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1 Download: 0

공법상 당사자소송의 활용 및 확대화 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공법상 당사자소송의 활용 및 확대화 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ossible Ways to Use and Extend the Party Suit System on Public Law
Authors
이혜진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possible ways to use and extend the party suit system on public law, which is not so much useful in our legal practices. Although our current Administrative Action Law accepts dual system consisting of revocation suit and party suit, the party suit is hardly used in actual litigation practices of Korea. That is, there are a lot of cases where legal disputes with equal parties concerned on public law are not handled and settled as party suit, but as civil action, or addressed even as revocation suit by way of disposition or the like. Thus, this study seeks to investigate practical issues on occurrence of these judicial precedents and actual cases where party suit is settled as civil action or complaint and thereby review legal issues to improve conventional tendency of judicial precedents. Further, it also aims to seek possible ways to use and extend party suit system on public law, whose demands will be rapidly increasing in near future as expected, so that it can suggest promising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Administrative Action Law. First, discussing possible types of party suit in terms of its concepts, this study assumes that current party suit on Administrative Action Law means only real party suit in the light of actual positive law conditions and legislative purports as of enactment day, but doesn't imply so-called formal party suit. And this study seeks to take approach to the characteristics of party suit from the perspective of subjective litigation, universality and supplementation. Even according to major jurisprudential opinions in which both complaint and party suit are deemed as subjective suit, the party suit as a legal dispute with equal parties concerned on public law comes to show stronger nature of subjective litigation than complaint, and is also characterized by universal action in a sense that it covers general legal disputes on public law, apart from omission including disposition. Although some opinions infer a nature of supplementation in this universality, it should be preferably deemed as de facto nature of supplementation. Based on other litigations than party suit, i.e. possible relationships between civil action and complaint, this study seeks to discriminate public law from private law in regard to distinguishing party suit from civil action, and find out dual structure of complaint and party suit in current Administrative Action Law with regard to distinguishing party suit from complaint. By categorical review on existing judicial precedents that have been settled as civil action or complaint, but should have been dealt and settled as party suit on public law in reality, this study seeks to point out relevant issues and highlight a recent court decision for unanimous collegiate body, in which loss compensation claims have been dealt and settled as party suit. While discussion possible ways to use party suit for legal review to improve existing tendency of precedents, this study addresses questions about poor usefulness of party suit in legal practices. So this study examines two major jurisprudential positions on party suit, i.e. uselessness of party suit and usefulness of party suit, and argues that given its original boundaries and functions, party suit is useful as independent litigation type in favor of protecting people's rights and interests and realizing personal interests relief. Then, this study examines why it is necessary to use party suit as well as actual benefits of using it. So this study seeks to suggest possible ways to improve party suit system in terms