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혜윤-
dc.creator조혜윤-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24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24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0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7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02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religious coping and optimism between religiosity and state-trait anxiety. Also, This study make clear the difference between caregivers of handicapped person and non-caregivers of handicapped person. Participants were 147 Christian caregivers of handicapped person and 147 Christians from Seoul and kyung-gi the questionnaire to investigate the extent of extrinsic religiosity and intrinsic religiosity, the extent of positive religious coping and negative religious coping, the extent of optimism and state-trait anxiety. T- test was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caregivers of handicapped person and non-caregivers of handicapped person in the extent of extrinsic religiosity and intrinsic religiosity, the extent of positive religious coping and negative religious coping, the extent of optimism and state-trait anxiety. The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religious coping and optimism between religiosity and state-trait anxiety in both of caregivers of handicapped person and non-caregivers of handicapped pers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test are that caregivers of handicapped person have more extrinsic religiosity, negative religious coping, state- trait anxiety, but less optimism than non-caregivers of handicapped person. Second, The results of correlation are that more intrinsic religiosity, positive religious coping and optimism reported less anxiety, but extrinsic religiosity had not significantly higher anxiety in the group of caregivers of handicapped person. Thir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mediating effect of religious coping between religiosity and anxiety. In the group of caregivers of handicapped person, Both positive religious coping and negative religious coping mediate between intrinsic religiosity and state anxiety. Also, In the group of non-caregivers of handicapped person, negative religious coping mediate between intrinsic religiosity and state-trait anxiety.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mediating effect of optimism between religious coping and anxiety. In the group of caregivers of handicapped person, optimism mediates between religious coping and state-trait anxiety. Also, In the group of non-caregivers of handicapped person, optimism mediates between negative religious coping and state-trait anxi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at caregivers of handicapped person are more extrinsic religiosity, negative religious coping, state- trait anxiety, but extrinsic religiosity had not significantly higher anxiety. So, higher extrinsic religiosity has not an effect on psychological adaptation. Also, In the group of caregivers of handicapped person the mediating effect of religious coping and optimism is lager than that in the group of non-caregivers of handicapped person. A distinction between in the group of caregivers of handicapped person and in the group of non-caregivers of handicapped person is that positive religious coping is a significant mediator in the group of caregivers of handicapped person. Accordingly, it's very important that using positive religious coping with serious stress for caregivers of handicapped person.;본 연구는 극심한 스트레스 상황을 겪고 있는 집단에서 종교 성향, 종교적 대처, 낙관성, 심리적 불안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극심한 스트레스 상황을 겪고 있는 대표 집단으로 장애인 부양자 집단을 선정하여, 장애인 부양자 집단과 비장애인 부양자 집단 간에 종교 성향의 하위 요인인 외재적 성향 및 내재적 성향과 종교적 대처의 하위 요인인 긍정적 대처 및 부정적 대처와 낙관성, 상태 불안 및 특성 불안의 수준을 비교해 보았다. 