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애경-
dc.creator이애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25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25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7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78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754-
dc.description.abstractFormative art activity can be defined as an act of "formation" in which a man, the subject of formative art activity, gives Gestalt to his will of artistic ex-pression through visual-shaping process by using various expressive techniques and raw materials. A formative expression appeals to the man's aesthetic sensibility by inciting the vibration of senses, which is caused by vivid force of the line composing the perceptive Gestalt. In formative arts, an artist does not describe his emotion but express it, so that it should be represented as "lebende Gestalt". In this sense are can be said as "significant form", and it should be combined with proper fo-rmative principles of art, and be formed to appeal to the emotional and intellec-tual attentions of human being, no matter how creative an artist may be. And it also have to take normal and universal elements, and furthermore to perform utilitarian functions. Perceptive interpretations on one Gestalt differ from the perception of one to another and culture. In consequence, to study the expression of illustration of Korean Gestalt, which is the aim of this thesi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piritual basis and Gestalt of Korea, where they come from, and how they are formed. At first analzing climatic elements which I think have the most con-siderable influences among the perceptive environments, I intend to figure out the relation between the nature of Gestalt created by Koreans and perceptive concepts of the climatic and topographical forms of Korea. I also aim to define the substantial concept of Gestalt which is distingusihed form so-called shape or form, and to understand the substance found out in the Korean thoughts and what form is accustomed to and is favored by Koreans. The results of that study are as follows. Korean have had a lower tempera-ture in winter as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located in the same latitude as Korea, so that we have formed "the sense of thickness which provides us with thick and affluent surplus in addition to bedclothes and costumes made of wad-ded cotton. The sense of thickness accords with the perceptive concept imposed by the topographical form, and serves to make us farmiliar with and to highten our preference to "a round curve" and "a unpointed soft form". As Sukdo said in his Sukdo Painting Theory that "painting plays the emo-tion of mind which is caused by one's self with brush," we have been free from colors of nature and Gestalt of its substance, and therefore not fixed to the object which seems to be reflected in the mirror. We love nature and consi-der it ideal to be united with nature, and such national feature, as a basis of our emotion, make Gestalt follow the naturalness that "is forming itself" through the intrinsic functions without coloring any artificial techniques of the other. Deformation which is a metaphorical expression used to form new Korean Gestalt is an important formative method to symbolize the state of representa-tive life. It have two great significances, that is the visual creativity recognizing the object and the formal peculiarity of the deformed object. Next, I intend to survey the matter of Korean perspective to extent the un-derstanding of original and profound illustrations of Korean Gestalt. In the ma-king of Korean illustration, which is the aim of my work, Kyumjae Jung Sun se-rves as the spiritual support who had willingly used a bird's eye method based on the oriental three-distance theory, and had acheived the universality of "Ko-rean natural beauty" through a good command of unique Korean painting techi-que. I also expressed the illusion effect of supernatural perceptive space such as An Kyun's Mongyoudowondo(The Picture of Paradise in Dream) through depa-ysement technique of today. Such command of free figure provides us with the exprience of ample imagination and illusion on supersubstance and fantasy, and the supernatural and superreality. Color consciousness of Korean is very bold and daring in the sense the on the basis of Yum-Yang-five-element theory, the consciousness that no color is central, the idea that forbids coloring, and five primary colors are combined ori-ginally and suggestively into uniqueness. In our time the expressive mode of