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선미-
dc.creator강선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57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37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7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374-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started from having a critical mind on how homophobic perceptions are produced in our society, the very prejudice that functions as a ground for justifying discrimination and suppression against lesbians.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the media’s method and it’s contents which reproduces our society’s homophobic perception. Because we live in a society of heterosexism and male domination, there is high possibility that newspaper articles concerning gay men featur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articles concerning lesbians. Despite this point, previous studies have mostly analyzed the relations between the homosexuals and the media by focusing on the cases of gay men.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newspaper articles bringing lesbians into focus. It looked into tendency of lesbian articles between the years 1990 through 2006, the way lesbians are portrayed in these articles, problems that can be found in the ways that domestic lesbian articles are covered and difficulties that lesbian activists and reporters face. Lastly, it examined ways that could make a change in the tendency of articles concerning lesbians, and the limitations of these ways. This study’s contents and results are as follows. To begin with, it is important to point out that lesbian articles are outnumbered compared to articles on gay men or homosexuals as a whole. This is because gay men are overstated as the homosexual group altogether. The reason why lesbian issues are considered subsidiary to issues of gay men is because homosexuals are perceived as an over-sexualized group and therefore the gender differences between lesbian and gay man are overlooked. Even though lesbian issues reported on the newspaper are still fewer to those of gay men and homosexuals, it could be noticed that lesbian articles have gradually been increasing in numbe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media functions as a mirror of society, the rising number of lesbian articles itself could serve as the evidence that the media and the society are beginning to change their attitudes towards lesbian existence, as opposed to their attitudes in the past when lesbianism was long treated as a taboo. But another assessment could be made possible if focusing on the aspects of this increase. Rise of articles in the culture section, where culture related issues are reported, has played the most crucial role to the increase. This is the result of the tendency of media using the subject of lesbian and homosexual as cultural material in articles. This comes to a conclusion that the media is more interested in ‘lesbians portrayed in movies and literature’ rather than ‘lesbians in reality.’ This approach can form the impression that lesbians are only cultural beings and make it difficult to perceive the difference between ‘lesbians portrayed in movies and literature’ and ‘lesbians in reality.’ In addition, this approach carries the danger of concealing ‘discrimination’ and ‘suppression’ that lesbians who lead a different life style from ‘lesbians portrayed in movies and literature’ face in real life. There were three most notable distinctions found in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way lesbians were portrayed in articles. The first thing was looking at lesbianism as a social problem and the second was portraying lesbians overly-sexualized beings, and the last was describing them as femme fatales or deviants. The problem that the first case provokes is that it gives rise to the idea of ‘social