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은아-
dc.creator김은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03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03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79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7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7902-
dc.description.abstract조음․음운장애를 동반하며 언어능력에 결함을 보이는 대부분의 정신지체아동들은 낮은 인지적 결함으로 인해 정상아동보다 문자인식 능력이 현저히 지체되어 있다. 따라서 정신지체아동들은 정상발달 아동보다 낮은 음운인식능력을 가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저조한 음절 및 음소 인식능력을 보이게 되며, 결국 이러한 문제는 단어 해독 능력 결함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여지를 내포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학령기 정신지체아동들이 직면하고 있는 읽기 영역의 언어치료를 목적으로 기존의 치료 방식을 수정․보완한 멀티미디어 방식을 새롭게 도입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멀티미디어 방식이란, 모음 음소 지각을 위해서는 비디오 자기 모델링기법을, 자음 음소를 위해서는 3D 조음 동영상을, 변별과 합성을 위해서는 파워포인트의 시각․청각기법을 사용한 것을 말한다. 연구자는 일반학교에 통합되어있거나 특수학교 1, 2학년에 재학 중인 학령기 경도 정신지체아동 3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중재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대상자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대상아동은 모든 회기에서 컴퓨터와 마우스를 사용 하였으며, 컴퓨터 사용 능력에 따른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대상아동들에게 사전에 기본적인 컴퓨터 사용 능력을 지도하였다. 먼저, 기초선 단계에서는 중재 이전 대상아동의 수행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연구자가 제작한 10개의 평가문항들을 사용하였다. 또한, 중재 단계에서는 평가(5분)와 중재(25분)로 나누어 총 30분의 시간으로 구성하였다. 중재는 4가지 음절 및 음소인식훈련과제(음절수세기, 음소지각, 음절 및 음소변별, 음절 및 음소합성)로 구성되어있으며, 아동이 4가지 음운인식훈련과제의 준거에 맞게 수행하거나 혹은 사전에 제시한 최대 훈련 회기 수에 도달하였을 경우, 다음 과제로 이동하도록 하였다. 평가는 매 회기 중재 전에 이루어졌으며, 중재 후에는 2가지 종류의 일반화를 실시하였다. 멀티미디어 자극을 통해 향상된 아동의 음절 및 음소인식능력이 전통적인 자극 환경으로 일반화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자극일반화와 대상아동들의 수행능력이 단어 읽기과제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지 측정해보는 반응 일반화를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중재에 대한 유지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일반화 측정 이후 3주간의 휴지기를 거쳐 3회기 동안 기초선과 동일한 조건하에서 대상아동 3명의 음절 및 음소인식능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음운인식훈련을 실시한 결과 대상아동 모두 음소 및 음절인식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음운인식훈련을 실시한 결과 대상 아동 모두 중재 받지 않은 다른 자극으로 무리 없이 일반화되었다. 또한, 종속변인과 관련된 읽기능력을 측정하는 반응 일반화에서 대상아동 1과 2는 기초선 수행수준에 비해 반응 일반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나, 대상아동 3은 중재 이전 수준에 비해 약간의 증가율을 보여 반응 일반화로의 잠재성을 보였다. 셋째,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음운인식 훈련을 실시한 결과 일반화 단계 이후 3주간의 휴지기를 가진 뒤 실시한 유지단계에서 3명의 대상아동 모두 중재 효과가 유지되었다. 결론적으로,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음운인식 훈련이 학령기 정신지체아동의 음소 및 음절인식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단어 카드, 그림 자료, 교사 중심 접근법을 사용한 기존의 전통적 음운인식훈련과는 달리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중재를 통해 아동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었으며, 효과적인 음소인식 능력 향상을 위한 시각 및 청각 자극을 제공할 수 있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using multimedia on the syllable & phoneme awareness skills of student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The experimental design was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In the instructional sessions, educator provided subjects with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program using multimedia which is consisted of video self-modeling & 3D articulation simulation. Generalization was accessed in other stimulation settings & response settings for the three sessions. Stimulation generalization data were collected in traditional learning setting using picture cards & paper board. Also, Response generalization data were collected in non-word & word reading testing. Maintenance data were collected in three weeks of the termination of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using multimedia increased the rate of performance on the syllable & phoneme awareness skills for th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Second, Although the intervention effects was easily generalized in other stimulation setting, it wasn't notably generalized in response setting which tested non-word & word reading skills. Concretely, student 1 & 2 were not generalized, on the other hand student 3 presents a little possibility. Third, the effects of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using multimedia were maintained for the three sessions after three weeks of the termination of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using multimedia is clinically effective in the phonological awareness acquisition, stimulation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of syllable & phoneme awareness skills for th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문제 = 4 C. 용어 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7 A. 정신지체아동의 음운발달 및 음운인식 특성 = 7 1. 정신지체아동의 음운발달 = 7 2. 정신지체아동의 음운인식 특성과 읽기 = 8 3. 정신지체아동의 음운인식 중재 선행연구 = 10 B. 음운인식 연구동향 = 11 1. 음운인식의 정의 = 11 2. 음운인식 과제의 종류 = 12 3. 음운인식과 읽기와의 상호관계 = 13 4. 음운인식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 = 16 C.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음운발달 및 음운인식특성 = 19 1. 멀티미디어의 개념 = 19 2.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음운인식훈련 = 20 Ⅲ. 연구 방법 = 27 A. 연구 대상 = 27 B. 검사 도구 = 29 C. 실험 기간 = 30 D. 실험 장소 = 31 E. 음운인식 훈련 프로그램 = 31 F. 실험 설계 = 38 G. 실험 절차 = 38 H. 관찰 및 측정 = 43 I. 관찰자간 신뢰도 = 46 Ⅲ. 연구 결과 = 48 A.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음운인식훈련이 정신지체아동의 음절 및 음소인식 능력에 미치는 영향 = 48 B.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음운인식훈련이 대상아동의 음절 및 음소인식 능력의 자극일반화에 미치는 효과 = 49 C.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음운인식훈련이 대상아동의 음절 및 음소인식 능력의 유지에 미치는 효과 = 53 Ⅴ. 논의 및 제언 = 54 A. 논의 = 55 B. 제한점 = 65 C. 제언 = 66 참고문헌 = 68 부록 = 75 Abstract =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339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음운인식훈련이 학령기 정신지체아동의 음절 및 음소인식 능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Increasing syllable & phoneme awareness skills for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hrough multimedia phonological awareness training.-
dc.creator.othernameKim, Eun-A-
dc.format.pagevii, 8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