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상은-
dc.creator신상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5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5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79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7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7970-
dc.description.abstract알쯔하이머성 치매(Alzheimer's Disease: AD)환자들은 증상의 초기부터 기억력장애와 함께 언어장애가 동반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어휘의미체계의 손상으로 인하여 적절한 낱말을 표현하고 이해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D환자의 명사와 동사의 표현과 이해능력을 살펴보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최근에는 AD환자가 도구동사의 표현능력에서 선택적으로 결함을 보인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어 도구성(instrumentality)이 어휘처리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AD환자의 동사 표현 및 이해 능력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현재 임상에서 치매환자 뿐만 아니라 신경언어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사용하고 있는 언어평가도구에서도 동사어휘의 표현 및 이해 능력의 평가는 제외되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D환자의 동사 표현 및 이해 능력을 살펴보고 특히 치매의 중증도에 따라 그 능력의 결함이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동사의 도구성이 AD환자의 동사표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동사이해능력에도 영향을 주는지를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동사이름대기과제와 낱말-그림짝맞추기과제를 자체적으로 제작하여 AD환자의 동사표현 및 이해능력을 검사하였다. 특히 동사이름대기과제에서는 오반응을 보인 문항에 대하여 문장완성형 단서를 제시함으로써 구문적 단서가 산출을 촉진하는지 여부와 단서를 제시했을 때에도 도구동사의 선택적인 결함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동사표현능력의 결함이 동사이해능력의 결함 또는 명사표현능력의 결함과 함께 나타나는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총 38명으로 알쯔하이머성 치매 진단을 받은 26명의 AD환자와 정상노인 12명이다. 치매집단은 임상적 치매평가(Clinical Dementia Rating: CDR) 척도에 따라 치매의심집단(CDR 0.5) 9명, 경도치매집단(CDR 1) 9명 그리고 중등도치매집단(CDR 2) 8명으로 구성되었으며 네 집단 간에 연령, 교육년수, 성별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동사이름대기과제는 고빈도의 순우리말인 동작동사(action verb)로 논항(arguments)의 수가 2-3개이고 타동사이며 음절수가 2-3개인 비도구동사 20개와 도구동사 20개로 구성되었다. 청각적 동사이해능력을 보기 위한 낱말-그림짝맞추기과제는 동사이름대기과제에 사용된 낱말과 동일한 40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졌으며, 4개의 그림 중에서 목표어휘를 제외한 3개의 방해자극(distractors)은 목표어휘와 의미적으로 관련된 어휘, 음소적으로 관련된 어휘, 무관한 어휘로 구성하였다. 자료의 분석방법은 각 과제에서 대상자가 정반응한 항목의 개수를 합산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방법으로는 비모수통계방법인 크루스칼-왈리스 검정(Kruskal-Wallis test)과 Bonferroni 사후검정, 윌콕슨 부호순위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 그리고 Spearma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동사의 표현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동사이름대기과제를 실시한 결과 정상노인집단은 경도치매집단 및 중등도치매집단과 유의미한 정반응수의 차이를 보였고, 치매의심집단은 중등도치매집단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치매의 중증도가 심해질수록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정반응수가 적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상노인집단과 치매의심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비록 정상노인집단과 치매의심집단 간에는 동사이름대기의 정반응수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정상노인집단을 제외한 모든 AD집단에게서 도구동사와 비도구동사의 표현능력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동사이름대기과제에서 오반응을 보인 문항에 대하여 문장완성형 단서를 제시하였을 때 네 집단 모두 구문적인 단서가 목표동사의 산출을 촉진시켰다. (4) 동사이름대기과제에서 보인 오반응에 대하여 오류분석을 실시한 결과 치매집단에서 정상노인집단과 마찬가지로 의미적 대등오류가 높게 나타났으나 정상노인집단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았던 에두르기, 무반응, 시지각적 연관오류, 모르겠다는 반응, 무관어 등의 오반응이 자주 관찰되었다. (5) 동사의 이해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낱말-그림짝맞추기과제를 실시한 결과 정상노인집단은 경도치매집단 및 중등도치매집단과 유의미한 정반응수의 차이를 보였고, 치매의심집단은 중등도치매집단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도치매집단은 중등도치매집단과 유의미한 정반응수의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치매의 중증도가 심해질수록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정반응수가 적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6) 동사이해능력에서는 모든 집단이 도구동사와 비도구동사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7) 낱말-그림짝맞추기과제에서 나타난 오류 유형을 분석한 결과 정상노인집단은 음소적 오류를 가장 많이 보인 반면에 치매노인집단은 의미적 오류를 가장 많이 보였다. (8) 동사이해능력과 동사표현능력 간에는 