disorder’ and ‘collapse of the society’ by mostly reflecting opinions which deny the existence of lesbians and gay men altogether. In the case of portraying lesbians as overly-sexualized beings, the articles describe lesbians obscenely or use methods to ‘reveal’ them. In the last case of articles, where lesbians are depicted as femme fatale or deviants, more emphasis is put on the sexual orientation than the bad behavior itself when lesbians are involved in a crime in order to portray lesbianism itself as a deviation. Especially with adolescent lesbians, rather than acknowledging their choice and existence, they are represented as immature beings that are just following a passing fad. When it comes to reporting process, the ‘principle’ of revealing the real name of a news source was considered more important when writing articles about lesbians or homosexuals, even though it is ordinary to use an anonymous news source. This is because this method of revealing the real name is necessary to visualize the existence of lesbians concretely, thus making lesbian issues appear more sensationally. For lesbians who are in a difficult situation to come out of the closet, it is not possible to make their real names or photographs public. As a result, lesbian issues are often neglected or omitted in the final draft of the articles. Also, it is natural that lesbian issues are excluded and distorted because heterosexuals are assumed as main readers of newspaper and therefore considerations are made to make them feel comfortable. The solution that could lead to a change in above mentioned reporting tendency wa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social institution and lesbian rights movement. The press moral code made by individual newspaper company is one example of a solution of the former. Recently, Hankyoreh Newspaper Company arranged a device to make possible to take ‘human rights’ into consideration from the stage of gathering news data to the stages of editing and reporting by adding a clause of ‘sexual orientation’ to its already established press moral code. This has limits seeing that it is only Hankyoreh Newspaper Company that has changed and there is no knowing how much this policy will influence the reporters as education of the reporters does not follow this policy. Despite its imperfection, however, its significance can be acknowledged as a ‘minimum device’ and a ‘progressive movement’ towards change. From the aspects of lesbian rights movement, lesbian rights organizations have been working on activities such as media monitoring, suggesting report guidelines and coping with individual cases. Lesbian rights organizations have been continually dealing with the media since mid-1990s, but these activities have limits in that they do not have a big influence on the newspaper companies themselves. Of course, this could serve as an index to show what position lesbians and lesbian rights organizations have in our society. Even though influence of the lesbian rights movement on the media is poor in current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devices in dealing with the media. This study, which analyzed the contents of homophobic perceptions shown in the media and the methods used to create these perceptions, has certain significance in that it focused on women, especially on lesbian, and the way they are neglected and distorted in media;본 연구는 레즈비언에 대한 차별과 억압을 정당화시키는 근거로 작용하고 있는 호모포비아적 인식이 우리 사회에서 어떻게 생산되고 있는가에 대해서 문제의식을 가지고 시작하였다. 특히 언론 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언론이 어떤 방식과 내용으로 레즈비언에 대한 호모포비아적 인식을 생산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성애주의와 남성중심주의가 지배적인 우리 사회에서 레즈비언 기사의 경우 게이에 대한 기사와는 또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주로 게이의 사례를 중심으로 동성애자와 언론 간의 관계를 분석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레즈비언을 중심으로 신문 기사 분석을 시도했다. 1990년부터 2006년 사이 레즈비언 기사가 어떤 경향성을 띄는지, 어떤 방식으로 레즈비언이 재현되고 있는지, 국내 레즈비언 기사의 보도과정 속에서는 어떤 문제들이 있는지 그리고 레즈비언 활동가와 기자들이 겪고 있는 문제들을 살펴보았다. 