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金明淑.-
dc.creator金明淑.-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43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43Z-
dc.date.issued198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53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6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5316-
dc.description.abstract최근에 있어 많은 社會科學者들은 여러 가지 사회지표를 통하여 「삶의 質」을 測定하는데 많은 관심을 보여 왔다. 이는 GNP成長이라는 經濟爲主의 국가발전의 목표가 점차 국민의 「삶의 質」의 증진이라는 것으로 轉換됨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이 「삶의 質」(Quality of life)이라는 槪念은 명확히 규정지을 수 있는 槪念은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物質的, 經濟的 側面은 물론 개인이나 그 환경의 문화적, 사회적, 심리적 상태를 包含하는 廣範圍한 槪念이다. 이러한 「삶의 質」을 測定하기 위한 노력은 社會指標로써 나타났는데 사회지표란 歷史的 흐름 속 에서 인간이 처해있는 社會狀態를 총체적이고도 集約的으로 나타내어 생활의 量的인 측면은 물론 質的인 측면까지도 측정함으로써 人間生活의 전반적인 福祉程度를 파악 가능케 해주는 척도이며 따라서 社會指標는 「삶의 質」의 지표라 하겠다. 그런데 「삶의 質」의 槪念은 매우 다양하고 모호하기 때문에 이를 測定하기 위해서는 造作的인 처리방법이 강구되어야 하는데 社會指標모델, 사회지표체계 등으로 표현되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급속한 經濟成長을 경험한 韓國에서도 생활의 質的 側面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삶의 質」을 측정하기 위한 社會指標作成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韓國의 사회지표체계는 사회적 관심 接近方法(Social concern approach)을 採擇하여 첫 단계로는 國家開發과 관계가 깊은 사회적 관심을 設定하고 다음에 社會的 관심의 변수로서 지표를 發見하고 실제로 지표의 값을 측정하는 方法을 따랐다. 그리고 이 社會指標作成을 위하여 社會統計調査를 실시하고 있는데 이 조사에서는 기존 각종 조사에서 試圖하지 않았던 사회 각 部門의 주관적 판단실태를 把握하여 主觀的 지표를 포함한 사회지표를 보완, 發展시키기 위한 基礎資料 蒐集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調査를 통하여 본 韓國人의 「삶의 質」의 일면을 단편적이나마 要約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여성분만행태를 보면 아직도 전체 姙産婦의 절반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醫療惠澤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이는 敎育程度가 낮을수록 더욱 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2) 職業選擇要因으로 볼 때 韓國人에게는 經濟的인 가치관이 크게 지배하고 있으며 이는 남자보다는 여자가, 연령이 많을수록, 敎育程度가 낮을수록 강하게 作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住居環境에 관하여 실제로 공해 감을 느끼는 家口는 1/3정도 밖에는 되지 않으나 미래의 環境에 대한 태도는 否定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住居空間을 보면 실제공간이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空間보다 좁은 것으로 나타나 韓國의 주거공간은 생활하기에 快適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4) 韓國의 교육여건은 학부모들의 교육열을 充足시키지 못하고 있으나 미래의 敎育環境에 대한 學父母들의 태도는 매우 肯定的인 것으로 나타났다. (5) 就業者의 일에 대한 만족도를 보면, 性別, 교육정도별, 職種別로 심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대체적으로 賃金수준이 높을수록 일에 대한 滿足度도 높아 남자가 여자보다 그리고 敎育程度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6) 韓國人의 여가활용은 아직 "휴식"이나 "기분전환"段階에 머무르고 있으며 여가를 함께 지내는 사람들은 주로 가족으로서 家族指向的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some aspects of quality of life of the Korean people by utilizing available data collected by the Korean government during 1977 and 1980. The followings ar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 1. Regarding the condition of delivery by women, about half of the Korean women do not benefit from modern medical facilities, and such a case appears mainly to those who are lower-educated. 2. As for the job selection, the economical value is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among Koreans and this is more so among the women, the older people and the lower-educated persons than their counterparts. 3. About one third of the Korean residents are negative about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e.g. air pollution). Also, the majority have a pessimistic view about their future living environment. 4. Most parents are not satisfied with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their children at present although they are optimistic about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in the future. 5. Regarding the job satisfaction of the Korean employees, its degree varies widely depending on the sex, the level of education and occupation. Generally the higher the wag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thus male workers are more satisfied than females, and the more educated are more content with their work than their counterparts. 6. Leisure activities of the Korean people at present are minimal and most of the leisure activities are centered around their fami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ⅶ Ⅰ. 序論 = 1 Ⅱ. 「삶의 質」에 대한 理論的 고찰 = 3 A. 「삶의 質」의 개념과 접근방법 = 3 B. 「삶의 質」과 사회지표 = 6 Ⅲ. 韓國에서의 「삶의 質」에 관한 연구현황 = 13 A. 韓國에서의 社會指標硏究의 발전과정 = 13 B. 韓國의 社會指標體系 = 15 C. 社會統計調査 = 20 Ⅳ. 韓國人의 「삶의 質」 = 23 A. 分娩行態를 통해 본 醫療惠澤 = 26 B. 職業選擇要因을 통해 본 價値觀 = 30 C. 주거환경 쾌적도 = 34 D. 子女期待敎育水準 = 40 E. 就業者의 일에 대한 滿足度 = 45 F. 餘暇活用패턴 = 51 Ⅴ. 結論 = 57 參考文獻 = 59 ABSTRACT =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209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삶의 질-
dc.subject한국인-
dc.subject사회지표-
dc.title韓國人의 「삶의 質」에 관한 一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korean people-
dc.format.pageix, 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198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