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현정-
dc.creator이현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4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4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00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7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004-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syntactic complexity can be found in expository and conversational discourses which school-ag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frequently encounter in school and daily life, and when evaluated and mediated, whether discourse genre should be considered and it is necessary to expand discourse genre further. For this, the study focused on syntax, used in expository discourse and conversation by twelve children with SLI between second and third grade in elementary school, twelve normal children matched on the chronological age with SLI group (CA control group), and twelve normal children matched on the language age with SLI group (LA control group). Discourse genres were classed in terms of cognitive structure and a goal(Brewer, 1980). In conversational discourse, more than two participants were asked to let loose of sharing personal experience free from any structure and in expository discourse, logically to deliver abstract information through collection, one of the freest types of the structure. The participants began with conversation uncontrolled but through verbal prompt, and then were led to expository discourse. In order to show group differences based on discourse genres, syntactic complexity was measured with MLC-w (mean length of C-unit in word) and MNC (mean number of clause in a C-unit) and examined with the percentage of using nominal clauses in a C-unit, of the relative clauses, of the adverbial clauses, of the syntactic errors, and error type analysis. For analyzing group differences according to conversation and expository discourse was split-plot factorial 2-way ANOVA adopted, and for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discourse genres was one-way ANOVA adopt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yntactic complexity measured by MLC-w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discourse genres, and MLC-w was found to be longer in expository discourse than in conversational discourse. Second, syntactic complexity measured by MNC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discourse genres, and all three groups used more MNC in expository discourse than in the conversational. Also, CA control group used significantly more MNC in expository discourse than SLI group did. Third, the percentage of using nominal clauses in a C-un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group effects, and the percentage, especially in expository discourse, was significantly higher within the CA control group than both the LA and the SLI. Fourth, the percentage of using relative clauses in a C-unit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discourse genres, and all three groups used relative clauses more in expository discourse than in conversational. Fifth, the percentage of using adverbial clauses in a C-unit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discourse genres, and all three groups used adverbial clauses more in expository discourse than in conversational. Sixth, the percentage of making syntax error in a C-un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group effects, and the percentage, both in expository and conversational discourses, was significantly higher within SLI group than both the LA and the CA. Seventh, differences according to discourse genres in making syntax errors were apparent within SLI group. The group made syntax errors in conversational discourse in using particles, tenses, the rest, and connectives, voices in this order, and errors in expository discourse in using particles, connectives, the rest, voices, tenses in this order. Also, the group still frequently made tense errors, usually considered not to be committed by normal children. The study led to the results that there are significant group and discourse genre effects in syntax use. In this regard, in order to appropriately evaluate and mediate language proficiency of children in the lower grades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t is indispensable to reach to effective analysi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pairment using various discourse genres.;학령기 아동들은 구문, 의미, 화용 측면에서 언어발달이 계속 이루어지며 동시에 인지·학습적인 요구도 증가된다. 특히 저학년은 다양한 정보를 싣는 종속절의 발달로 문장의 길이가 점차 증가하여 구문 발달이 일어나고, 다양한 목적을 위해 여러 가지 담화를 학습하고 사용하는 연령이다. 그러나 저학년의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여전히 구문 사용에 오류가 많으며 문법형태소의 사용비율도 낮고, 구문을 다양하게 확장하는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Leonard, McGregor, Allen, 1992;Scott, Windsor, 2000). 구문 사용의 어려움은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다양한 담화를 학습하고 사용하는 화용상에 더 큰 어려움을 갖게 한다. 그러므로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평가는 담화 안에서 이루어져야하며, 다양한 담화 안에서 양적·질적으로 어떤 구문 사용의 특성을 나타내는지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이 일상과 학교생활에서 가장 많이 접하는 대화와 설명 담화에서 어떤 구문 복잡성을 나타내는지 알아보고, 평가와 중재 시 담화 유형에 따라 고려해야하는 점과 담화 유형을 확대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것을 위해 초등학교 2-3학년의 단순언어장애아동 12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아동 12명,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아동 12명을 대상으로 대화와 설명 담화에서 구문사용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담화유형은 인지구조와 목적의 측면에서 분류하여(Brewer, 1980), 대화는 두 명 이상의 참여자가 구조화되지 않은 상태로 자유롭게 개인적인 경험을 나누는 것으로 정하였고, 설명은 가장 자유로운 조직 유형인 수집구조를 통해 추상적인 정보를 논리적으로 전달하는 담화로 구분하였다. 연구 과제는 일정한 언어적인 촉진을 사용하여 자연스럽게 대화를 실시한 후 설명을 유도하였다. 담화유형에 따른 집단간 차이는 C-unit 당 평균낱말길이(MLC-w: Mean length of C-unit)와 C-unit 당 평균 절의 수(MNC: Mean number of Clause in a C-unit)를 통해 구문의 복잡성을 측정하였고, C-unit 당 명사절, 관형절, 부사절의 사용률, C-unit 당 구문오류율과 오류유형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대화와 설명 담화유형에 따른 세 집단의 차이는 분할구획요인 설계로 된 분산분석을 사용하였고, 담화 유형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C-unit 당 평균낱말길이(MLC-w)로 측정한 구문복잡성은 담화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대화보다 설명에서 C-unit 당 평균낱말길이가 더 길었다. 둘째 C-unit 당 평균 절의 수(MNC)로 측정한 구문복잡성은 담화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세 집단 모두 대화보다 설명에서 더 많은 C-unit 당 평균 절의 수(MNC)를 나타내었다. 또한 C-unit 당 평균 절의 수(MNC)는 설명에서 단순언어장애 집단이 생활연령일치 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셋째 C-unit 당 명사절의 사용률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설명에서 단순언어장애 집단과 언어연령일치 집단이 생활연령일치 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넷째 C-unit 당 관형절의 사용률은 담화유형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세 집단 모두 대화보다 설명에서 더 많이 사용되었다. 다섯째 C-unit 당 부사절의 사용률은 담화유형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세 집단 모두 대화보다 설명에서 더 많이 사용되었다. 여섯째 C-unit 당 구문오류율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대화와 설명 모두에서 단순언어장애 집단이 생활연령일치 집단과 언어연령일치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구문오류율을 나타내었다. 일곱째 단순언어장애 집단의 구문오류유형은 대화에서 조사, 시제, 기타, 접속, 태 오류 순으로 많이 나타났고, 설명에서는 조사, 접속, 기타, 태, 시제 오류 순으로 많이 나타나 담화유형 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일반아동이 많이 나타내지 않는 시제오류가 여전히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구문사용은 담화유형과 집단에 따라 양적·질적으로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저학년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언어능력을 적절하게 평가· 중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담화 유형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분석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5 II. 이론적 배경 = 7 A. 학령기 아동의 구문발달 특성 = 7 B.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구문특성 = 10 C. 담화 유형에 따른 특성 연구 = 13 III. 연구 방법 = 22 A. 연구 대상 = 22 B. 연구 절차 = 24 C. 자료 분석 = 27 IV. 연구 결과 = 31 A. 구문복잡성 분석결과 = 31 B. 종속절 유형간 사용률 분석 결과 = 36 C. 구문 오류율과 오류유형의 분석 결과 = 42 V. 결론 및 논의 = 49 A. 결론 및 논의 = 49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 57 참고문헌 = 59 부록 = 64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615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담화유형에 따른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구문사용 특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대화와 설명 담화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Characteristics of Syntax Use by School-ag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ccording to Discourse Genres : Focusing on Conversational and Expository Discourses-
dc.creator.othernameLee, Hyun Jung-
dc.format.pageix,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