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8 Download: 0

걸음마기 영아의 정서 조절

Title
걸음마기 영아의 정서 조절
Other Titles
Emotion regulation of toddlers : focused on relation of age, attachment, behavioral inhibition
Authors
박유미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선행 연구들이 정서 조절이 발달 후기의 정서 및 행동 문제, 정신 병리, 사회성을 강력하게 예견하는 요인이라고 밝히고 있어 초기 정서 조절의 발달 과정을 명확히 알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서 조절은 개인 내적인 요인과 외적인 요인으로 구성된 과정이라는 정의에 따라 정서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외 변인들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탐색하여 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령, 애착, 행동 억제와 정서 조절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서울 지역(신촌, 서대문, 마포, 종로, 서초, 송파)에 거주하는 중류층의 어머니와 영아 31쌍으로, 12개월 영아 16명과 24개월 영아 15명이었다. 측정 도구로는 영아의 정서 조절을 평정하기 위하여 Block과 Block(1980)의 만족 지연 절차를 사용하였다. 정서 조절은 정서 반응성과 정서 조절 전략 범주로 구분하였고, 정서 반응성은 선행 연구(Thompson, 1984)에 기초하여 부정적 정서 반응성, 부정적 정서 반응성 강도, 부정적 정서 반응성 잠재시간으로, 정서 조절 전략도 선행 연구(Diener, 1999, Nachmias, 1996, Grolnick, 1996)에 기초하여 8가지 전략 칭얼대기, 모-향하기, 주의 분산, 문제 해결, 긴장 방출, 회피, 위안 추구, 분노 유발 자극에 초점 두기로 평정하였다. 행동 억제 절차(Kagan, 1989)를 사용하여 행동 억제 수준을 측정하였고, 낯선 상황 절차(Ainsworth et al, 1978)를 사용하여 애착 유형 안정, 불안정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연령, 애착, 행동 억제에 따른 정서조절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삼원 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연령, 애착, 행동 억제에 따라서 정서 반응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8개의 정서 조절 전략 중 5개의 정서 조절 전략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모-향하기 전략에서는 연령과 애착의 주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연령이 증가하고, 안정된 애착일수록 좌절 상황에서 어머니에게 직접적으로 도움을 요청하거나 개입시키려는 행동, 어머니의 참조를 구하는 행동을 많이 하였다. 문제 해결 전략에서는 애착의 주효과, 연령과 행동 억제의 이원상호작용 효과, 연령, 애착, 행동 억제의 삼원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애착이 안정될수록 문제 해결 전략을 많이 사용하였고, 연령에 따라 애착과 행동 억제의 상호작용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12개월 아동은 행동 억제가 낮은 경우에는 불안정 애착일 때에 비하여 안정 애착일 때 문제 해결 전략을 많이 사용하였고, 행동 억제가 높은 경우에는 애착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24개월은 행동 억제가 낮은 경우와 높은 경우 모두 불안정 애착일 때에 비하여 안정 애착일 때 문제 해결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위안 추구 전략은 연령의 주효과가 유의했다. 즉 연령이 증가할수록 영아들은 자신의 손가락을 빨거나 머리 만지기 또는 어머니에게 안아달라고 하기와 같은 위안을 추구하는 행동을 적게 사용하였다. 긴장방출 전략에서는 행동 억제와 애착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즉 행동 억제가 낮은 경우에는 불안정 애착일 때에 비하여 안정 애착일 때 혼자서 발을 구르거나 몸을 흔드는 운동행동이나 던지거나 때리는 긴장 방출 행동이 많이 나타났다. 반면 행동 억제가 높은 경우에는 오히려 안정 애착일 때에 비하여 불안정 애착일 때 혼자서 발을 구르거나 몸을 흔드는 운동행동이나 던지거나 때리는 긴장 방출 행동이 많이 나타났다. 분노유발 자극에 초점두기 전략에서는 애착에 따른 주효과와 연령과 행동억제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안정 애착에 비하여 불안정 애착이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분노 유발 자극에 초점을 두기를 더 많이 나타내었다. 또한 행동 억제가 낮은 경우에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분노 유발 자극에 초점 두기가 증가하였고, 행동 억제가 높은 경우에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분노 유발 자극에 초점 두기가 감소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걸음마기 영아의 정서 조절에 연령의 증가 따른 발달적 변화와 애착의 질이 가장 많은 영향을 줌을 알 수 있다. 행동 억제는 연령 또는 애착의 상호작용을 할 경우에만 유의한 영형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더 자세한 탐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발달 초기의 정서 조절에 미치는 주요 변인들 간의 관계를 함께 탐색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 조절과 발달 후기의 사회성 발달 및 정신 병리와의 관계를 연구하는데 유익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emotion regulation of toddler, is especially focused on relation of age, attachment, behavioral inhibi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1 toddlers of middle classes residing Seoul whose age is 12-24 months. Emotion regulation of toddlers was assessed in delay procedure designed to elicit mild distress. Mother-child attachment was assessed in strange situation and behavioral inhibition was determined by observing toddler's inhibition to several novel events. Emotion regulation was assessed by examining the toddler's emotion reactivity such as negative emotion, intensity of negative emotion and the latency of negative emotion, emotion strategies such as fussing, mother-orientation, self-distraction, problem solving, tension release, avoidance, comfort seeking, and focus on desired object.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There was a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ge, attachment, behavioral inhibition in emotion reactivity,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f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other-orientation was significant difference to age and attachment. That is, the older and the more securely attached toddler tended to use more mother-orientation strategy. In Problem solving, there were main effect of attachment and interaction effects of age, attachment and behavioral inhibition. In other words, the securely attached toddler tended to use more problem solving strategy. 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attachment and behavioral inhibition was different among ages. Comfort seeking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ges. Namely, older toddlers tended to use less comfort seeking strategies. In tension release, there was interaction effect of attachment and behavioral inhibition. When toddlers were focused on a desired object, there was the main effect of attachment 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age and behavioral inhibition. That is, the more securely attached toddler tended to focus less desired object. And older inhibited toddlers tended to focus more desired object, but the older uninhibited toddler tended to focus less desired object.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age and attachment influence on emotion regulation. Those results mean that the developmental change among ages and secure attachment significantly affected emotion regulation in toddlerhood. However, since behavioral inhibition only influences the emotion regulation when there is interaction between behavioral inhibition and attachment, further subsequent are needed to investigate this tendenc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