유의미하게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왔으며 마지막으로 (9) 동사표현능력은 명사표현능력과도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증도가 심해질수록 AD환자들의 동사표현능력과 동사이해능력이 더 심하게 결함을 보인다는 것을 증명하였고, AD환자들의 동사표현능력에서 도구동사와 비도구동사의 범주 간에 수행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도구동사와 비도구동사의 표현능력의 차이가 치매의심집단에서부터 나타난다는 것이 입증됨으로써 치매의 조기판별에 대한 언어평가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도구동사에서 보이는 선택적인 결함은 동작과 도구가 갖는 기능적인 관계에 대한 지식이 손상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도구성이 AD환자의 동사이해능력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으나 동사표현능력에는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밝혀냄으로써 표현과 이해가 서로 다른 기제에 기반한다는 기존의 가설을 입증해주었다.;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1) to investigate the verb production and comprehension abilities in Alzheimer's disease according to the severity and (2) test the hypothesis that AD patents show differential deficit in action naming tasks: instrumental action verb vs. non-instrumental action verb. (3) Also qualitative analyses of the errors were carried out to reveal the problems patients faced in the two tasks. Twenty six patients with AD(questionable AD : mild AD : moderate AD = 9 : 9 : 8) and twelve heathy controls matched for age, gender, education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tasks consisted of verb naming task and word-picture matching task. The performances of all the subjects were analyzed via Kruskal-Wallis test, Bonferroni 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 and Spearman rank correlation. The resul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Scores of verb naming task and word-picture matching task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to the severity of AD. (2)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between control group and mild AD group for the two tasks were found not only between control group and moderate AD group but also between questionable AD group and moderate AD group. (3)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ol group and questionable AD group for the verb naming task, the score of instrumental verb naming task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n-instrumental verb naming task in the questionable AD group. The same results were found in mild AD and moderate AD groups for the verb naming task. (4)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nstrumental verb and the non-instrumental verb for word-picture matching task and the cued sentence completion task. (5) Each group showed different error types of the verb naming task and word-picture matching task. For the verb naming task, AD patients showed co-ordinate semantic errors, circumlocution errors, no response errors, frank visual errors and unrelated errors. (6) For the word-picture matching task, most of AD patients showed phonemic erro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C. 용어 정의 = 4 II. 이론적 배경 = 6 A. 알쯔하이머성 치매 = 6 1. 알쯔하이머성 치매의 정의 및 진단기준 = 6 2. 중증도에 따른 알쯔하이머성 치매의 일반적인 특징 = 7 B. 알쯔하이머성 치매환자의 동사 표현 및 이해 능력 = 8 1. 명사와 동사의 해리현상에 관한 연구 = 8 2. 동사 표현 및 이해에 수반되는 어휘처리과정 = 10 3. 도구동사와 비도구동사의 표현 및 이해 능력에 관한 연구 = 14 III. 연구 방법 = 17 A. 연구 대상 = 17 B. 검사 도구 = 18 C. 연구 절차 = 21 D. 자료 분석 방법 = 23 E. 자료의 통계적 처리 = 25 F. 신뢰도 = 26 IV. 연구 결과 = 27 A. 동사표현능력의 차이 분석 = 27 B. 동사이해능력의 차이 분석 = 31 C. 동사표현능력과 동사이해능력의 비교 = 34 D. 오류 유형 분석 = 35 E. 동사표현능력과 명사표현능력의 비교 = 37 V. 결론 및 논의 = 38 A. 결론 및 논의 = 38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 45 참고문헌 = 47 부록 = 54 Abstract =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959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알쯔하이머성 치매환자의 중증도에 따른 동사 표현 및 이해 능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hanges in Verb Production and Comprehension Ability depending on Severity in Alzheimer's Disease-
dc.creator.othernameShin, Sang Eun-
dc.format.pageviii, 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