또한 두 집단의 종교 성향이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종교적 대처와 낙관성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 경기도에 위치한 교회 및 종교 단체, 장애인 복지관, 장애인 학교 등에 참석하고 있는 장애인들의 부양자 중 기독교 및 천주교인 147명과 장애인을 부양하지 않는 기독교 및 천주교인 147명, 총 29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장애인 부양자 집단은 17세부터 71세 사이였고, 남자가 20명, 여자가 127명이었다. 비장애인 부양자 집단은 19세부터 75세까지 분포되었고, 남자가 29명, 여자가 118명이었다. 두 집단 모두 천주교인보다는 기독교인의 비율이 더 높았다. 장애인 부양자 집단은 장애인을 부양한 기간이 1년-40년 사이였고, 부양하고 있는 장애인의 등급은 1급-4급까지 분포했으며, 1급과 2급을 합친 비율이 77.5%로 비교적 심각한 장애를 가진 사람을 부양하는 경우가 많았다. 연구도구는 Allport와 Ross(1967)가 개발한 내재적-외재적 종교성향 척도를 양정아(1994), 이혜령(2003), 김은정(2006) 등의 국내 연구와 같이 외재적 성향과 내재적 성향으로 나누어 각기 계산하였다. 또한 Pargament(1998)가 개발한 종교적 대처 척도(Religious coping The Brief RCOPE)를 번안하여 사용하였고, Scheier, Carver, & Bridges가 1994년 개정한 것을 권혜경(2004)이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구했던 낙관성(A Reevaluation of Life Orientation Test; LOT-R)척도와 Spielberger, Gorsuch, Lushene(1970)가 정상어른의 불안 현상을 조사하기 위해 개발한 상태-특성 불안 척도(State-Trait Anxiety Inventory : STAI)를 사용하였다. 먼저 장애인 부양 집단과 비장애인 부양 집단 간에 변인들의 차이가 있는 지 알아보기 위해 t 검증을 하였고, 또한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Pearson 상관분석을 하였고, 두 집단의 종교 성향과 불안 간의 관계에서 종교적 대처와 낙관성에 의해 매개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 간의 평균치를 비교했을 때 종교 성향 중 외재적 성향과 종교적 대처방식 중 부정적 종교적 대처방식, 그리고 상태 불안이 장애인 부양 집단에서 비장애인 부양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고, 낙관성은 장애인 부양 집단에서 비장애인 부양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둘째, 장애인 부양자 집단의 경우 종교 성향의 두 하위 요인인 외재적 성향과 내재적 성향이 상태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종교적 대처의 두 요인인 긍정적 대처 및 부정적 대처가 매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나타났다. 반면, 비장애인 부양자 집단에서는 종교적 대처 중 부정적 대처만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장애인 부양자 집단과 비장애인 부양자 집단 모두 종교적 대처의 두 요인인 긍정적 대처와 부정적 대처가 상태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낙관성이 매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극심한 스트레스 상황에 처한 장애인 부양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을 비교함으로써 종교 성향, 종교적 대처, 낙관성, 불안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고, 장애인 부양 집단이 비장애인 부양 집단보다 외재적 종교 성향을 많이 가지고 있으며, 부정적 종교적 대처를 더 많이 사용하며 불안이 높다는 것과 낙관성은 장애인 부양 집단이 비장애인 부양 집단보다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종교 성향이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종교적 대처와 낙관성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미루어봤을 때, 장애인을 부양하는 집단의 경우 긍정적 대처를 사용하는 것이 낙관성을 높여주고, 상태 불안을 낮추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담에서 장애를 부양하거나 이와 유사한 스트레스 상황에 처한 기독교인 또는 천주교인의 경우 종교적 대처에 따른 심리적 적응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하고 부정적 대처보다는 긍정적 대처 전략을 사용하도록 도울 수 있다는 상담적 함의를 가진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문제 제기 = 1 B. 연구 문제 = 4 II.이론적 배경 = 6 A. 종교 성향 = 6 B. 종교적 대처 = 10 C. 낙관성 = 14 D. 불안 = 16 E.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종교와 심리적 적응 = 19 III. 연구 방법 = 23 A. 연구 대상 = 23 B. 측정 도구 = 23 C. 연구 절차 = 27 D. 분석 방법 = 27 IV.연구 결과 = 28 A. 조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 28 B.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 33 C.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종교적 대처 및 낙관성의 매개효과 = 35 V. 논의 및 제언 = 40 A. 요약 및 결론 = 40 B.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 46 참고문헌 = 49 부록 = 61 Abstract =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6381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종교성향과 심리적 불안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종교적 대처와 낙관성의 매개효과-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sity and State-Trait Anxiety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Religious Coping and Optimism-
dc.creator.othernameJo, Hye-youn-
dc.format.pagevi, 6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