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宋堯淑.-
dc.creator宋堯淑.-
dc.date.accessioned2016-08-25T06:08:41Z-
dc.date.available2016-08-25T06:08:41Z-
dc.date.issued198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50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36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5016-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designed to see the pattern of lipid metabolism with different levels and sources of dietary fat in rats and upon subsequent lipid metabolism when rats were fed high cholesterol diet in later life. Soybean oil, soybean oil plus beef tallow (50:50 by weight) and beef tallow were used as three different sources of dietary fat in this experiment and each source of dietary fat contained 3%, 9%, 45% of total calorie. Hundred-twenty six male Wistar rats were divided into nine experimental groups, 14 rats each, according to the sources and the levels of dietary fat. After six weeks, 7 rats of each group were sacrificed and the remaining 7 rats were continued to be fed high cholesterol diet for additional six weeks. Food intake and body weight were measured and calorie intake and calorie efficiency ratio were calculated. The percentage of lipid absorption was calculated and the total carcass lipid content was measured. Total lipid, total cholesterol, phospholipid and triglyceride content in serum were also analyzed to see oirculating lipid content. The results of this stuqy were summerized as follows: Food intake of 45% fat groups were lower than groups of 9% and 3% fat in each dietary fat sources. Calorie intake and body weight gain were increased in 45% fat groups than 9% fat groups or 3% fat groups except soybean oil groups. At the twelfth week, food intake and calorie intak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all experimental groups. The higher the levels of dietary fat in each fat group, the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amount of fat intake and excretion and the lipid absorption percentage. However at the twelfth week,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at intake and excretion and absorption ratio in the all experimental groups. Total lipid centent in serum was decreased in 3% fat diet when the kinds of dietary fat were same. Serum total lipid content of 9% fat groups was similar to 45% fat group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erum phospholipid and triglyceride content in the all experimental groups. On the other hand total serum cholesterol level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ll experimental groups but tended to increase in beef tallow groups than soybean oil groups. Serum cholesterol content increased in high cholesterol diet groups.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all experimental groups in various types of lipid content in serum of all rats were fed high cholesterol diet at twelfth week. The amount of total carcass lipi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ll experimental groups at the sixth week and the twelfth week. Summerizing above results, serum total lipid and total cholesterol content were more influenced by the kinds and the levels of dietary fat. Serum total lipid content was increased in high fat diet groups than low fat diet groups in each fat source. Total serum cholesterol content tended to increase in the case of animal fat intake than vegetable fat intake. Serum phospholipid and triglyceride contents were not influenced by the kinds and the levels of dietary fat. The effect was not observed in this experiment that the kinds and the levels of early dietary fat intake didn't influence on serum lipid content of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 in later life. The effect of the kinds and levels of dietary fat on serum lipids content during growth period were masked by high cholesterol diet in later life.;본 연구는 식이내 지방의 종류와 수준이 체내 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과 성장기에 섭취한 식이 내용이 그 이후에 섭취한 고 Cholesterol식이에 의한 체내 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저 행하였다. 