끝으로 레즈비언 보도 경향에 변화를 이끌기 위해서 어떤 방안들이 가능한지, 그 한계는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레즈비언 기사는 양적으로 게이나 동성애 기사에 비해 적게 보도되고 있다. 이는 남성 동성애자인 게이가 동성애자로서 과대표 되기 때문이다. 레즈비언의 이슈가 부차화 되거나 게이 이슈의 후속으로 이어지는 것은 동성애자가 과잉 성애화 된 집단으로 인식되다보니 레즈비언과 게이 간의 성차 문제에 대해서는 무감하도록 만든 측면이 있기 때문이었다. 레즈비언 이슈가 게이나 동성애 기사에 비해 적게 보도되기는 했지만, 레즈비언 기사 양이 점차 증가하는 모습을 볼 수는 있었다. 언론이 ‘사회를 반영하는 거울’로 기능한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레즈비언 기사 양의 증가는 곧 오랫동안 금기(taboo)로 여겨져 온 레즈비언의 존재에 대해서 언론과 사회의 인식이 보다 수용적인 태도로 나아가고 있다는 것을 반증한다. 그러나 기사가 어떻게 증가했느냐를 보면 또 다른 평가가 가능해진다. 기사 양 증가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은 문화 관련 이슈가 실리는 문화면에서의 도약이었다. 이러한 경향은 언론이 문화적인 소재로서 레즈비언과 동성애를 보도에 주로 반영한 결과이다. 즉, 언론이 ‘현실 속의 레즈비언’보다 ‘문화 창작물 속의 레즈비언’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으로서 이는 레즈비언을 문화적인 존재로만 여기게 만들 수 있으며 ‘현실 속의 레즈비언’과 ‘문화 창작물 속의 레즈비언’ 간의 차이를 인식하는 데 어렵게 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문화 창작물 속의 레즈비언’과 다른 모습의 삶을 살고 있는 현실 속의 레즈비언이 겪는 사회적 ‘차별’과 ‘억압’을 가려지게 할 위험이 있다. 기사 속에서 레즈비언은 주로 사회문제 혹은 악녀/일탈자로 재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회 문제의 특징은 레즈비언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의견들을 주로 기사에 반영함으로써 사회 ‘혼란’과 ‘붕괴’를 야기하는 것으로, 성애화의 경우에는 레즈비언에 대해서 선정적으로 묘사하거나 ‘폭로’하는 방식으로 재현하고 있다. ‘악녀/일탈자’의 특징이 담겨진 기사는 레즈비언이 연루된 범죄 사건에 대해서 정체성을 더욱 부각시키면서 레즈비언 정체성 그 자체가 일탈적인 것처럼 재현한다. 특히 청소년 레즈비언에 대해서 그들의 선택과 존재를 인정한다기보다 유행에 휩쓸려가는 미성숙한 존재인 것으로 재현하고 있다. 보도 과정에 있어서는, 익명의 취재원을 사용하는 관행이 일반적임에도 불구하고 레즈비언과 동성애 기사의 경우 이러한 관행보다 취재원의 실명을 밝혀야 하는 ‘원칙’이 더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었다. 레즈비언의 실재를 구체적으로 가시화함으로써 레즈비언 이슈를 보다 선정적으로 보이도록 하는 데 필요하기 때문이다. 커밍아웃을 하기 어려운 레즈비언의 경우 실명 공개와 사진촬영을 할 수 없는데, 이것은 결국 레즈비언 이슈가 기사에서 누락되거나 생략되도록 만든다. 또한 신문의 주 독자층으로 이성애자로 상정하여 이들에 대한 배려를 하기 때문에 레즈비언 이슈가 배제되거나 왜곡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보도 경향에 변화를 이끌 수 있는 방안으로 제도적 차원과 인권 운동 차원으로 나누어 분석했다. 제도적 차원의 방안으로는 각 신문사의 자체적인 기자윤리강령을 들 수 있다. 최근 한겨레신문사가 기존의 기자윤리강령을 수정 보완하여 취재보도준칙을 만들었다. 이 준칙에 ‘성적 정체성’ 항목을 첨가하여 취재 편집의 보도 과정에서 ‘인권’에 대한 고려를 할 수 있도록 장치를 마련한 것이다. 변화를 위한 ‘최소한의 장치’이자 보다 ‘진일보한 움직임’으로서 유의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한겨레신문사 한 곳만 변화된 것인데다 기자 교육이 함께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기자들에게 어느 정도 영향력을 미칠지 알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진다. 인권 운동차원에서 본 경우, 인권 단체의 언론 활동은 언론 모니터링 및 보도 가이드라인 제시, 사안별 대응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레즈비언 인권 단체의 대응이 있어왔지만, 언론사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가 있다. 이는 곧 레즈비언과 레즈비언 인권단체가 우리 사회 내에서 점하고 있는 위치를 반증해주는 지표일 수도 있다. 언론에 대한 영향력이 미력한 상황이지만, 지속적으로 다양한 방안들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레즈비언에 대한 호모포비아적 인식이 언론 영역에서 어떻게, 어떤 방식과 내용으로 나타나고 있는지 분석한 이 연구는 언론에서의 여성 소외 및 왜곡 문제 중에서 특히 여성 동성애자인 레즈비언에 초점을 맞춰 분석했다는 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 1 B. 연구 방법과 연구 참여자 = 7 1. 연구 방법 = 7 가. 기사 분석 = 8 나. 심층 면접 = 10 2. 연구 참여자의 특징 = 12 C. 이론적 배경 = 13 Ⅱ. 레즈비언 보도 경향 = 19 A. 국내 레즈비언과 게이에 관한 이슈들 = 19 B. 성별성의 문제 = 35 C. 외국/문화 창작물 속 레즈비언의 부각 = 43 D. 레즈비언에 대한 편견적 재현 방식 = 51 Ⅲ. 레즈비언 재현 방식 = 58 A. 사회 문제 = 58 B. 성애 = 65 C. 악녀/일탈자 = 68 Ⅳ. 취재편집 과정에 나타나는 ‘배제/생략/축소’ = 77 A. 보도 ‘원칙’과 레즈비언 기사의 뉴스 가치 = 77 B. 언론 커밍아웃에 관한 레즈비언 활동가의 딜레마 = 82 C. 최우선으로 고려되는 ‘보편적 공감대’ = 91 Ⅴ. 레즈비언 보도의 새로운 방향 = 98 A. 제도적 변화: 기자윤리강령 = 99 B. 인권단체의 언론 대응 활동 = 103 1. 직접 대응의 사례 = 104 2. 언론 모니터링 및 가이드라인 = 108 Ⅵ. 결론 = 110 참고문헌 = 116 ABSTRACT = 1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323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신문의 레즈비언 보도경향과 그 재현방식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종합일간지 기사(1990년~2006년)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endency of lesbian representation in news report : With focus on daily newspapers (1990s~2006)-
dc.creator.othernameKANG, Sun Mi-
dc.format.pagevi, 12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