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예리-
dc.creator송예리-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21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21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15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7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156-
dc.description.abstractReading is a dynamic and complicated task. Visual analysis has important informations to early processing of reading.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debate how limitations of visual factor, low-level processing affect sentence contexts, high-level processing of reading. This paper examined visual factors and context effects of people with low vision and with normal vision in Hangul reading process. Two Experiments investi ated two visual group differences in sentence context facilitation. Context effects mean the ratio of reading rates(wpm= words per minute) for sentence-ordered to sentence-random ordered. This study was applied different e ectronic display formats. Experiment 1 was conducted with Self-paced reading(SPR) method. EPR method is subjects read aloud each Eojouls and press a spacebar. Experiment 2 was conducted with 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RSVP) that presents Eojols sequentially, one at a time at a fixed rate. SPR and RSVP are Stimulus is presented one at a time on center of a monitor. However SPR depends on subjects' pace but RSVP increases or decreases Eojol's durations by subjects' error rate. People with normal vision are read faster 2.3 times(Experiment 1), 2.4 times(Experiment 2) than People with low vision. People with low vision had larger context effects than People with normal vision at Experiment 1 ; SPR (Context effect : low vision 1.20 vs normal vision 1.07). People with normal   vision had larger context effects than People with low vision at Experiment 2; RSVP (Context effect : low vision 1.43 vs normal vision 1.61).  ;저시력은 교정 최대 시력이 0.3 이하인 경우와 시야가 20도 이내인 경우로 정의한다. 우리나라에서 저시력인은 최소 약 40만 명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심리학적 측면에서 그들의 언어 처리 특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저시력 고등학생과 정상시력 고등학생을 참가자로 하여 한글 언어 정보 처리에서 읽기 속도와 문장 맥락 효과를 비교하였다. 실험 1과 실험 2에 걸쳐 두 가지 읽기 기법을 적용하였다. 실험 1에서는 참가자가 제시되는 각 어절을 소리 내어 읽고 스페이스바를 눌러 다음 어절을 유도하게 하는 자기 조절 읽기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실험 2에서는 일정한 제시 시간 동안 한 어절이 제시된 이후 같은 자리에 다음 어절이 대체되면서 순차적으로 나타나는 신속 순차 시각 제시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맥락 효과는 문장의 어절이 정상적인 순서로 제시되는 문장 조건에서의 읽기 속도와 문장의 어절이 무선적인 순서로 제시되는 무선 단어열 조건에서의 읽기 속도의 비로 나타낸다. 즉, 문장 조건의 읽기 속도가 무선 단어열 조건의 읽기 속도에 비해 얻는 이득의 정도이다. 실험 1과 실험 2에 걸쳐 정상시력인의 읽기 속도는 저시력인의 읽기 속도의 2.30배, 2.44배이다. 맥락 효과는 읽기 기법별로 시력 집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실험 1의 자기 조절 읽기의 결과 저시력인이 정상시력인보다 맥락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맥락효과: 저시력인 1.20과 정상시력인 1.07). 실험 2의 신속 순차 시각 제시의 결과 정상시력인이 저시력인보다 맥락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맥락효과: 저시력인 1.43과 정상시력인 1.61). 자신의 읽기 속도를 스스로 통제하면서 읽을 수 있는 상황에서는 저시력인이, 시각적인 효율성을 바탕으로 빠른 읽기를 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정상시력인이 맥락 효과를 크게 나타내었다. 저시력인과 정상시력인의 맥락 효과를 비교한 연구들에서 일치되지 않는 결과는 읽기 기법의 차이점이 반영되고 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한글 읽기에서 읽기 기법이 요구하는 정보 처리의 특성에 따라 저시력인과 정상시력인의 맥락 효과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요약 ⅵ I. 도입 1 A. 연구 목적 1 B. 저시력 2 C. 읽기 속도 4 D. 맥락 효과와 읽기 속도 7 E. 연구 문제 10 II. 실험 1 12 A. 방법 12 1. 참가자 12 2. 기구 14 3. 재료 및 설계 14 4. 절차 16 B. 결과 18 C. 논의 21 III. 실험 2 22 A. 방법 22 1. 참가자 22 2. 기구 22 3. 재료 및 설계 22 4. 절차 23 B. 결과 25 C. 논의 28 IV. 종합논의 29 참고문헌 35 부록 41 ABSTRACT 4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239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글 문장 읽기에서 저시력 고등학생과 정상시력 고등학생의 읽기 속도와 맥락 효과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ole of Sentence Context in Low Vision Hangul Reading-
dc.creator.othernameSong, Yerry-
dc.format.pagevi, 4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