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백미희-
dc.creator백미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19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19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00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7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005-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self-accountability emotion and self-efficacy in fear appeal on behavioral intention. Thus,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the self- accountability emotions(high-regret vs. low-fear) and the self- efficacy(high vs. low). A dependent variable is behavior intention. To estimate behavior intention, this study use intention toward quitting smoking. 160 undergraduates of Ewha Womans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randomly assigned into 4 condition. To induce self-accountability emotion, two emotional conditions were manipulated via scenarios about laryngeal cancer : fear, regret.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high or low self-efficacy by the scales of self-efficacy. And intention toward quitting smoking was assessed on 7 likert scales. The result of the study is the following. Two-way interaction of self-accountability emotion × self- efficacy was significant. When emotion's self-accountability was high, behavior intention didn't show much difference by the level of self-efficacy, while behavior intention showed the striking contrast between high and low level of self-efficacy when emotion's self- accountability was low. The present study reaches the following conclusion. This study finds that fear appeal that prompts high self-accountability emotions and high self-efficacy enhances more behavioral intentions than messages that evoke low self-accountability emotion and low self-efficacy. We showed that the most effective Fear-arousing Communication is adding high self-accountability and high self-efficacy. Through this result, this study can offer useful information about how Fear-arousing Communication can influence receivers' behavioral intentions.;공포소구에 대한 연구 모델들이 있었지만 그들이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에 대해서는 여러 다른 의견들이 있어왔고, 공포 소구에 있어 자기 효능감을 더하는 것이 효과적인지 아닌지에 대해서도 여러 이견이 있어왔다. 이에 본 연구는 공포소구가 행동적 변화에 영향력을 미치게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것인지 알아보고자 공포 소구에 자기 책임성을 지닌 정서를 더한 것이 자기 효능감과 함께 행동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정서가 지닌 자기 책임성이 공포 소구에 더해지면 행동 의도를 강화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또 수용자의 자기 효능감이 행동을 이끈다는 것은 여러 자기 효능감 연구들에서 밝혀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정서의 자기 책임성과 수용자의 자기 효능감을 독립변수로 포함하고, 실험 참여자의 흡연에 대한 사전 경험이 실험 결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여 이것을 공변수로 포함한 다음 금연에 대한 행동의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행동의도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을 위하여 먼저 실험 재료인 공포 소구를 위한 시나리오와 정서의 자기 책임성이 높은 후회, 정서의 자기 책임성이 낮은 공포를 유발하는 시나리오를 사전 조사를 통하여 검증하였고 이 시나리오들과 자기 효능감을 측정하는 척도로 구성된 본 실험을 위한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실험은 이화여자대학교 학부생 16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고 각 4개의 실험 조건에 40명씩 무선 할당 되었다. 실험 결과 정서의 자기 책임성과 자기 효능감의 상호작용은 유의하였다. 정서의 자기 책임성이 높은 정서인 후회의 조건에서는 자기 효능감의 고, 저에 따른 행동 의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지만, 정서의 자기 책임성이 낮은 공포의 조건에서는 자기 효능감의 고, 저에 따른 행동 의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즉 정서의 자기 책임성과 참가자의 자기 효능감이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포 소구만으로는 피험자의 행동의도를 높이는 것에 한계가 있다는 앞선 연구의 결과를 지지하였고, 공포소구에 있어 지금까지 과제적 특성으로 제시되어왔던 자기 효능감을 수용자의 성격적 측면의 자기 효능감을 사용하여 참가자의 성격적 특성인 일반적 자기 효능감이 공포 수구의 수용에 있어 영향을 끼친다는 증거를 제시하였으며, 공포 소구에 있어 자기 효능감의 행동적 영향력을 지지하지 못하였던 연구 결과와의 차이가 연구 재료에 있어서의 차이임을 제안, 자기 효능감을 자극하는 메시지 주제일 때에는 공포소구에서 자기 효능감이 행동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과를 제공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A. 자기 책임감 정서 = 4 1. 정서에 관한 연구들 = 4 2. 정서의 자기 책임성 = 9 B. 자기 효능감 = 13 C. 연구 가설 = 16 Ⅲ. 연구 방법 = 18 A. 연구 대상 = 18 B. 실험 설계 = 18 1. 독립변수 = 19 2. 공변수 = 20 3. 행동 의도 = 20 C. 실험 재료 = 21 D. 실험 절차 = 22 Ⅳ. 연구 결과 = 23 A. 조작 체크 = 23 B. 결과 = 25 Ⅴ. 논의 = 28 A. 연구 요약 = 28 B.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 = 30 참고문헌 = 32 부록 1. 본 실험 정서 설문지 (공포 조건) = 37 부록 2. 본 실험 정서 설문지 (후회 조건) = 43 부록 3. 자기 효능감 설문지 = 49 ABSTRACT = 5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039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자기 책임성 정서와 자기 효능감이 금연의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s of The Self-Accountability Emotion and Self-Efficacy on Behavioral Intention-
dc.creator.othernameBaek, Mi Hee-
dc.format.pageviii, 5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