실험동물로는 평균체중이 58±1.1g인 Wistar종 젖 떨어진 흰쥐 수컷 126마리를 난괴법에 의하여 7마리씩 18군으로 나누어 지방의 종류로는 대두유, 대두유+우지(중량비로 50:50), 우지를 사용하여 각각의 함유수준이 총 열량의 3%, 9%, 45%인 9종류의 식이군으로 분류하여 각 식이군마다 2군씩을 ad libitum feeding방법에 의하여 처음 6주동안을 사육한 후 각 식이군중 1군씩 총 9군을 희생시키고 나머지 9군은 모두 동일한 고 Cholesterol식이로 ad libitumfeeding방법에 의하여 나중 6주동안을 더 사육하였다. 전 실험기간 동안 각 군마다 식이섭취량, 체중을 측정하였고 열량섭취량 및 열량효율을 산출하였다. 변을 채취하여서 변내의 지방량을 측정하였으며 혈청내의 지방량, 즉 총지방량, 인지질량, 중성지방량 및 총 Cholesterol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처음 6주동안의 식이 섭취량은 식이내 지방 수준이 높은 45% 지방군이 다른 두 수준의 지방군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 처음 6주동안의 열량 섭취량 및 체중 증가량은 대두유군에서는 지방의 수준에 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대두유+우지군과 우지군에서는 45% 지방군이 나머지 두 수준의 지방군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다. 열량효율은 처음 6주동안의 식이 섭취량, 열량 섭취량, 체중 증가량 및 열량효율량은 처음 6주동안 식이 내용에 관계없이 모든 실험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지방의 섭취량은 실험 6주에는 식이내 지방이 동일한 경우에는 식이내 지방의 함량이 높을수록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지방의 배설량도 지방의 섭취량과 같은 경향을 보였으나 섭취량에 비해서는 식이내 지방함량이 높을수록 적은 양을 배설하여 지방의 흡수율이 식이내 지방함량이 높을수록 증가했다. 지방의 섭취량, 배설량, 흡수율 모두가 실험 12주에는 모든 실험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혈청내 총지방량은 실험 6주에는 모든 실험군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식이내 지방의 종류에 관계없이 3% 지방군에서 가장 낮은 경향이었으며 9% 지방군과 45% 지방군에서는 비슷한 함량을 보였고 처음 6주이후 고 Cholesterol식이를 섭취한 실험 12주에는 모든 실험군에서 거의 비슷한 함량을 보였다. 혈청내 인지질량과 중성지방량은 실험 6주와 12주에 각각 모든 실험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혈청내 총 Cholesterol량은 식이내 지방의 종류나 수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우지군이 대두유군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처음 6주이후 고 Cholesterol식이를 섭취한 실험 12주에는 혈청내 총 Cholesterol량이 실험 6주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실험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신체내 축적된 총지방량은 실험6주에 식이내 지방의 종류나 수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실험 12주에도 처음6주동안 섭취했던 식이 내용에 관계없이 모든 실험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면 식이내 지방의 종류와 수준이 혈청내 지방함량에 미치는 영향은 총지방량과 총 Cholesterol량이 비교적 많이 받아 총지방량은 식이내 지방의 종류가 동일한 경우에 지방 수준이 높을 때 지방수준이 낮은 경우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고 총 Cholesterol량은 동물성 지방이 포함된 식이를 섭취란 경우에 식물성 지방만을 섭취하였을 때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혈청내 인지질량과 중성지방량은 식이내 지방의 종류와 수준에 따른 영향을 받진 않는 것으로 나타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성장기에 섭취한 식이내 지방의 종류와 수준이 그 이후에 섭취한 고 Cholesterol식이에 의한 혈청내 각종 지방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장기에 섭취한 식이내 지방의 종류와 수준이 혈청내 지방하먕에 미친 영향은 그 이후에 섭취한 고 Cholesterol 식이에 의해 감추어졌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실험 재료 = 3 1. 실험 동물의 사육 = 3 2. 실험동물의 식이 = 5 Ⅲ. 실험 방법 = 10 1. 식이 섭취량 = 10 2. 체중 = 10 3. 열량효율 (Calorie efficiency ratio) = 10 4. 변의 채취 및 분석 = 10 5. 혈액채취 및 분석 = 11 6. 신체내 총지방함량 측정 = 11 7. 통계처리 = 11 Ⅳ. 실험결과 = 12 1. 식이 섭취와 체중의 변화 = 12 2. 섭취지방의 흡수율 = 14 3. 혈청내 지방함량 = 16 4. 신체내 총지방함량 = 19 Ⅴ. 고찰 및 결론 = 21 참고문헌 = 29 부록 = 34 ABSTRACT = 3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868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식이섭취-
dc.subject지방함량-
dc.subject콜레스테롤-
dc.title성장기에 섭취한 식이내 지방의 종류와 수준이 그 이후 고 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the kind and the level of dietary fat previously on blood lipid composition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
dc.format.pageviii, 4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식품영양학과-
dc.date.awarded1981.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