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0 Download: 0

유치원과 국민학교 저학년 어린이의 일상적 스트레스

Title
유치원과 국민학교 저학년 어린이의 일상적 스트레스
Authors
이정은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어린이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 of the daily hassles and the intensity that kindergarten children and 2nd grade children experience in their everday life. Concretely, this study was designed to : (1) examine the frequency and the intensity of the daily hassles that children experience in their family, among peers, at kindergarten or school; (2)explore the effect of age, sex, sibling order, maternal absence on intensity; (3)determine if the frequency and the intensity of the daily hassles correlate to the frequency of the life event. To this end, six questions of study have been set up in this study. 1. What are types of daily hassles that kindergarten children and 2nd grade children experience in their everyday life? 2. Are there any main effect of the age on intensity? 3. Are there any main effect of the sex on intensity? 4. Are there any interactional effect of the age and sex on intensity? 5.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tensity according to the sibling order and maternal absence? 6. Do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the daily hassles correlate to the frequency of the life ev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5 kindergarten children(35 boys and 30 girls) of 6 years old at Y kindergarten in Seoul and 68 2nd grade children(34 boys and 34 girls) of 7 years old and Y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social staus of subjects has middle class. The tool of this study is questionare that Parfenoff and his collegues used in their study of the daily hassles that children experience in their everday life.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daily hassles are computed. The main effect of the age and the sex on intensity and the interactional effect of the age×sex on the intensity are analyzed by two way ANOVA. The main effect of the sibling order and maternal absence are analyzed by one way ANOVA. The Pearson's r coefficients are estimated to determine if the frequency and the intensity of the daily hassles correlate to the frequency of the life ev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frequency of the type of the daily hassles that kindergarten experience in the family was higher than that of the daily hassles. The fequency of the type of the daily hassles that 2nd grade children experience among peer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daily hassles. 2. There are main effect of the age on total score of intensity specifically, in the types of the self-esteem, the peer relations, kindergarten(school), and self control. 3. There are main effect of of the sex on intensity in the types of kindergarten(school) and the self-control. 4. Only in the type of expectation level, there are interactional effect of the age×sex on intensity. 5. In the types of psychological well-being, physical health, self-control and family relation,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ibling order. In the types of peer-relations and the school,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marternal absence. 6. The frequency and the intensity of the daily hassles do not correlate to the frequency of the life event.;본 연구에서는 유치원과 국민학교 어린이들이 일상 생활에서 경험하고 있는 스트레스 유형과 스트레스정도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과 국민학교 어린이의 일상적 스트레스 유형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2. 어린이의 스트레스 정도는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어린이의 스트레스 정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4. 어린이의 스트레스 정도는 연령·성별의 상호작용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5. 어린이의 스트레스 정도는 가족 관련 변인(형제 순위, 모친의 직업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6. 어린이의 일상적 스트레스 유형의 빈도 및 스트레스 정도는 생애사건의 빈도와 상관이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시내에 위치한 Y 유치원 만 6세 유아 65명(남아35명, 여아 30명)과 Y 국민학교 2학년 68명(남아 34명, 여아 34명)으로 전체 133명이었다. 검사도구로는 Parfenoff와 그의 동료들이 어린이의 일상적 스트레스를 연구하는데 사용한 질문지(The Hassles Scale for Children)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어린이들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할수 있는 스트레스, 유형들, 즉 자아감, 안정감, 또래관계, 가족관계, 높은 기대수준, 유치원(학교), 책임감, 자아통제, 건강 등의 9가지 유형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어린이들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하고 있는 스트레스 유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질문 문항에 대해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응답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스트레스 정도는 3점 평점척도에 표시된 숫자를 점수화 하여 평균 점수들이 연령, 성별, 연령·성별의 상호작용, 가족 관련 변인에 따라차이가 있는지를 변량 분석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스트레스의 정도가 심한 것으로 간주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어린이는 가족관계 유형에서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응답한 빈도가 높았고, 가족관계중에서도 부모가 싸우는 일을 스트레스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았다. 국민학교 어린이는 또래관계 유형에서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응답한 빈도가 높았고, 특히 괴롭히는 친구가 있는 것을 스트레스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았다. 유치원 어린이는 안정감과 가족관계의 유형에서만 국민학교 어린이에 비해서 스트레스를 받는 비율이 높았다. 유치원 어린이는 어머니가 집에 없어서 잘 돌보아 주지못하는 것, 부모가 싸우는 것, 부모의 기대에 못 미칠 때 꾸중 듣는 것 등 부모와 관련된 일에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가 많았고, 국민학교 어린이는 또래나 학교 장면에서 느끼는 스트레스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령이 증가하면서 부모와 분리되고 사회적 관계가 확대되면서 생기는 차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유치원 어린이의 경우, 책임감의 유형에서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응답한 빈도가 가장 낮았는데 어린이는 부모를 돕는 일을 재미있어하고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치과나 의사에게 가는 것도 유치원 어린이보다 국민학교 어린이가 스트레스를 받는 비율이 높았다. 학원에 가야하고 가정에서 학습지를 하는 어린이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스트레스로 반응한 빈도는 낮은 편이었다. 똑똑해지고 공부를 잘 할 수 있기 때문에 힘들어도 참는다고 반응한 어린이들이 많았는데 이것은 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는 자원의 여부에 따라서도 스트레스 지각 여부가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유치원과 국민학교 어린이 모두 무엇이든지 잘하고 우수한 아이가 되고 싶은데 뜻대로 되지 않을 경우,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학교 어린이는 새 단원의 시작을 스트레스로 지각하는 경우가 많은 반면, 유치원 어린이는 새로운 활동의 시작을 좋아하고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2. 어린이의 스트레스 정도는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아감, 또래관계, 유치원(학교) 등의 유형에서 국민학교 어린이의 평균점수가 유치원 어린이에 비해서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3. 어린이의 스트레스 정도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유치원(학교), 자아통제의 유형에서 남아의 평균점수가 여아에 비해서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다(P<.05). 4. 어린이의 스트레스 정도는 연령·성별의 상호작용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높은 기대수준의 유형에서만 연령·성별의 상호작용에 따른 스트레스정도에 차이가 있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했다(P<.05). 5. 어린이의 스트레스 정도는 가족 관련 변인(형제 순위, 모친의 직업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안정감, 가족관계, 자아통제, 건강의 유형에서 중간에 위치한 어린이의 스트레스 평균점수가 높았고, 또래관계, 유치원(학교)유형에서 어머니가 직업을 가진 경우의 스트레스 평균점수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했다(P<.05). 6. 어린이의 일상적 스트레스유형의 빈도 및 스트레스 정도는 생애사건의 빈도와 상관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내린 결론은 일상생활에서 부딪히는 많은 문제들이 반드시 스트레스 반응을 가져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차례지키기와 같은 일은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것으로 인식하기 보다는 지나치기 쉬운 일인데 어린이는 스트레스로 지각하고 있었다. 즉 일상적 자극의 스트레스성 여부는 그 자극에 달린 것이 아니라 어린이의 주관적인 인지적 판단에 달려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대처할 수 있는 자원과 적응 기술이 있는지의 여부도 자극을 스트레스로 지각하는데 밀접하게 관련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어린이의 스트레스를 연구하고자 할때는 어린이 생활의 스트레스 유형이 무엇인지 어린이는 스트레스를 어떻게 지각하고 있으며, 어떻게 스트레스 유형에 적응하는지 고려해야 할 뿐 아니라 스트레스 유형이 어린이의 건강, 유치원(학교)생활, 사회적 기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평가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