illustration reflecting Ultra Graphism is marked by more indivisual and strong images. Not to lose his peculiar persona-lity, it is essential for an artist to recognize the field of perception as an cultu-ral environment to which he belong, and especially to widen the understanding on the cultural tradition of his country, Having such understanding is necessary because it means to preserve our identity as Korean, and the subject of forma-tive arts gives impressions on our heart and invokes emotions of our mind in the living culture. And because it could lead the visual tradition of new culture to maturity by amplifying the sensoriness immanent in culture itself.;조형예술 활동이란 조형제작 활동의 주체가 되는 인간이 예술표현 의지를 가지고 그 의지를 형태(Gestalt)로써 객관화하는 시각형태화 과정을 통하여 여러가지 재료로서 작품제자에 걸친 다양한 표현기법에 의하여 Formation하려는 활동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조형적 표현이란 지각형태를 만들고 있는 그 자체의 선에 의한 생생한 힘이 감각의 진동을 불러 일으켜 인간의 미적 감수성(Aesthetic sensibility)에 호소하는 것이며, 조형예숙에서는 작가가 자기의 감정을 서술하는 것이 아니고 표현하기 때문에 그것은 반드시"생명있는 형태(lebende Gestalt)"로 나타내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예술은 "의미 부여의 형식(Significant form)" 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아무리 독창적인 예술가라 하여도 창작에 있어서는 일정한 예술의 형성원리와 결합하여야 하며, 매체를 통한 인간의 감정적·지성적 관심에 호소되도록 형성하여야 한다. 그리고 그것은 정상적이며 보편적인 요소를 띄고 있어야 하며 나아가 공리적인 기능(Utilitarian function)을 완수하여야 한다. 한 형태에 대한 지각적 해석은 지각장에 따라 다르고 같은 형태에 대하여 부여된 의미가 문화의 장(場)에 따라 다르므로 본인이 연구하고자 하는 한국적인 형태(Gestalt)에 의한 Illustration표현을 위해서는 오랜 인류학적 과정을 거쳐오면서 형성된 한국인의 정신적 구조와 이 정신적 구조의 기반과 형태가 어디로부터 왔으며 어떻게 형성되어 왔는가를 먼저 이해해야 하리라고 보아 지각환경으로서 가장환경으로서 가장 비중있게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는 풍토적 요인을 분석해 봄으로써 한국인들이 창조해 온 형태의 성격과 기후나 지형의 형태가 지니는 조형의 지각적 개념과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음을 도출해 내고자 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형태(Form)의 개념과는 다른 구조적 성질을 갖는 형태(Gestalt)에 대한 본질적 개념을 정의내려보고 한국인의 사상안에서 인식되는 실체와 한국인들에게 친숙해 있고 좋아하는 형태는 어떠한 형태인지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같은 위도상의 다른 나라보다도 낮은 기온을 나타내 몹시 추운 겨울을 지내야 했던 우리는 "솜"으로 만든 침구와 의상과 함께 '두툼하고 풍성한 여유감을 주는 두께감각'을 형성하게 되었으며, 이 두께감각은 지형의 형태가 주는 지각적 개념과 일치하여 '둥그스름한 곡선'과 '모나지 않은 부드러운 형태'에 대해 친근감을 느끼고 선호도를 높이는데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석도화론(石濤畵論)」에서 "회화란 자아에서 형성되는 마음(心의 감정을 붓으로 연주하는 것"이라고 석도가 말한바와 같이, 자연의 색과 그 실체의 형태에 얽매이지 않고 표현하는 동양의 회화에 익숙한 우리들은 이미 거울에 비친 듯한 사물에 얽매어 있지 않았으며, 자연을 사랑하고 자연과의 합일(合一)을 이상으로 하는 민족적 특성이 정서의 바탕이 되어 형태에 있어서도 타자(他者)의 작용에 의한 인위적 기교를 가하지 아니하고 자체에 내재한 기능에 의하여 '스스로 그러한 형태'를 만드는 자연성을 따르고자 하였다. 한국적인 새로운 형태를 Formation하기위해 사용한 은유적 표현의 조형수단인 Deformation은 구상적인 생명의 상태를 표상하는 중요한 발상법이며, 이는 대상을 파악하는 시각의 창의성과 변형된 대상이 갖는 형태적 특수성이라는 두가지의 커다란 의미를 갖는다. 보다 독창적이고 깊이있는 한국적인 형태의 Illustration을 위해서 한국적인 Perspective의 문제 또한 다루어 봄으로써 그 이해의 폭을 넓혀 보고자 하였다. 동양의 삼원법(三遠法)에 기초하여 부감법(附瞰法)을 즐겨 사용하면서 진경 사생에 임한 겸재 정선은 독자적이며 한국적인 화풍으로 '한국적 자연미'의 보편성을 획득한 선구자로서 본 연구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한국적인 Illustration제작에 있어 정신적인 지주가 되었고, 안견의 「몽유도원도」와 같은 초현실적 지각 공간의 Illusion효과는 오늘날의 Depaysement 기법을 통해 표현 가능하였으며, 이러한 자유로운 형상의 구사는 초실재와 환상·초자연과 초현실의 풍부한 상상력과 illusion 을 경험하게 하였다. 한국인의 색채의식에 있어서는 음양오행적우주관(陰陽五行的宇宙觀)의 사상체계에 바탕을 두고 '무색중화의식(無色中和意識)'과 '금채색사상(禁彩色思想)'과 함께 오채색(五彩色)의 원색도 독창성있고 함축성있게 잘 조화시켜 특이한 분위기로 조성함으로써 색채에 있어서도 대범성과 대담성을 보여주고 있다. Ultra Graphism을 반영하는 오늘날의 Illustration의 표현양식은 보다 개성적이고 강한 이미지의 표출을 그 특징으로 하는데, 작가가 이러한 개성이라는 고유한 Personality의 생명을 잃지 않기 위해서는 그 속해 있는 문화환경으로서의 지각의 창( )에 대한 개념을 이해해야 할 것이며, 특히 전통사회로부터 끊임없이 이어져 오는 정신적 전통으로서의 문화(Cultural tradition)에 대한 이해의 확충이 절실하다고 본다. 이는 우리 자신을 지키는 것인 동시에, 조형예술의 주제나 소재는 생활문화속에서 우리의 마음에 감동을 주는 것이기도 하고 또 마음의 감정을 일으키게 하는 것이기도 하며 그 효과는 문화속에 있는 감각성을 확대시킴으로써 새로운 문화의 시각적 전통을 성숙시켜 나가게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1 Ⅱ. 한국적인 Illustration표현을 위한 이론적 근거 = 3 A. 한국의 풍토적 배경과 형태(Gestalt) = 3 1. 한국의 풍토 = 3 2. 형태(Gestalt) = 7 B. 형태의 Deformation = 13 1. Deformation의 개념 = 13 2. 은유적 표현 = 16 C. 한국적인 Perspective = 18 1. 동양화에 나타난 Perspective = 18 2. 초현실적인 지각공간의 Illusion = 20 D. 한국인의 색채사상 = 23 Ⅲ. 작품전개및 표현 = 28 A. 작품전개 = 28 1. Art Poster를 위한 Illustration = 28 2. 한국적인 형태의 Formation = 29 B. 작품표현 = 30 Ⅳ. 결론 = 50 참고문헌 = 52 ABSTRACT = 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454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Formation-
dc.subjectGestalt-
dc.subjectArt poster-
dc.subject일러스트레이션-
dc.title한국적인 형태(Gestalt)의 Formation을 위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Art Poster를 위한 Illustration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for the Formation of Korean Gestalt Centering on the Illustration of Art Poster-
dc.format.page5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생활미술학과-
dc.date.awarded1989.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