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4 Download: 0

지각된 진로장벽과 진로포부에 대한 종단연구

Title
지각된 진로장벽과 진로포부에 대한 종단연구
Other Titles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Reciprocal Effects of the Perceived Career Barrier and the Career Aspiration of Academically Excellent Female Adolescents
Authors
김양희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resent longitudinal study was a basic study to develop the career counseling program for academically excellent female adolescents. Based on the career developmental theory, Gottfredson's theory of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and the social-cognitive theory, this study examined the reciprocal effects that may exist between perceived career barrier and career aspiration using three waves of data from panel surveys. The present findings had suggestion for existing differentiated possibilities of career counseling interventions for academically excellent female adolescents who will be future core competent persons of nation and implication for future studies were made. The processe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longitudinal data was collected from middle, high school academically excellent female adolescents over 3 years. In the first year of this study, 435 femal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378 students in the second year, and finally 355 students in the third year. The same Career Barrier Scale for girl adolescents and Career Aspiration form were administered to female adolescents for 3 times. Second, Autoregressive Cross-Lagged Analysis (ARCL)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areer barrier and career aspiration. A theoretical model that perceived career barriers would directly affect on career aspirations over time was proposed. And eight nested models were also tested and then the most descriptive and parsimonious model was adopted. Third, result of the stability coefficient, reflecting the autoregressive coefficients of each variable, showed that two variables of academically excellent female adolescents were significantly stable over time. Career barrier was statistically stabler than career aspiration. Fourth, result of the cross-lagged coefficient, reflecting the cross-lagged causal effects of career barrier on career aspiration, showed that career barrier(T1)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spiration(T2) and then career aspiration(T2)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barrier(T3). This findings of cross-lagged effects, not supporting previous researches, indicated the reciprocal effects between two variables in stead of the unidirectional effect of career barrier to career aspiration of academically excellent female adolescents.;본 연구는 학업 우수 여자청소년의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는 진로상담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본 연구는 진로의 선택을 발달의 관점에서 보는 진로발달이론과 진로의사 결정과정이 타협과정이라고 보는 제한-타협이론, 진로 선택과 결정을 개인 심리적변인 뿐 아니라 사회맥락변인과도 관련된다는 사회인지이론에 근거하여, 3차례에 걸친 종단 추적 설문지를 통하여 지각된 진로장벽과 진로포부 변인 간의 상호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수 여성인력의 확보와 활용이 국가경쟁력의 핵심이 되는 오늘날, 진로선택의 주요한 두 변인 간의 종단관계를 규명하는 본 연구의 결과는 미래의 핵심인력이 될 학업 우수 여자청소년을 위한 진로상담의 개입에 있어 보다 차별화된 접근 가능성을 제시해줄 수 있을 것이며, 후속 연구의 가능성을 열어줄 것이다. 본 연구가 진행된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단자료는 중, 고등학교의 학업 우수 여자청소년을 대상으로 3년간 수집되었다. 1차 년도에 435명, 2차 년도에 378명, 3차 년도에 355명이 참여하여, 동일한 청소년용 여성 진로장벽 척도와 진로포부 설문지를 3차례 작성하였다. 둘째, 학업 우수 여자청소년의 지각된 진로장벽과 진로포부의 종단적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 분석이 실시되었다. 지각된 진로장벽이 진로포부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이론 모형을 설정하고, 서로 내재된 8개의 경쟁 모형을 비교하여 가장 간명하면서도 설명력이 있는 모델을 선택하였다. 셋째, 지각된 진로장벽과 진로포부의 시간에 따른 안정성은 자기회귀계수를 통하여 살펴보았는데, 연구 결과 두 변인 모두 시간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안정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지각된 진로장벽이 진로포부보다 더 안정되게 유지되었다. 넷째, 지각된 진로장벽과 진로포부 간의 시간에 따른 인과관계는 교차지연계수를 통하여 살펴보았는데, 1차 년도의 진로장벽이 2차 년도의 진로포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다시 2차년도의 진로포부가 3차 년도의 진로장벽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 결과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지지하는 대신, 두 변인 간에 진로장벽이 진로포부에 영향을 미치는 일방적인 영향이 아닌 상호작용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