of latest discussions on revision of Administrative Action Law, which would involve rearrangement of current provisions on changing litigation, abolishment of restrictive provisions on sentence of provisional execution for party suit, and necessity of establishing a new provision on settlement of party suit. The party suit system may be valued for its significance in that appropriate means of remedy for violation of private right should be developed in step with recent demands for public benefit protection or prompt remedy for violation of private right, and diversification of administrative act types under the latest trend of contemporary advanced public administration system. Above all, in view of party suit as a nature of universal litigation, this study points out that it will be necessary to review the subdivision of party suit according to general litigation types and actual issues on preparing litigation provisions allowing for special nature of party suit distinguished from general civil action.;행정소송법 제3조 제2호에 의하면 당사자소송이란 ‘행정청의 처분등을 원인으로 하는 법률관계에 관한 소송 그 밖에 공법상의 법률관계에 관한 소송으로서 그 법률관계의 한쪽 당사자를 피고로 하는 소송’을 말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행정소송법이 제정된 이후 50년이 지난 오늘에도, 여전히 실무에 있어 잘 활용되고 있지 않은 공법상 당사자소송을 활용하고 확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현행 행정소송법은 취소소송과 당사자소송의 이원적 구조를 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소송실무를 살펴보면 당사자소송은 거의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당사자소송으로 다루어야 할 대등한 공법상 법률관계에 관한 분쟁을 민사소송으로 다루거나, 처분등을 거쳐 취소소송으로 다루고 있는 경우를 많이 찾을 수 있다. 이러한 경향으로 말미암아 최근 발표된 행정소송법 개정안이 기존의 항고소송 중심의 틀에서 여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항고소송의 소송대상을 확장시킴으로서 당사자소송의 활용요구를 간과한 채 행정소송법을 완결 지으려는 움직임도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이러한 법원판례가 나타나게 된 실무차원의 문제점과 실무상 당사자소송이 민사소송과 항고소송으로 다루어지는 사례를 연구하여 판례의 경향을 개선시키기 위한 법률적 문제를 검토하고 앞으로 그 수요가 급격히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공법상 당사자소송을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행정소송법의 개선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당사자소송의 개념과 관련하여 그 유형을 살펴보면서 현행 행정소송법상 당사자소송의 개념은 입법당시의 실정법 현황과 입법취지 등에 비추어 실질적 당사자소송만을 의미하는 것이고, 이른바 형식적 당사자소송은 이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파악한다. 당사자소송의 특성은 주관적 소송성과 포괄성 그리고 보충성의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항고소송과 당사자소송을 주관소송으로 보는 다수설의 개념에 따르더라도 항고소송에 비하여 대등한 당사자간의 공법상 법률관계에 대한 분쟁인 당사자소송이 항고소송에 비하여 더 강한 주관적 소송성을 띠게 되고, 당사자소송은 처분 등 부작위 이외에 공법상 법률관계 일반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포괄소송으로서의 특성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포괄성에서 보충성을 추론하는 견해도 있으나 이는 사실상의 보충성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당사자소송과 다른 소송 즉, 민사소송과 항고소송과의 관계를 통해 민사소송과의 구별에 있어서는 공법과 사법의 구별을, 항고소송과의 구별에 있어서는 각 항고소송과 당사자소송과의 관계를 살펴보기로 한다. 그동안 민사소송 또는 항고소송으로 다루어지진 공법상 당사자소송으로 처리되었어야 할 판례들을 유형별로 검토하면서 이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최근 손실보상소송을 당사자소송으로 다룬 전원합의체 판결에 주목하고자 한다. 판례경향 개선을 위한 법률적 검토를 위해 당사자소송의 활용에 대하여 논의 하는바, 먼저 당사자소송이 활용되지 못한 문제점을 살펴본다. 이에 대한 학계의 당사자소송무용론과 당사자소송활용론을 검토하고, 당사자소송에 고유한 영역과 기능을 부여하여 당사자소송을 독자적인 유형으로 활용하는 것이 국민의 권익보호와 개인의 이익구제를 위하여 유리할 뿐만 아니라 공법의 사법으로의 회피라는 행정사법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피력하면서 당사자소송의 활용의 필요성과 실익을 살펴본다. 이를 위하여 소의 변경에 대한 규정의 정비 및 당사자 소송에 가집행선고의 제한조항을 삭제하고 화해에 관한 규정을 둘 필요가 있는 등 당사자소송에 관한 개선방향을 최근 행정소송법 개정논의와 관련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처분성 확대를 통한 항고소송의 취소소송중심주의는 자칫 처분개념을 불명확하게 하고 항고소송의 비대화 및 심리의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어 행정소송 상호간의 역할분담의 차원에서도 당사자소송제도에 대한 새로운 검토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당사자소송제도는 공익보호나 개인의 신속한 권리구제의 요청, 그리고 현대행정의 발전동향에 따른 행정행위형식의 다양화에 발맞추어 그에 적합한 권리구제수단을 강구해야 한다는 측면에서도 그 존재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 무엇보다도 당사자소송의 포괄소송으로서의 특성에 비추어 볼 때 이행소송·형성소송·확인소송 등 일반적 소송유형에 따른 당사자소송의 세분화 및 일반 민사소송에 대한 특수성을 고려한 소송법적 규정을 마련하는 문제가 검토되어야 할 것임을 지적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