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53 Download: 0

공공도서관 사서직 직무분석을 통한 직무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공공도서관 사서직 직무분석을 통한 직무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mproving Librarian Job System In Public Libraries Using Job Analysis
Authors
김유진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한 조직 내의 인력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이 담당하는 직무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는 직무분석이 필요하다. 공공도서관 의 인력을 관리하는데도 직무분석은 효과적이며, 주요 업무를 수행하는 사서직이 현재 수행하고 있는 업무와 사서 직무에 요구되는 자질을 분석하여 환경에 맞는 업무분장과 책임한계를 명확히 하는 직무체계를 수립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다른 관종에 비해서 공공도서관의 특성에 맞춘 공공도서관 사서직의 직무분석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여 직무분석의 결과가 직무체계를 개선하는 데까지는 이어지기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사서직의 직무체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 공공도서관 사서직에게 분장된 업무내용과 업무흐름을 파악하여 직무를 체계화하였고, 사서직이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지식, 능력, 기술, 인적 특성을 규명하는 직무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에는 서울시 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 22관의 17명의 사서과장과 207명의 사서직원이 응답하였다. 사서과장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조직형태와 업무분장 및 업무흐름을 분석하여 현재 사서직이 수행하는 업무내용과 업무흐름을 파악하였다. 조사 결과, 공공도서관의 조직형태는 관리과에서 행정을 담당하고 자료봉사과에서 수서, 정리, 참고봉사, 전산, 문화활동 등의 업무를 팀별 혹은 담당직원별로 사서직이 수행하는 ‘관리과, 자료봉사과 분과 형태’가 가장 많았다. 그리고 공공도서관 22개관 전관의 사서 직원수는 법령 배치규정보다 매우 부족한 충원률을 보이고 있었다. 사서직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KASO(Knowledge, Abilities, Skills and Other characteristics) 분석기법을 사용하여 공공도서관 사서직이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지식, 능력, 기술, 인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를 종합하여 공공도서관 사서직의 직무수행과 관련하여 빈도와 중요도가 모두 3.5 이상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핵심항목과 빈도와 중요도 점수가 3.0 이상이 되는 주요항목의 지식, 능력, 기술 및 기타 인적특성들을 추출하였다. 핵심항목과 주요항목을 기초로 공공도서관 사서직의 직무기술서와 직무명세서를 작성하고 각 업무별로 요구되는 자질을 정리하였다. 공공도서관 사서직의 직무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제안할 수 있는 사서직의 직무체계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행정지원업무에서는 사무기술 외에 내적 커뮤니케이션 능력, 도서관 홍보능력이 중요한 업무수행 요건으로 나타나서 도서관 홍보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만큼 도서관홍보 관련 교육과 훈련을 통해서 현 사서들을 도서관홍보 전문가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인사와 예산편성에 관한 지식은 활용 빈도가 낮아서 인사권과 예산편성권을 공공도서관의 실제 운영 집단인 사서직에게 확대해야 할 것이다. 둘째, 장서개발과 자료조직 업무에서 장서수집 및 선택 관리 능력, 분류· 편목 시스템 활용 능력, 자료에 대한 주제 분석 능력이 업무 수행시에 중요하게 요구되는 자질로 나타났다. 사서직의 보직을 순환하는 것보다는 특정 업무에 있어 전문성을 띤 전담사서를 양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이를 위해 교육과 경력관리 및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이용자·참고봉사 업무에서는 이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능력, 정보검색도구 활용기술, 정보검색과 제공 능력 등이 중요한 요건으로 나타났다. 사서직의 정보검색자로서의 역할이 강조되는 만큼 사서직은 최신 정보기술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또한 증가하는 특수이용자층을 위하여 현재 이용자 봉사업무에 분장되지 않은 특수이용자층을 담당할 전담 사서직을 배치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먼저 해결해야 할 문제는 공공도서관 사서직의 인력을 확충하는 것이다. 이것이 선행된 후에 각 분야의 전담사서 배치, 교육과 훈련, 경력개발 등이 가능할 것이다.;In order for the human management in any organization be efficient enough, a thorough analysis on the allocation of responsibilities among members of the organization is necessary. A reasonable administration of the public library will only be assured through continuous effort at establishment and improvement of the system of functions, in which assignment of duties to each of the librarians is done in an equitable and viable manner, fully taking the environmental constraints into account. Moreover, such an assignment of duties will have to define exactly and clearly the line of authority, and the job function or responsibility each librarian should assume. However, almost all studies conducted so far on the library management or the function of the librarianship have neglected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library, and recommendations made by those analyses were largely neglected again by most library authorities, thus producing no remarkable improvement in the system of service and management. This study conducted the job analysis with the sample of 17 departmental chairmen and 207 librarians working in 22 public libraries for the purpose of presenting improvement of librarianship in the public library. After analyzing organization, job assignment, and work flow in the survey with the sample of librarians, I apprehended the job descriptions and work flows that librarians currently carry out. The result of the research shows that the number of librarians working in total 22 public libraries is quite fewer than the minimum number of librarians set by statute and most organization of the public library has two parts: management or subdivision of data and material. Research on librarians used the analysis method called KASO, clarified knowledge, ability, skill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required to accomplish duties through a survey. Concerning job accomplishment of librarians in the public library, it generalized the result and drew out core items with a score higher than 3.5 as measured by "frequency" and "importance" and knowledge, ability, skills, and other personal characteristics of major items with a score higher than 3.0 likewise. Finally, it made job descriptions and specification of librarians working in the public library based on core and major items. I suggested the followings to improve the duty system of librarians working in the public library based on the result of the survey. First, current librarians should be supported as experts to promote their libraries by means of education and training related to public relations for the library in the task of supporting the administration. Second, training professional librarians for the specific task is more effective than rotating assignment to the positions concerning library development and data system and therefore, education and career system should be introduced. Lastly, qualified and specialized librarians who assist particular users should be arranged to make the best use of electronic bibliography service in the task of supporting users and bibliography. However, first of all, library manpower should be supplemented as soon as possible due to insufficient library manpower. The responsibility of librarians in the public library becomes important in order to improve the life quality of community members. Therefore, improvement of librarianship makes it possible to grow and develop the public librar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