계자의 역할이 중요하며, 도시한옥의 구축과정과 시공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건물 전체 구조와 틀을 파악하는 현대건축가의 참여가 계획단계에서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도시한옥에 대해 지속가능한 장수명 주택으로 거듭날 수 있는 기반이 된다.;This study regards the character of Urban Traditional Housing as not only the Transitional Housing for Conservation Historicity, but also the Urban Housing to be overcame in the modernization process. It focused on Bukchon where is the representative area of Urban Traditional Housing. This study researched how Bukchon housings have been influenced by the change of legal policy and social system in the aspects of elevation, space, technique and etc. Continuously, it might be possible to apply the remodeling method considering building management, variation of space, increased convenience, and improved sigh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ossibility as one of the modern housing of Urban Traditional Hous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장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2.1 도시한옥의 정의 = 3 2.2 도시한옥의 특성 = 4 2.2.1 주거지 구조에 따른 특성 = 4 2.2.2 생산 및 공급방식에 따른 특성 = 5 2.2.3 재료에 따른 특성 = 6 2.3 북촌지역 도시한옥의 시기별 특성 = 7 2.3.1 시기구분 = 7 2.3.2 1930년대 이후-1980년: 보급 및 자생적 증개축 = 8 2.3.3 1980년대 이후-2000년: 노후화 및 철거 = 10 2.3.4 2001년 이후: 리모델링의 활성화 = 11 3장 도시한옥 수선의 특성에 관한 분석 = 12 3.1 북촌지역 도시한옥의 수선 현황 = 12 3.1.1 북촌지역 한옥의 현황 = 12 3.1.2 한옥 수선의 외관 기준 및 내부에 대한 권장사항 = 14 3.2 설비방식의 변화 = 17 3.3 공간계획의 변화 = 19 3.4 수납공간의 변화 = 26 3.5 주차장 및 보안 계획 = 27 3.6 소결 = 28 4장 도시한옥의 원형에 대한 분석 = 29 4.1 구축단위로서 채의 개념 = 29 4.2 채의 결합방식에 따른 유형 분류 = 32 4.2.1 일자형 = 32 4.2.2 꺽임형 = 36 4.2.3 결합형 = 41 4.2.4 적용 = 45 4.3 배치 = 48 4.4 전통성을 표현하는 의장요소 = 52 4.5 소결 = 56 5장 도시한옥의 리모델링 방안 = 59 5.1 현대적 요구의 수용 = 59 5.2 이론적 고찰 = 61 5.2.1 문화의 전통적 요소와 새로운 요소 = 61 5.2.2 리모델링(Remodeling) = 62 5.2.3 하브라켄의 이론 = 64 5.3 리모델링 계획을 위한 분석틀 = 66 5.3.1 고정요소의 추출 = 66 5.3.2 가변요소의 추출 = 68 5.3.3 분석 = 69 5.4 앞으로의 방향 = 74 5.4.1 인식의 변화 = 74 5.4.2 현대 건축가의 참여 = 76 5.4.3 현대 도시주택으로서의 가능성 = 77 6장 결론 = 79 참고문헌 = 82 ABSTRACT =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18479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도시한옥의 리모델링 방안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북촌 도시한옥의 원형 분석을 통하여-
dc.title.translatedA study on Remodeling Method of Urban Traditional Housing : Through Prototype analysis of Bukchon Urban Traditional Housing-
dc.creator.othernameKim, Yoon Sung-
dc.format.pageix, 8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건축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